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에 가격 인상 예고하는 美 기업…실적발표서 관세 언급 2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관세 정책을 예고한 영향으로 기업들이 가격을 줄줄이 인상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관세 부담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돼 이어져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날 3분기 실적을 발표한 미국 최대 할인점인 월마트는 컨퍼런스콜에서 “관세가 대폭 인상될 경우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객들의 비용 부담이 많이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월마트는 3분기에 호실적을 거뒀지만 향후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소비자가 인상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월마트 3분기 매출은 1696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5% 늘었고, 연간 매출 지침도 3.75~4.75%에서 4.8~5.1%로 상향했다. 하지만 존 데이비드 레이니 월마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관세에 대비해 "공급업체와 자체 브랜드 등과 협력해 가격 인하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 관련 소매업체 로우스의 CFO인 브랜든 싱크도 “상품 비용의 약 40%가 미국 외부에서 조달된다"며 "관세의 잠재적 영향을 살펴보면, 그것은 확실히 제품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소매연맹(NRF)은 이달 초 발간한 보고서에서 새 관세 정책은 의류, 장난감, 가구 등 6개 소비재 가격을 최대 50%까지 인상할 수 있고, 미국 소비자들은 매년 460~780억달러에 달하는 구매력을 잃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예고한 관세 정책은 기업들이 대비해야 할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주요 미국 기업들은 올해 3분기 실적발표 기간 동안 4년 전 대선에 비해 관세 문제를 더 자주 언급했다. 시장조사업체 LSEG 데이터에 따르면 9월 초부터 대형·중·소형주를 포괄하는 S&P1500 지수 내 기업 중 약 200개 회사가 실적발표에서 관세 문제를 언급했다. 2020년 대선 기간에 비해 2배 가까이 많고, 지난해 23건과 비교하면 10배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 정책을 경제 정책의 핵심 의제로 삼으면서, 기업 임원들은 이 주제에 대해 더 많은 질문을 받게 됐다"며 "기업들은 중국을 배제한 공급망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에 미국의 무역 적자를 없애기 위해 내년 1월 취임하면 중국에는 최대 60%의 관세를, 나머지 국가에는 10% 이상의 보편 관세를 매기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 브라이언 제이콥슨 아넥스웰스매니지먼트 수석 경제학자는 "트럼프 행정부 2기는 1기의 단순한 재연이 아닐 수 있다"라며 "트럼프 당선인의 제안은 훨씬 더 광범위하다"고 말했다.
영국 경제분석기관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중국에 대한 60% 관세는 미국 물가상승률을 0.7%P 끌어올릴 수 있고, 10% 보편관세는 인플레이션을 0.3%P 끌어올릴 수 있다고 추정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관세가 점진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일부 분석가들은 '관세 충격'을 우려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김세민 기자 unijade@hankyung.com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날 3분기 실적을 발표한 미국 최대 할인점인 월마트는 컨퍼런스콜에서 “관세가 대폭 인상될 경우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객들의 비용 부담이 많이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월마트는 3분기에 호실적을 거뒀지만 향후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소비자가 인상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월마트 3분기 매출은 1696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5% 늘었고, 연간 매출 지침도 3.75~4.75%에서 4.8~5.1%로 상향했다. 하지만 존 데이비드 레이니 월마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관세에 대비해 "공급업체와 자체 브랜드 등과 협력해 가격 인하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 관련 소매업체 로우스의 CFO인 브랜든 싱크도 “상품 비용의 약 40%가 미국 외부에서 조달된다"며 "관세의 잠재적 영향을 살펴보면, 그것은 확실히 제품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소매연맹(NRF)은 이달 초 발간한 보고서에서 새 관세 정책은 의류, 장난감, 가구 등 6개 소비재 가격을 최대 50%까지 인상할 수 있고, 미국 소비자들은 매년 460~780억달러에 달하는 구매력을 잃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예고한 관세 정책은 기업들이 대비해야 할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주요 미국 기업들은 올해 3분기 실적발표 기간 동안 4년 전 대선에 비해 관세 문제를 더 자주 언급했다. 시장조사업체 LSEG 데이터에 따르면 9월 초부터 대형·중·소형주를 포괄하는 S&P1500 지수 내 기업 중 약 200개 회사가 실적발표에서 관세 문제를 언급했다. 2020년 대선 기간에 비해 2배 가까이 많고, 지난해 23건과 비교하면 10배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 정책을 경제 정책의 핵심 의제로 삼으면서, 기업 임원들은 이 주제에 대해 더 많은 질문을 받게 됐다"며 "기업들은 중국을 배제한 공급망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에 미국의 무역 적자를 없애기 위해 내년 1월 취임하면 중국에는 최대 60%의 관세를, 나머지 국가에는 10% 이상의 보편 관세를 매기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 브라이언 제이콥슨 아넥스웰스매니지먼트 수석 경제학자는 "트럼프 행정부 2기는 1기의 단순한 재연이 아닐 수 있다"라며 "트럼프 당선인의 제안은 훨씬 더 광범위하다"고 말했다.
영국 경제분석기관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중국에 대한 60% 관세는 미국 물가상승률을 0.7%P 끌어올릴 수 있고, 10% 보편관세는 인플레이션을 0.3%P 끌어올릴 수 있다고 추정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관세가 점진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일부 분석가들은 '관세 충격'을 우려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김세민 기자 unija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