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우리도 부담"…실적우려 커지는 美유통株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관세인상 대비해 공급망 다각화"
美 '트럼플레이션' 우려 커져
美 '트럼플레이션' 우려 커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정책으로 기업들이 가격을 줄줄이 인상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관세 부담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돼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최대 할인점인 월마트는 이날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관세가 대폭 인상되면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객의 비용 부담이 많이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월마트는 3분기에 호실적을 거뒀지만 향후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소비자가 인상을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월마트 3분기 매출은 1696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5% 늘었고, 연간 매출 지침도 3.75~4.75%에서 4.8~5.1%로 상향했다. 하지만 존 데이비드 레이니 월마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관세에 대비해 “공급업체 및 자체 브랜드 등과 협력해 가격 인하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 관련 소매업체 로스의 CFO 브랜든 싱크도 “매출 원가의 약 40%가 미국 외부에서 발생한다”며 “관세의 잠재적 영향을 살펴보면 그것은 확실히 제품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소매연맹(NRF)은 이달 초 발간한 보고서에서 새 관세 정책은 의류, 장난감, 가구 등 6개 소비재 가격을 최대 50%까지 인상할 수 있고, 미국 소비자들은 매년 460억~780억달러에 달하는 구매력을 잃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예고한 관세 정책은 기업들이 대비해야 할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주요 미국 기업들은 올해 3분기 실적 발표 기간 4년 전 대선에 비해 관세 문제를 더 자주 언급했다. 시장조사업체 LSEG데이터에 따르면 9월 초부터 대형·중·소형주를 포괄하는 S&P1500지수 내 기업 중 약 200개 회사가 실적 발표에서 관세 문제를 언급했다. 2020년 대선 기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많고, 지난해 23건과 비교하면 열 배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 정책을 경제 정책의 핵심 의제로 삼으면서 기업 임원들은 이 주제에 관해 더 많은 질문을 받게 됐다”며 “기업들은 중국을 배제한 공급망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에 미국의 무역적자를 없애기 위해 내년 1월 취임하면 중국에는 최대 60%의 관세를, 나머지 국가에는 10% 이상의 보편 관세를 매기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 브라이언 제이컵슨 아넥스웰스매니지먼트 수석경제학자는 “트럼프 행정부 2기는 1기의 단순한 재연이 아닐 수 있다”며 “트럼프 당선인의 제안은 훨씬 더 광범위하다”고 말했다.
김세민 기자 unijade@hankyung.com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최대 할인점인 월마트는 이날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관세가 대폭 인상되면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고객의 비용 부담이 많이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월마트는 3분기에 호실적을 거뒀지만 향후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소비자가 인상을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월마트 3분기 매출은 1696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5% 늘었고, 연간 매출 지침도 3.75~4.75%에서 4.8~5.1%로 상향했다. 하지만 존 데이비드 레이니 월마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관세에 대비해 “공급업체 및 자체 브랜드 등과 협력해 가격 인하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 관련 소매업체 로스의 CFO 브랜든 싱크도 “매출 원가의 약 40%가 미국 외부에서 발생한다”며 “관세의 잠재적 영향을 살펴보면 그것은 확실히 제품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소매연맹(NRF)은 이달 초 발간한 보고서에서 새 관세 정책은 의류, 장난감, 가구 등 6개 소비재 가격을 최대 50%까지 인상할 수 있고, 미국 소비자들은 매년 460억~780억달러에 달하는 구매력을 잃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예고한 관세 정책은 기업들이 대비해야 할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주요 미국 기업들은 올해 3분기 실적 발표 기간 4년 전 대선에 비해 관세 문제를 더 자주 언급했다. 시장조사업체 LSEG데이터에 따르면 9월 초부터 대형·중·소형주를 포괄하는 S&P1500지수 내 기업 중 약 200개 회사가 실적 발표에서 관세 문제를 언급했다. 2020년 대선 기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많고, 지난해 23건과 비교하면 열 배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 정책을 경제 정책의 핵심 의제로 삼으면서 기업 임원들은 이 주제에 관해 더 많은 질문을 받게 됐다”며 “기업들은 중국을 배제한 공급망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에 미국의 무역적자를 없애기 위해 내년 1월 취임하면 중국에는 최대 60%의 관세를, 나머지 국가에는 10% 이상의 보편 관세를 매기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 브라이언 제이컵슨 아넥스웰스매니지먼트 수석경제학자는 “트럼프 행정부 2기는 1기의 단순한 재연이 아닐 수 있다”며 “트럼프 당선인의 제안은 훨씬 더 광범위하다”고 말했다.
김세민 기자 unija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