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가구 공급한다는 '美 대세 임대주택' 뭐길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형 임대주택 2.0 시대-①]
정부 10만가구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
"개인거래로 불안정한 임대시장 대체"
미국선 '빌트투렌트' 형태로 보편화
"30년 묶여"...제도환경, 월세비선호 등 '과제'
정부 10만가구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
"개인거래로 불안정한 임대시장 대체"
미국선 '빌트투렌트' 형태로 보편화
"30년 묶여"...제도환경, 월세비선호 등 '과제'

기업형 임대는 기업이 집주인인 임대 형태다. 기업이 임대주택을 짓거나 매입해, 장기간 임대 운영한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임대유형이 보편화돼 있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기관들이 임대를 위해 다수의 단독 주택과 다세대 주택을 인수하기 시작하면서 시장이 빠르게 성장했다.
ADVERTISEMENT
기업형 임대시장에서 최근 대세는 빌드 투 렌트(BTR) 유형이다. 기존 단독주택 등을 매입해 다시 임대주택으로 운영하는 싱글패밀리렌탈(SFR)과 달리 처음부터 임대목적을 갖고 개발된 주거단지로, 다양한 커뮤니티 센터와 서비스를 갖춘 게 특징이다. 향후 정부가 활성화할 기업형 임대도 BTR 방식이 될 가능성이 크다. 국토교통부는 정부 지원이 없는 대신 임대료 규제를 없애거나(자율형), 임대료 제한은 하되 각종 세제 혜택 등을 주는 형태(준자율형·지원형)로 이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구상이다.
한국 기업형 임대가 미국처럼 활성화될 수 있을지에 대해선 부정적인 견해도 있다. 미국의 BTR은 일관된 제도환경과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를 배경으로 성장했다. 최대 27년에 달하는 주택 감가상각 세금 공제, 신규주택 재투자 시 자본소득세 유예, 저소득지역 기회구역(OZ)투자 시 자본이득세 절감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 한국은 호흡이 긴 임대 사업을 하기에 불확실성이 크다. 박근혜 정부에서 기업형 임대인 ‘뉴스테이’를 대대적으로 활성화했다가 다음 정권에서 규제 기조로 돌변한 게 대표적이다. 규제가 소급 적용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ADVERTISEMENT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