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공공 데이터'는 AI 시대 이끌 핵심 동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
요즘 음식 배달을 시키면 라이더가 어디까지 왔고 언제쯤 도착할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수출입 기업은 여전히 화물 정보, 통관 진행 상황, 위치 등을 전화나 이메일로 확인하는 실정이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관세청, 해양수산부, 산업통상자원부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간편한 인터넷주소(URL)만으로 물류 현황을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최근 개발됐다.
지난 13일 열린 ‘제12회 범정부 공공 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한 국내 스타트업 지비티에스가 바로 그 시스템을 개발한 주인공이다.
범정부 창업경진대회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민간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혁신 창업 및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마련한 행사로, 2013년부터 지금까지 1만8000여 팀이 참가해 137개 수상작을 배출했다. 국내 최대 화장품 플랫폼 ‘화해’(2013년 최우수상)는 연 매출 516억원, 누적 다운로드 1000만 회를 달성했다. 유기동물 입양 플랫폼 ‘포인핸드’(2017년 우수상)는 국내 동물 입양의 약 90%를 연결하고 있다.
한국은 2013년 ‘공공 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이후 적극적으로 관련 데이터를 개방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가에서 4년 연속 1위를 차지할 만큼 데이터 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9만6000여 건의 데이터를 ‘공공 데이터 포털’(data.go.kr)에서 제공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날씨, 교통, 관광 등 분야에서 3000개 이상의 신규 서비스가 만들어졌다. 정부는 또 2020년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공공기관 간 데이터 공유를 촉진하고 과학적 행정을 지원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행정 업무에도 AI 활용 서비스를 본격 도입하고, 민간 수요에 맞춘 다양한 공공 학습 데이터를 개방하는 등 관련 정책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려 한다. 이를 위한 법적 근거가 될 공공 데이터법과 데이터 기반 행정법 개정안이 각각 의원 발의와 정부안으로 국회에 제출돼 있다. 신속한 입법이 이뤄지길 바란다. 또 기관 간 칸막이 없이 모든 기관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국가 공유 데이터 플랫폼’을 신설하고, AI 기반의 의미 중심 검색으로 공공 데이터 포털도 고도화할 예정이다.
AI 분야 4대 석학으로 불리는 앤드루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AI는 새로운 전기(new electricity)이며, AI 발전의 핵심은 데이터의 품질”이라고 말했다. AI가 몰고 올 새로운 기회를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으로 전환하려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공공 데이터 공유와 개방을 꾸준히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민관 원팀’이 돼 앞으로도 힘써 나가겠다.
지난 13일 열린 ‘제12회 범정부 공공 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한 국내 스타트업 지비티에스가 바로 그 시스템을 개발한 주인공이다.
범정부 창업경진대회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민간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혁신 창업 및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마련한 행사로, 2013년부터 지금까지 1만8000여 팀이 참가해 137개 수상작을 배출했다. 국내 최대 화장품 플랫폼 ‘화해’(2013년 최우수상)는 연 매출 516억원, 누적 다운로드 1000만 회를 달성했다. 유기동물 입양 플랫폼 ‘포인핸드’(2017년 우수상)는 국내 동물 입양의 약 90%를 연결하고 있다.
한국은 2013년 ‘공공 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이후 적극적으로 관련 데이터를 개방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가에서 4년 연속 1위를 차지할 만큼 데이터 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9만6000여 건의 데이터를 ‘공공 데이터 포털’(data.go.kr)에서 제공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날씨, 교통, 관광 등 분야에서 3000개 이상의 신규 서비스가 만들어졌다. 정부는 또 2020년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공공기관 간 데이터 공유를 촉진하고 과학적 행정을 지원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행정 업무에도 AI 활용 서비스를 본격 도입하고, 민간 수요에 맞춘 다양한 공공 학습 데이터를 개방하는 등 관련 정책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려 한다. 이를 위한 법적 근거가 될 공공 데이터법과 데이터 기반 행정법 개정안이 각각 의원 발의와 정부안으로 국회에 제출돼 있다. 신속한 입법이 이뤄지길 바란다. 또 기관 간 칸막이 없이 모든 기관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국가 공유 데이터 플랫폼’을 신설하고, AI 기반의 의미 중심 검색으로 공공 데이터 포털도 고도화할 예정이다.
AI 분야 4대 석학으로 불리는 앤드루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AI는 새로운 전기(new electricity)이며, AI 발전의 핵심은 데이터의 품질”이라고 말했다. AI가 몰고 올 새로운 기회를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으로 전환하려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공공 데이터 공유와 개방을 꾸준히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민관 원팀’이 돼 앞으로도 힘써 나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