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칼럼]국장 떠날 때라고?…"지금은 저평가 영역 진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렘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미국증시가 지속적으로 상승해서 양도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는 반면 한국증시는 올해 초 수준보다 더 하락해서 원금을 까먹고 있다는 분노를 담은 풍자다. 특히 개인 투자자들이 좋아하는 미국 나스닥 시장은 올해 지수가 28% 상승했지만 한국 코스닥지수는 거꾸로 22% 하락했으니 국내주식 투자자들의 실망은 말로 다 표현하기 어려울 지경이다.
미국과 한국 모두 금리 하락기로 접어들고 있다. 그래서 지금은 금리 인하 시기에 과거의 주식투자 성과를 되돌아보고, 내년도 투자전략에 대해 생각해야 하는 시점이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이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목격했듯이 위기상황에서 급격하게 금리를 인하했을 때 시장은 강한 반등세를 보였다. 금리 인하에 따른 주식시장의 성과는 금리 인하의 폭 뿐만 아니라 당시의 경제상황이나 유동성 공급에 대한 정부의 정책에 따라 그 정도가 달리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 6개월 이내에는 투자심리가 안정되고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주식시장이 상승하고, 12개월 이내에서 이후 기업실적의 개선이나 경제지표의 변화에 따라 상승률의 폭이 달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분명한 것은 한국과 미국시장 모두에서 금리하락기의 주식 수익률이 양호하다는 점이다. 이를 다음의 표1과 표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한국 주식시장은 각 기업들의 수익 추정치가 계속 하향 조정되면서, 지속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현 수준의 주가는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측면에서도 저평가 국면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하향 조정되고 있는 이익 전망은 더 높았던 수익 추정치를 낮추고 있다는 것 뿐이다. 기업 이익 절대 수치는 2025년과 2026년에 모두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한국시장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8배 초반은 평균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한국 주식시장을 떠나야 한다"는 말이 자주 나온다. 하지만 지금은 반대로 한국 주식시장 투자에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다.
투자 결정을 할 때 상대적인 매력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주식 투자에서 기대 가능한 수익률과 채권수익률을 비교하기도 한다. 그래서 Earings Yield 기준으로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매력도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다. 표3을 보면 현재 한국 주식시장은 과거 평균이나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일드 갭(Yield Gap: 주식과 채권의 기대 수익률 차이)이 매우 매력적이 수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지속된다고 해도 PER 9배 이하에서 투자했을 경우 주식투자 성공확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 뿐만 아니라 주식시장의 리스크 프리미엄을 고려해서 일드갭이 5% 이상 날 경우 70% 이상은 6개월 후 주가가 상승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지금은 한국주식시장을 떠날 때가 아니고 관심을 기울여 볼 시점이다.
투자시장의 격언을 떠 올려 본다. “수익률은 다수결의 원리를 따르지 않는다.”
요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지금의 한국증시를 풍자하는 말이 돈다. “미국주식은 세금을 낸다. 그러나 국내주식은 원금을 낸다.”
미국증시가 지속적으로 상승해서 양도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는 반면 한국증시는 올해 초 수준보다 더 하락해서 원금을 까먹고 있다는 분노를 담은 풍자다. 특히 개인 투자자들이 좋아하는 미국 나스닥 시장은 올해 지수가 28% 상승했지만 한국 코스닥지수는 거꾸로 22% 하락했으니 국내주식 투자자들의 실망은 말로 다 표현하기 어려울 지경이다.
미국과 한국 모두 금리 하락기로 접어들고 있다. 그래서 지금은 금리 인하 시기에 과거의 주식투자 성과를 되돌아보고, 내년도 투자전략에 대해 생각해야 하는 시점이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이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목격했듯이 위기상황에서 급격하게 금리를 인하했을 때 시장은 강한 반등세를 보였다. 금리 인하에 따른 주식시장의 성과는 금리 인하의 폭 뿐만 아니라 당시의 경제상황이나 유동성 공급에 대한 정부의 정책에 따라 그 정도가 달리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 6개월 이내에는 투자심리가 안정되고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주식시장이 상승하고, 12개월 이내에서 이후 기업실적의 개선이나 경제지표의 변화에 따라 상승률의 폭이 달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분명한 것은 한국과 미국시장 모두에서 금리하락기의 주식 수익률이 양호하다는 점이다. 이를 다음의 표1과 표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한국 주식시장은 각 기업들의 수익 추정치가 계속 하향 조정되면서, 지속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현 수준의 주가는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측면에서도 저평가 국면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하향 조정되고 있는 이익 전망은 더 높았던 수익 추정치를 낮추고 있다는 것 뿐이다. 기업 이익 절대 수치는 2025년과 2026년에 모두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한국시장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8배 초반은 평균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한국 주식시장을 떠나야 한다"는 말이 자주 나온다. 하지만 지금은 반대로 한국 주식시장 투자에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기다.
투자 결정을 할 때 상대적인 매력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주식 투자에서 기대 가능한 수익률과 채권수익률을 비교하기도 한다. 그래서 Earings Yield 기준으로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매력도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다. 표3을 보면 현재 한국 주식시장은 과거 평균이나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일드 갭(Yield Gap: 주식과 채권의 기대 수익률 차이)이 매우 매력적이 수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지속된다고 해도 PER 9배 이하에서 투자했을 경우 주식투자 성공확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 뿐만 아니라 주식시장의 리스크 프리미엄을 고려해서 일드갭이 5% 이상 날 경우 70% 이상은 6개월 후 주가가 상승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지금은 한국주식시장을 떠날 때가 아니고 관심을 기울여 볼 시점이다.
투자시장의 격언을 떠 올려 본다. “수익률은 다수결의 원리를 따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