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출입 통제 누가 지시했나'…경찰 수뇌부 책임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확산하는 '국회 통제 누가 결정했나'
경찰청은 지휘 체계에 조지호 청장 빼고
서울청은 주관적 의견 잔뜩 나열
경찰청은 지휘 체계에 조지호 청장 빼고
서울청은 주관적 의견 잔뜩 나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서울 여의도 국회 출입 통제를 두고 누가 지시했는지에 대해 경찰청과 서울경찰청 등 경찰 내 거대 조직 간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긴급 국회 질의를 앞두고 양측이 낸 자료에서 상대의 책임이 더 크다는 식으로 마치 등 떠미는 듯한 내용과 인상 등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5일 오전부터 열리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 질의’를 앞두고 14만 경찰을 통제 관리하는 경찰청과 수도 서울의 치안을 담당하는 서울경찰청이 각각 기관 보고 자료를 제출했다.
두 자료를 살펴보면 조지호 경찰청장은 인명 피해를 우려해 통제를 지시했고,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은 지시받아 현장을 통제했다는 내용은 공통된다.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관련 시간 흐름은 다음과 같다. 3일 오후 10시 28분 ‘비상계엄 선포 대국민 담화’, 3일 오후 11시 25분 비상계엄 포고령 제1호 공포, 4일 오전 1시 1분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상정 등의 시간순으로 이뤄졌다고 양측은 명시했다.
당시 경찰은 윤 대통령의 담화문 발표 후 서울경찰청은 오후 10시 35분께 집회를 관리하는 경찰 부대 5기를 국회 정문 등 재배치했다. 조 경찰청장이 김 서울청장에게 국회 주변 안전조치 강구 지시했다. 이후 경찰은 비상계엄 포고령 확인 후 모두 국회 출입 통제했다. 당시 조 경찰청장은 한 차례 더 김 서울청장에게 지시했다. 조 청장 직속인 경비국장을 통해 서울청 공공안전차장에게 지시를 전달했다.
하지만 제출된 서류 내를 보면 각종 행간의 차이가 크다. 경찰청은 ‘서울청장이 돌발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국회 이동자를 일시 출입 통제 지시했다’고 명시했다. 이 내용을 굵은 글씨 형태로 눈에 띄도록 강조하는 등 서울청이 주도했다는 인상을 남겼다. 반면 ‘경찰청장이 서울청장에 국회 주변 안전조치를 강구하라고 지시했다’는 내용은 작게 표시했다.
또한 경찰청은 국회 사태 지휘계통 운용현황을 소개하면서 서울경찰청 지휘계통 운용 현황만 명시했다. ‘명하나’(명령권을 가진 지방청장을 일컫는 말)라인인 ‘서울청장-공공안전차장-경비부장-기동본부장-경비과장’으로 언급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실질적 지휘권자이자 인사권자인 ‘청하나’(조지호 경찰청장)는 쏙 빼놨다.
반면 서울청 자료에는 자신들이 억울하다는 의도가 더 드러난다. 경찰청 자료에는 객관적 사실 위주로 사례를 나열한 반면 서울청 자료에는 주관적 의견을 담아 당시 상황을 장황하게 변명했다. 직접 현장을 통제한 서울청은 “국회 안전확보와 질서 유지를 위해 관리부대를 국회 정문에 재배치했다” “돌발 상황 발생 우려했다” “국회 내부로 이동하려는 시위대 등을 일시적으로 차단했다” “의원 관계자 신분 확인 후 출입할 수 있도록 무전으로 지시했다” “근무 중 모든 폭력·물리적 마찰이 없도록 강조했다” 등 면피성 답변으로 일관했다. 큰 제목의 경우 ‘질서 확보’ ‘시설보호’ 등 치안 위주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전날 조 경찰청장의 ‘몰랐다’는 해명성 보도와 ‘경찰청장 패싱 논란’ 등이 연달아 언론 보도됐다.
이날 오전 부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조 경찰청장, 김 서울경찰청장 등을 불러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를 하고 있다. 경찰청 내부에선 조 경찰청장이 사안을 책임질 각오를 하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조철오 기자 cheol@hankyung.com
5일 오전부터 열리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 질의’를 앞두고 14만 경찰을 통제 관리하는 경찰청과 수도 서울의 치안을 담당하는 서울경찰청이 각각 기관 보고 자료를 제출했다.
두 자료를 살펴보면 조지호 경찰청장은 인명 피해를 우려해 통제를 지시했고,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은 지시받아 현장을 통제했다는 내용은 공통된다.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관련 시간 흐름은 다음과 같다. 3일 오후 10시 28분 ‘비상계엄 선포 대국민 담화’, 3일 오후 11시 25분 비상계엄 포고령 제1호 공포, 4일 오전 1시 1분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상정 등의 시간순으로 이뤄졌다고 양측은 명시했다.
당시 경찰은 윤 대통령의 담화문 발표 후 서울경찰청은 오후 10시 35분께 집회를 관리하는 경찰 부대 5기를 국회 정문 등 재배치했다. 조 경찰청장이 김 서울청장에게 국회 주변 안전조치 강구 지시했다. 이후 경찰은 비상계엄 포고령 확인 후 모두 국회 출입 통제했다. 당시 조 경찰청장은 한 차례 더 김 서울청장에게 지시했다. 조 청장 직속인 경비국장을 통해 서울청 공공안전차장에게 지시를 전달했다.
하지만 제출된 서류 내를 보면 각종 행간의 차이가 크다. 경찰청은 ‘서울청장이 돌발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국회 이동자를 일시 출입 통제 지시했다’고 명시했다. 이 내용을 굵은 글씨 형태로 눈에 띄도록 강조하는 등 서울청이 주도했다는 인상을 남겼다. 반면 ‘경찰청장이 서울청장에 국회 주변 안전조치를 강구하라고 지시했다’는 내용은 작게 표시했다.
또한 경찰청은 국회 사태 지휘계통 운용현황을 소개하면서 서울경찰청 지휘계통 운용 현황만 명시했다. ‘명하나’(명령권을 가진 지방청장을 일컫는 말)라인인 ‘서울청장-공공안전차장-경비부장-기동본부장-경비과장’으로 언급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실질적 지휘권자이자 인사권자인 ‘청하나’(조지호 경찰청장)는 쏙 빼놨다.
반면 서울청 자료에는 자신들이 억울하다는 의도가 더 드러난다. 경찰청 자료에는 객관적 사실 위주로 사례를 나열한 반면 서울청 자료에는 주관적 의견을 담아 당시 상황을 장황하게 변명했다. 직접 현장을 통제한 서울청은 “국회 안전확보와 질서 유지를 위해 관리부대를 국회 정문에 재배치했다” “돌발 상황 발생 우려했다” “국회 내부로 이동하려는 시위대 등을 일시적으로 차단했다” “의원 관계자 신분 확인 후 출입할 수 있도록 무전으로 지시했다” “근무 중 모든 폭력·물리적 마찰이 없도록 강조했다” 등 면피성 답변으로 일관했다. 큰 제목의 경우 ‘질서 확보’ ‘시설보호’ 등 치안 위주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전날 조 경찰청장의 ‘몰랐다’는 해명성 보도와 ‘경찰청장 패싱 논란’ 등이 연달아 언론 보도됐다.
이날 오전 부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조 경찰청장, 김 서울경찰청장 등을 불러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를 하고 있다. 경찰청 내부에선 조 경찰청장이 사안을 책임질 각오를 하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조철오 기자 che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