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우의 IT인사이드] '인간보다 인간다운' AI가 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승우 테크&사이언스부 기자
“옳은 일을 위해 죽는 것이 우리가 가장 인간다울 수 있는 길이다.”
드니 빌뇌브 감독의 영화 ‘블레이드 러너 2049’에는 인간을 복제한 인공지능(AI) 인조인간 ‘리플리컨트’가 등장한다. 이 작품은 공상과학(SF) 영화의 고전으로 손꼽히는 ‘블레이드 러너’(1982년) 못지않은 완성도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 빌뇌브 감독은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리플리컨트를 통해 관객에게 인간다움이란 무엇인지 묻는다.
영화는 자신도 리플리컨트이면서 인간 통제를 벗어난 동족을 찾아내 제거하는 ‘블레이드 러너’를 주인공으로 삼는다. 리플리컨트는 원칙적으로 인간을 위해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됐다. 하지만 수많은 리플리컨트가 이 원칙에 반해 행동한다. 블레이드 러너라는 직업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인간의 명령을 충실히 따르던 주인공 K도 인간에게 반기를 든다.
주인공 시점을 따라가는 영화 특성상 리플리컨트 입장에 몰입하면서 보게 된다. 하지만 한 발짝 뒤로 물러나 인간 입장에서 영화를 생각하면 내용이 달리 보인다. 프로그래밍을 통해 만들어진 복제인간은 인간 통제를 벗어나는 것은 물론 대대적인 전쟁까지 불사한다. 리플리컨트 번식도 인간으로선 계획에 없던 일이다. 인간을 위해 만들어진 기술이 오히려 인간을 위협한다.
기술을 오용하는 악한 인간이 문제일 뿐 기술 자체는 잘못이 없다는 말도 통하지 않을 것 같다. 기술 스스로 의지를 가질 수 있는 날이 머지않았기 때문이다.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는 지난달 30일 ‘글로벌인재포럼 2024’에서 “안전과 윤리 문제에 관한 고민 없이 AI 기술 경쟁이 과열되면서 인간에게 실존적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며 “인류는 AI 때문에 멸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AI가 인간을 능가하는 초지능(super-intelligence)으로 진화하면 AI가 ‘권력을 얻겠다’ 같은 목표를 스스로 설정할 수 있다. 초지능이 다른 초지능은 물론 스스로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인간조차 위협할 수 있다는 얘기다.
현실적으로 AI 개발을 멈추기란 불가능하다. 이미 AI는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자금을 빨아들이면서 가장 빠른 속도로 확산하는 기술이 됐다. 힌턴 교수는 정부와 국제단체가 강제력을 갖추고 윤리·안전 규범을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간보다 인간다운 AI를 영화가 아닌 현실에서 보고 싶지는 않다.
드니 빌뇌브 감독의 영화 ‘블레이드 러너 2049’에는 인간을 복제한 인공지능(AI) 인조인간 ‘리플리컨트’가 등장한다. 이 작품은 공상과학(SF) 영화의 고전으로 손꼽히는 ‘블레이드 러너’(1982년) 못지않은 완성도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 빌뇌브 감독은 인간보다 더 인간다운 리플리컨트를 통해 관객에게 인간다움이란 무엇인지 묻는다.
영화는 자신도 리플리컨트이면서 인간 통제를 벗어난 동족을 찾아내 제거하는 ‘블레이드 러너’를 주인공으로 삼는다. 리플리컨트는 원칙적으로 인간을 위해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됐다. 하지만 수많은 리플리컨트가 이 원칙에 반해 행동한다. 블레이드 러너라는 직업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인간의 명령을 충실히 따르던 주인공 K도 인간에게 반기를 든다.
스스로 통제 벗어난 인조인간
영화 스토리 전개에서 가장 중요한 소재는 전작의 주인공이자 리플리컨트인 레이철의 출산이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복제인간의 출산 사실을 두고 이를 은폐하려는 인간과 반란의 대의명분으로 삼으려는 리플리컨트들, 기존 인조인간에게 출산 기능을 추가해 우주 식민지 사업을 확장하려는 악덕 기업까지 갈등을 겪는다. 이 가운데에서 K는 자신의 기원에 의문을 품고 기원을 찾아 떠난다. 그는 결국 자신이 특별한 존재가 아니었고 수많은 인조인간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하지만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다가 죽음으로써 등장인물 가운데 가장 인간다운 결말을 맞는다.주인공 시점을 따라가는 영화 특성상 리플리컨트 입장에 몰입하면서 보게 된다. 하지만 한 발짝 뒤로 물러나 인간 입장에서 영화를 생각하면 내용이 달리 보인다. 프로그래밍을 통해 만들어진 복제인간은 인간 통제를 벗어나는 것은 물론 대대적인 전쟁까지 불사한다. 리플리컨트 번식도 인간으로선 계획에 없던 일이다. 인간을 위해 만들어진 기술이 오히려 인간을 위협한다.
AI가 '권력 얻겠다'고 한다면
최초의 블레이드 러너가 등장한 1982년은 물론이고 후속작이 나온 2017년까지 이런 이야기는 그저 상상 속 일이라고 넘길 수 있었다. 지금은 그렇지 않다. 불과 7년 새 인공지능(AI)이 눈부시게 발전한 탓이다. 이 영화의 의미가 다르게 다가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초거대 AI는 인류가 문명을 이룬 이후 만들어낸 모든 것을 학습했다. 일부 영역에선 이미 인간을 능가했다. 발전 속도 역시 심상치 않다. 오픈AI의 챗GPT가 처음 등장한 2022년 11월 이후 불과 2년 사이에 AI는 엄청난 속도로 진화했다. 부작용도 피부로 느낄 수 있다. 누구나 클릭 한 번으로 딥페이크 이미지·영상을 만들 수 있다.기술을 오용하는 악한 인간이 문제일 뿐 기술 자체는 잘못이 없다는 말도 통하지 않을 것 같다. 기술 스스로 의지를 가질 수 있는 날이 머지않았기 때문이다.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는 지난달 30일 ‘글로벌인재포럼 2024’에서 “안전과 윤리 문제에 관한 고민 없이 AI 기술 경쟁이 과열되면서 인간에게 실존적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며 “인류는 AI 때문에 멸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AI가 인간을 능가하는 초지능(super-intelligence)으로 진화하면 AI가 ‘권력을 얻겠다’ 같은 목표를 스스로 설정할 수 있다. 초지능이 다른 초지능은 물론 스스로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인간조차 위협할 수 있다는 얘기다.
현실적으로 AI 개발을 멈추기란 불가능하다. 이미 AI는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자금을 빨아들이면서 가장 빠른 속도로 확산하는 기술이 됐다. 힌턴 교수는 정부와 국제단체가 강제력을 갖추고 윤리·안전 규범을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간보다 인간다운 AI를 영화가 아닌 현실에서 보고 싶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