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양도 못 버티고 망했다"…사장님들 사이 '비명 속출'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10월 외식업 폐업 역대 최다
쯔양 운영 음식점도 폐업할 정도
11~12월에 폐업 더 쏟아질 듯
역대급 폐업 한파에 우려 가중
쯔양 운영 음식점도 폐업할 정도
11~12월에 폐업 더 쏟아질 듯
역대급 폐업 한파에 우려 가중

"유명 유튜버 쯔양도 못 버티는 데 우리가 어떻게 버팁니까"
불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전국 외식업 폐업 건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자영업이 크게 흔들렸던 코로나19 사태 때와 비교하면 30%가 더 늘었다. 통상 연말에 폐업이 더 늘어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가 역대 최악의 겨울이 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최근 111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먹방 유튜버 쯔양(27·박정원)마저 자신이 운영하던 음식점 2곳을 모두 접었다. 쯔양은 그간 분식집과 돈가스집을 각각 2021년과 2023년부터 운영해왔는데 지난 10월 폐업을 결정했다. 분식집은 3년, 돈가스집은 1년 반 만에 폐업한 셈인데 안내문을 통해 "최근 여러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기타 운영 비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지금의 가격과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졌다"고 공지했다.
ADVERTISEMENT
아직 11~12월 남았는데 폐업 '역대급'
한경닷컴이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1~10월 전국 외식업 폐업 건수는 전년 대비 7.5% 증가한 8만4195곳에 달했다. 이는 같은 기간 역대 최고치다. 사람들 주머니 사정에 민감한 외식업 경기가 흔들린다는 것은 그만큼 국내 불경기가 얼마나 극심한지를 알려준다.
연도별로 그전까지는 많아야 6만5000건 안팎이었는데 작년부터 7만건을 넘어서면서 폐업이 쏟아지는 모양새다. 월평균으로 보면 2018년부터 월별 6000~7000곳 사이로 폐업이 발생했는데, 작년에 처음으로 8000곳을 넘어섰고 올해는 월평균 8419곳이 폐업하면서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작년보다 1~10월 개업 점포 수도 4% 줄어든 가운데, 폐업만 늘고 있어 불경기가 극심한 것으로 파악된다.
ADVERTISEMENT
"별다른 대안이 없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이 길거리에 내앉는 현실은 고금리에 내수 침체가 그만큼 극심하다는 사실을 방증하고, 고령층의 준비되지 않은 노후가 또 다른 한국 경제의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자영업자 비중은 사상 처음으로 20% 밑으로 떨어진 가운데, 그중에서도 50대 이상 비중이 15년 전 약 40%에서 최근 30%대로 낮아졌다.
허경옥 성신여대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과 교수는 "외식업뿐 아니라 모든 분야의 산업 구조가 온라인 중심으로 완전히 바뀌고 있어,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아예 업종을 전환하거나 운영 방법을 파격적으로 바꾸지 않는 이상 사실 별다른 대안이 안 서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ADVERTISEMENT
신현보/김영리 한경닷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