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0 시대, 反ESG 시작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9)는 예정된 폐막일을 이틀 넘기는 등 진통 끝에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을 위해 부담하는 재정 규모를 2035년까지 연 3000억달러로 늘리기로 합의했다. 이번 회의는 단 한 번도 행사장에 나타난 적이 없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존재감에 압도됐다. 역설적으로 트럼프 당선인의 귀환 소식은 분담금 문제를 놓고 반목을 거듭하던 당사국들이 극적 타결을 이루게 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ESG 펀드 美서 줄소송 당한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전략이 정치적, 법적 압력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제프리스파이낸셜그룹은 ESG 펀드매니저들에게 “법률 전문가를 팀에 포함시키거나 긴밀히 협력하라”고 권고했다.
이와 함께 ESG 자산운용사들이 반독점 리스크와 신탁 의무에 관한 법적 리스크를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프리스는 또한 “기업들이 법적 보복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ESG와 관련한 작업을 공개하지 않는 그린허싱(greenhushing) 현상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제프리스의 전망은 곧바로 현실화했다. 미국 텍사스 등 보수 성향 11개 주는 지난달 27일 세계 3대 인덱스펀드 자산운용사인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를 반독점법 위반 등의 혐의로 고소했다. 이들이 석탄 공급을 의도적으로 줄여 친환경 투자 성과를 극대화했다는 게 소송의 명분이다. 켄 팩스턴 텍사스주 법무장관은 “텍사스는 파괴적이고 정치화된 ‘환경’ 의제를 위해 금융산업을 불법적으로 무기화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 내부에서는 이미 ‘친환경 피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기후·에너지 정책을 구체화할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 지명자의 발언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최고경영자(CEO)로 몸담고 있는 석유기업 리버티에너지의 연례 ESG 보고서에서 “저렴한 에너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세계 빈곤을 구제할 수 있으며, 이것이 ESG 원칙에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도 대놓고 반(反)ESG 기조를 드러냈다. 그는 안티워키즘을 내세운 벤처캐피털(VC)에서 투자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그가 합류한 VC 1789캐피털은 ESG 의무화로 저평가된 기업, 관료주의에 발목 잡힌 기술 기업 등에 투자한다는 전략을 강조한다.
김리안 기자 '의결권 자문사 규제' 부활 조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귀환으로 글로벌 의결권 자문회사에 대한 규제가 부활할 조짐이다. ISS 등은 ‘지배구조 개선을 이유로 기업 의사결정에 과도하게 개입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1일 외신 등에 따르면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최근 사임 의사를 밝히면서 ESG 재무위험 공개규칙 제정에 반대하거나 의결권 자문사에 대해 규제 기조를 보여온 인사들이 후임으로 거론되고 있다. 공화당도 규제 정책에 가세할 전망이다. 브라이언 스테일 공화당 하원의원은 지난 9월 주주제안과 의결권 자문 절차를 개선하는 내용의 규제 법안을 발의했다.
ISS와 글래스루이스 등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에 대한 규제는 트럼프 1기를 관통하는 주요 정책 중 하나였다. 2020년 당시 SEC는 ‘의결권 자문사 규제를 위한 개정규칙’을 결의했다. 기업에 대한 권고 사항을 해당 기업에 먼저 통지하고 이견이 나오면 서면진술까지 포함해 고객에게 알리라는 취지다. 이 안은 자문사들의 거센 반발에 공회전하다 2022년 조 바이든 정부 때 철회됐고, 미국 재계와 SEC 간 소송전으로 비화했다.
송재형 한국경제인협회 공유가치창출(CSV)팀장은 “기업 자율권을 존중한다는 공화당의 기본 방침에 따라 규제가 다시 강화될 전망”이라며 “자문사들의 ESG 권고 활동이 위축되면 ISS 등의 지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던 글로벌 투자기관들의 행보에도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ISS와 글래스루이스는 매년 주요 국가에 대한 의결권 행사지침을 개정해 공개하는데 한국도 그 대상이다. 이 가이드라인엔 이사회 성별 다양성을 10% 이상까지 올리지 않으면 이사회 의장에 대해 반대 권고를 한다거나 온실가스 배출량을 완화하는 데 최소한의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사의 재선임엔 반대하겠다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하지은 기자 knra@hankyung.com
ESG 펀드 美서 줄소송 당한다
"美 이탈 땐 도루묵" 불안 커져…ESG 전략 정치적 압력 받을 듯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전략이 정치적, 법적 압력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제프리스파이낸셜그룹은 ESG 펀드매니저들에게 “법률 전문가를 팀에 포함시키거나 긴밀히 협력하라”고 권고했다.이와 함께 ESG 자산운용사들이 반독점 리스크와 신탁 의무에 관한 법적 리스크를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프리스는 또한 “기업들이 법적 보복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ESG와 관련한 작업을 공개하지 않는 그린허싱(greenhushing) 현상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제프리스의 전망은 곧바로 현실화했다. 미국 텍사스 등 보수 성향 11개 주는 지난달 27일 세계 3대 인덱스펀드 자산운용사인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스트리트를 반독점법 위반 등의 혐의로 고소했다. 이들이 석탄 공급을 의도적으로 줄여 친환경 투자 성과를 극대화했다는 게 소송의 명분이다. 켄 팩스턴 텍사스주 법무장관은 “텍사스는 파괴적이고 정치화된 ‘환경’ 의제를 위해 금융산업을 불법적으로 무기화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 내부에서는 이미 ‘친환경 피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기후·에너지 정책을 구체화할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 지명자의 발언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그는 자신이 최고경영자(CEO)로 몸담고 있는 석유기업 리버티에너지의 연례 ESG 보고서에서 “저렴한 에너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세계 빈곤을 구제할 수 있으며, 이것이 ESG 원칙에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도 대놓고 반(反)ESG 기조를 드러냈다. 그는 안티워키즘을 내세운 벤처캐피털(VC)에서 투자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그가 합류한 VC 1789캐피털은 ESG 의무화로 저평가된 기업, 관료주의에 발목 잡힌 기술 기업 등에 투자한다는 전략을 강조한다.
김리안 기자
'의결권 자문사 규제' 부활 조짐
"ISS 등 지배구조 개선 이유로 기업 의사결정에 과도한 개입"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귀환으로 글로벌 의결권 자문회사에 대한 규제가 부활할 조짐이다. ISS 등은 ‘지배구조 개선을 이유로 기업 의사결정에 과도하게 개입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일 외신 등에 따르면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최근 사임 의사를 밝히면서 ESG 재무위험 공개규칙 제정에 반대하거나 의결권 자문사에 대해 규제 기조를 보여온 인사들이 후임으로 거론되고 있다. 공화당도 규제 정책에 가세할 전망이다. 브라이언 스테일 공화당 하원의원은 지난 9월 주주제안과 의결권 자문 절차를 개선하는 내용의 규제 법안을 발의했다.
ISS와 글래스루이스 등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에 대한 규제는 트럼프 1기를 관통하는 주요 정책 중 하나였다. 2020년 당시 SEC는 ‘의결권 자문사 규제를 위한 개정규칙’을 결의했다. 기업에 대한 권고 사항을 해당 기업에 먼저 통지하고 이견이 나오면 서면진술까지 포함해 고객에게 알리라는 취지다. 이 안은 자문사들의 거센 반발에 공회전하다 2022년 조 바이든 정부 때 철회됐고, 미국 재계와 SEC 간 소송전으로 비화했다.
송재형 한국경제인협회 공유가치창출(CSV)팀장은 “기업 자율권을 존중한다는 공화당의 기본 방침에 따라 규제가 다시 강화될 전망”이라며 “자문사들의 ESG 권고 활동이 위축되면 ISS 등의 지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던 글로벌 투자기관들의 행보에도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ISS와 글래스루이스는 매년 주요 국가에 대한 의결권 행사지침을 개정해 공개하는데 한국도 그 대상이다. 이 가이드라인엔 이사회 성별 다양성을 10% 이상까지 올리지 않으면 이사회 의장에 대해 반대 권고를 한다거나 온실가스 배출량을 완화하는 데 최소한의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사의 재선임엔 반대하겠다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하지은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