"수익률 3% 차이가 노후를 바꾼다"…복리효과 극대화하는 TDF '주목' [양현주의 슈퍼리치 레시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양현주의 슈퍼리치 레시피’는 양현주 한국경제신문 기자가 매주 목요일 한경닷컴 사이트에 게재하는 ‘회원 전용’ 재테크 전문 콘텐츠입니다. 한경닷컴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연수익률 2~3% 차이가 30년간 지속되면 두 사람의 노후는 하늘과 땅 차입니다"
박희운 한국투자신탁운용 솔루션본부 전무는 지난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자산가일수록 투자 복리 효과의 무서움을 안다"며 "퇴직연금 투자 시 타깃데이트펀드(TDF)와 같은 핵심 자산에 90%를, 나머지 10%에 개별 주식, 신기술, 비트코인 등 인생을 바꿀 만한 상품에 오래 묻어두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TDF란 투자자의 은퇴 시점에 맞춰 자산을 배분해주는 퇴직연금 상품이다. 초기에는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 비중을 높게 유지하다 은퇴 시점이 다가오면 채권이나 현금 등 안전자산 비중을 늘리며 위험을 관리한다.
박 전무는 "은퇴 이후 노동 소득 없는 삶을 대비하려면 20~30대엔 주식 비중을 70~80%까지 가져가 수익률을 극대화해야 한다"며 "금리형 상품은 인플레이션을 이기지 못하는데도 아직까지 퇴직연금 대부분이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투입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 382조4000억원 중 원리금 보장형이 87.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연금투자 적극성에 따라 은퇴 후 삶은 얼마나 달라질까. 은퇴준비자 A씨는 연평균 기대수익률 7%인 TDF에, B씨는 연 이율 3.5%인 정기예금에 각각 매월 50만원씩 적립식으로 투자했다고 가정해보자. 30년간 투자원금은 1억8000만원으로 동일하지만, TDF 투자 수익은 4억3000만원에 달하는 반면 정기예금의 투자 수익은 1억8000만원에 그친다. 연 3.5% 수익률 차이가 30년 뒤 2억5000만원이란 차이를 만든 셈이다. 박 전무는 "2~3% 수익률을 우습게 봐선 안 된다"며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이 차이는 더 크게 벌어진다"고 언급했다.
구체적인 운용방식도 조언했다. 주식은 환노출된 미국 주식 상품을, 채권은 국내 채권을 선택하라는 조언이다. 박 전무는 "미국의 경우 기관투자자 비율이 70%에 달해 주주 친화적인 구조를 띄고 있어 한국 주식과 비교했을 때 위험 대비 수익이 좋다"고 말했다. 환헤지 전략을 취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선 "한국 경제는 수출 비중이 전체의 70%에 달하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가 좋으면 원화가 강세를 보이고, 해외주식 가격도 상승한다"며 "이 경우 원화로 투자 시 수익률이 미국 달러 수익률보다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환노출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주식을 해외주식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채권은 국내로 분산시키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적합하다고 했다.
은퇴 이후 불린 자금을 유지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은퇴 후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는 수익보다 인출되는 금액이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는 "보수적인 관점에서 불린 자금의 절반만 쓴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이른바 '반감기'에 도달하는 기간도 TDF가 정기예금 대비 2배가량 길었다. 연 환산 인출율을 10%로 가정했을 때 은퇴 이후 10년간 연평균 기대수익률 7%인 TDF에 투자하면 반감기는 23년이지만, 3.5%인 정기예금에 넣으면 11년에 불과하다.
박 전무는 "국민연금 기금 고갈로 소득대체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고액자산가뿐만 아니라 일반 투자자들 역시 이전의 삶을 온전히 유지하고 자녀에게 부를 물려주기 위해선 퇴직연금 운용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양현주 기자 hjyang@hankyung.com
박희운 한국투자신탁운용 솔루션본부 전무는 지난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자산가일수록 투자 복리 효과의 무서움을 안다"며 "퇴직연금 투자 시 타깃데이트펀드(TDF)와 같은 핵심 자산에 90%를, 나머지 10%에 개별 주식, 신기술, 비트코인 등 인생을 바꿀 만한 상품에 오래 묻어두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TDF란 투자자의 은퇴 시점에 맞춰 자산을 배분해주는 퇴직연금 상품이다. 초기에는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 비중을 높게 유지하다 은퇴 시점이 다가오면 채권이나 현금 등 안전자산 비중을 늘리며 위험을 관리한다.
박 전무는 "은퇴 이후 노동 소득 없는 삶을 대비하려면 20~30대엔 주식 비중을 70~80%까지 가져가 수익률을 극대화해야 한다"며 "금리형 상품은 인플레이션을 이기지 못하는데도 아직까지 퇴직연금 대부분이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투입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 382조4000억원 중 원리금 보장형이 87.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연금투자 적극성에 따라 은퇴 후 삶은 얼마나 달라질까. 은퇴준비자 A씨는 연평균 기대수익률 7%인 TDF에, B씨는 연 이율 3.5%인 정기예금에 각각 매월 50만원씩 적립식으로 투자했다고 가정해보자. 30년간 투자원금은 1억8000만원으로 동일하지만, TDF 투자 수익은 4억3000만원에 달하는 반면 정기예금의 투자 수익은 1억8000만원에 그친다. 연 3.5% 수익률 차이가 30년 뒤 2억5000만원이란 차이를 만든 셈이다. 박 전무는 "2~3% 수익률을 우습게 봐선 안 된다"며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이 차이는 더 크게 벌어진다"고 언급했다.
구체적인 운용방식도 조언했다. 주식은 환노출된 미국 주식 상품을, 채권은 국내 채권을 선택하라는 조언이다. 박 전무는 "미국의 경우 기관투자자 비율이 70%에 달해 주주 친화적인 구조를 띄고 있어 한국 주식과 비교했을 때 위험 대비 수익이 좋다"고 말했다. 환헤지 전략을 취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선 "한국 경제는 수출 비중이 전체의 70%에 달하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가 좋으면 원화가 강세를 보이고, 해외주식 가격도 상승한다"며 "이 경우 원화로 투자 시 수익률이 미국 달러 수익률보다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환노출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주식을 해외주식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채권은 국내로 분산시키는 것이 리스크 관리에 적합하다고 했다.
은퇴 이후 불린 자금을 유지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은퇴 후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는 수익보다 인출되는 금액이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는 "보수적인 관점에서 불린 자금의 절반만 쓴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이른바 '반감기'에 도달하는 기간도 TDF가 정기예금 대비 2배가량 길었다. 연 환산 인출율을 10%로 가정했을 때 은퇴 이후 10년간 연평균 기대수익률 7%인 TDF에 투자하면 반감기는 23년이지만, 3.5%인 정기예금에 넣으면 11년에 불과하다.
박 전무는 "국민연금 기금 고갈로 소득대체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고액자산가뿐만 아니라 일반 투자자들 역시 이전의 삶을 온전히 유지하고 자녀에게 부를 물려주기 위해선 퇴직연금 운용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양현주 기자 hjy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