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한 작가'로 문학계의 찬사를 받고 있는 아일랜드 출신 소설가 클레어 키건.

그의 소설은 항상 시대상을 진하게 담고 있다. 그의 소설마다 당시 라디오나 TV를 통해 당대의 이야기가 흐른다. 소설가가 문장으로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아도 역사적 기록을 통해 우리는 그 시대의 어떤 상을 그릴 수 있다. 그러다보면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나라라는 낯섦보다 인간이라면 충분히 느낄법한 보편적인 심리를 마주하게 된다.

1980년대 초중반을 묘사하고 있는 그의 소설 <맡겨진 소녀>와 <이처럼 사소한 것들>은 가톨릭이 일반인에 가한 압력에 대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당시 아일랜드에서는 이혼과 피임이 금지돼 '원치 않는 아이들'이 숱하게 태어났다. 또 미혼모의 영아 살해나 천주교 복지시설의 아동학대, 천주교 신부의 성폭력 사건도 잇따랐다. 권력화한 종교의 힘 때문에 이러한 사실을 드러내놓고 이야기하는 건 불가능했다.

<맡겨진 소녀>에서는 부모는 있지만 가정 내에서도 최소한의 돌봄을 받지 못한, 몇 번째 딸인지도 모를 소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이처럼 사소한 것들>에서는 수녀원이 운영하는 세탁소에서 강제 노동을 당하는 여성들이 나온다. 주인공 빌 펄롱의 아내가 "살아가려면 모른 체 해야하는 것들"이라고 표현한 이들은 대부분 10대~20대 초반의 미혼모로 그려진다.
영화로 보는 클레어 키건 소설 "아침은 저절로 오는가"
<맡겨진 소녀>와 <이처럼 사소한 것들>은 반향을 일으키며 모두 영화로 제작됐다. 전자는 호평 받았고, 후자는 오는 11일 개봉한다. 영화 오펜하이머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탔던 킬리언 머피가 다섯 명의 딸을 둔 가장, 빌 펄롱을 맡았다. 킬리언 머피 역시 아일랜드 출신이며 클레어 키건이 그리고 있는 시대의 부조리 속에서 자라난 인물이다. <이처럼 사소한 것들>을 읽고 머피가 키건을 간절히 설득했던 건 그런 이유였을지도 모른다.
영화로 보는 클레어 키건 소설 "아침은 저절로 오는가"
개봉을 일주일 앞두고 4일 열린 영화 <이처럼 사소한 것들>은 원작을 충실히 따르고 있었다. 작은 석탄회사를 운영하는 빌 펄롱이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석탄을 배달하러 간 수녀원(18세기부터 20세기말까지 정부 협조 아래 가톨릭 수녀원이 운영하며 불법적인 잔혹 행위를 저지른 막달레나 세탁소가 배경)에서 불편한 사실을 마주한다.

이곳 석탄 창고를 찾은 빌은 갇혀있는 세라를 발견하게 된 것. 수녀들은 굳은 표정으로 세라를 압박하며 "다른 여자 아이들이 자신을 가뒀다"는 거짓 증언을 빌 앞에서 실토하게 만든다.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경제사정이 빠듯한 빌에게, 원장수녀는 그의 아내 이름을 쓴 크리스마스 카드를 건넨다. 카드 속엔 거금의 지폐가 들어있는데, 이곳에서 본 것들을 발설하지 말라는 무언의 압박이다.
영화로 보는 클레어 키건 소설 "아침은 저절로 오는가"
빌은 자신도 미혼모의 아들이었던 사실과 자신들을 거둬준 어느 귀부인과의 유년 시절을 떠올리며 참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사고를 치는 아이들(수녀원에 있는 아이들)과 우리 아이들은 다르다"고 선긋는 아내에게 빌은 "그래도 당신은 이상하지 않은거냐"며 목소리를 높인다. 과묵하고 따뜻한 눈빛을 가졌던 빌이 처음으로 목소리를 높이는 장면이다.

두 사람이 대화를 나누는 거실 벽난로에는 자녀들이 산타에게 쓴 편지들이 땔깜과 함께 타오른다. 먹고 사는 것이 최전선인 아내에게 빌의 선량함과 크리스마스 선물에 대한 기대를 담은 딸들의 편지란 생계에 도무지 도움되지 않는 것들이다.

크리스마스 이브 예배에서, 빌은 주님의 자애로움을 읊으며 예배를 인도하는 원장 수녀를 무표정하게 바라본다. 빌이 자주 찾는 펍의 주인은 "교회에서 '어떤 소동'이 있었다면서? 그곳과 부딪쳐선 안 돼. '그것'이 알려지면 당신 주변이 당신을 손가락질하고 척지게 될 것"이라며 진심어린 걱정을 전한다. 하지만 빌의 얼굴은 혼란 속에서 어떠한 결론을 내린 것처럼 보였다.
영화로 보는 클레어 키건 소설 "아침은 저절로 오는가"
크리스마스 새벽, 빌은 남은 석탄을 수녀원에 배달하러 들른다. 창고에서 그는 "지금이 낮인가요, 밤인가요"를 묻는 세라를 또다시 만나게 된다. 몇일째인지도 모를 시간동안 창고에 갇혀 있던 아이를 일으킨 빌은 그길로 세라를 집으로 데리고 간다. 두 사람이 집으로 걸어갈 동안 마을 사람들이 두 사람을 보지만 빌은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현관문 앞에서 어정쩡하게 서있는 세라에게 손을 내민 빌은 아이들이 재잘대는 거실로 들어가며 영화는 끝을 맺는다.

클레어 키건의 문장은 군더더기가 없다. <이처럼 사소한 것>은 특히나 분량도 짧다. 역대 부커상 후보에 오른 가장 짧은 소설로 알려져있을 정도. 키건의 단문이 영화라는 시각 매체를 만났을 때 어떻게 전달될 수 있을지 궁금했다. 펄롱의 심리 묘사를 두고는 걱정스럽기도 했다. 일일이 대사로 표현할 수가 없으니까.

하지만 키건의 문장은 킬리언 머피의 눈빛과 행동으로 고스란히 전달되고 있었다.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는 선택 앞에 고뇌하는 펄롱의 내면을 이보다 더 잘 보여줄 순 없을 것 같았다. 미혼모들이 낳은 아기들의 울음, 수녀원에 갇힌 아이들의 비명 소리가 뜰 앞의 요란한 거위 울음에 묻히는 장면은 글로 읽었을 때보다 시각화해 접했을 때 더 극적이었다.

그런 가운데 빌이 손을 내미는 행위는, 세라에게는 세상이 달라지게 되는 구원의 손길이자 키건의 문학이 왜 세계적 명성을 얻었는지 다시금 깨닫게된 장면이었다. 영화는 11일 개봉, 러닝타임은 98분이다.

이해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