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대 상권 망했다"…尹 계엄령에 2번 운 '모두의 거리' [현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근 외식업 폐업 16년 만 최다
대학가 한계에 악재 첩첩산중
프랜차이즈도 텅 비어 매출 '뚝'
대면 수업 재개에도 학생들 없어
내부 자영업자들도 심각한 상황
본래 적었던 男 수요도 소멸
대학가 한계에 악재 첩첩산중
프랜차이즈도 텅 비어 매출 '뚝'
대면 수업 재개에도 학생들 없어
내부 자영업자들도 심각한 상황
본래 적었던 男 수요도 소멸
동덕여대 '모두의 거리'라는 이름이 무색해지고 있다. '모두'는커녕 아무도 없어 마치 '유령도시'처럼 돼가고 있는 것이다. 남녀공학 전환 반대 시위에 이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까지 더해지면서 학교 앞 상권이 더 위축될 분위기다. 기말고사를 앞두고 젊은이들이 학교와 상권을 메워야 할 시기에 일부 직장인과 노년층만이 거리를 지키고 있다.
한경닷컴이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통계를 분석한 결과, 동덕여대가 위치한 하월곡동에서 1~11월 폐업한 외식업(일반+휴게 음식점) 점포 수는 83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위기 사태로 인해 피해가 컸던 2008년(94곳) 이후 16년 만에 최다 기록이다. 12월분까지 포함되면 2008년과 비슷하거나 더 많아질 가능성도 있다.
이밖에 소위 '맛집'으로 분류되는 주요 음식점에도 인근 직장인이나 노년층이 자리를 채웠다. 한 생과일 주스 브랜드 점주 박모씨는 "하루에 동덕여대 학생 1명 보기도 힘들다. 매출이 40% 넘게 급감했다"며 "주변 상권 점주들과 얘기를 해봐도 평균적으로 매출이 30~50%가량 줄었다고 얘기한다"고 부연했다.대면 수업 재개됐는데도 '텅'…
동덕여대 안 자영업자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사태 후 비대면으로만 이뤄졌던 수업은 지난달 말 대면 수업과 함께 혼합 운영되는 등 대면 수업이 재개됐으나, 여전히 학생들 발길이 끊긴 상태기 때문이다.
동덕여대의 매점도 텅 빈 상태다. 이곳 관리자는 "평소 매출이 200~250만원 정도 나오는데, 시위 이후엔 10~20만원 사이로 줄었다"며 "이마저도 지난주부터 대면 수업이 시작하면서 매출이 나온 것이지 그전까지는 한동안 매출이 '제로'였다"고 토로했다. 그는 "원래 매점에서 알바하던 학생들도 매출 감소로 출근을 못 하고 있다"며 "방학보다도 매출이 더 없어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동덕여대 100주년 기념관에 위치한 피트니스센터만 해도 '가성비'로 유명해 20~30대 젊은 남성을 비롯한 인근 주민들에게 인기였으나 최근에는 발 길이 뚝 끊겼다. 최근 시위가 '젠더 갈등' 양상도 보이면서다. 이처럼 인근 상권에 원래도 적었던 남자 고객 수요가 증발한 모양새다. 한 뷰티 매장 점주는 "남자분들이 점점 더 이쪽으로 안 온다"며 "원래 남자 매출이 적은데 요즘은 전체 매출의 10%도 안 된다"고 전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경기가 안 좋아도 유동 인구로 인해 소비 여력이 유지되는 업무지구에 비해 월곡 상권은 수요가 부족하니 불경기 타격을 더 크게 입을 수밖에 없다"며 "기존에 월곡 상권이 갖고 있던 지역적 한계에 더해 최근 불거진 동덕여대 시위 등으로 인해 인근 상권에 침체를 가속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불경기에 부정적인 인식으로 한번 낙인찍히면 추후 회복이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신현보/김영리 한경닷컴 기자·김수연/노혜진/이민형 인턴 기자
16년 만에 역대급 폐업인데
한경닷컴이 서울 성북구 소재 동덕여대 앞 '모두의 거리'를 찾은 지난 3일. 이날 아침부터 오후까지 내내 거리는 한산하다 못해 텅 빈 때가 대부분이어서 으슥한 느낌까지 들었다. 이미 이곳은 내수 침체로 인해 위기가 고조되던 찰나다.한경닷컴이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통계를 분석한 결과, 동덕여대가 위치한 하월곡동에서 1~11월 폐업한 외식업(일반+휴게 음식점) 점포 수는 83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위기 사태로 인해 피해가 컸던 2008년(94곳) 이후 16년 만에 최다 기록이다. 12월분까지 포함되면 2008년과 비슷하거나 더 많아질 가능성도 있다.
프랜차이즈도 "못 살겠다"
프랜차이즈 업체들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인근의 한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 점주 50대 노모씨는 "동덕여대 사태로 인근 상권이 죽었다"까지 표현했다. 노씨는 "평균적으로 하루에 50명 넘는 동덕여대 학생들이 우리 가게를 방문했는데 지금은 기껏해야 1~2명이다. 배달 주문도 줄었다. 학생들이 학교에 안 나오니까 강의실이나 과실에서 시켜 먹는 사람 자체가 사라졌다"고 호소했다. 그렇게 학생들이 사라진 그의 가게에는 드문드문 50~60대 이상 손님들만 자리를 지켰다.이밖에 소위 '맛집'으로 분류되는 주요 음식점에도 인근 직장인이나 노년층이 자리를 채웠다. 한 생과일 주스 브랜드 점주 박모씨는 "하루에 동덕여대 학생 1명 보기도 힘들다. 매출이 40% 넘게 급감했다"며 "주변 상권 점주들과 얘기를 해봐도 평균적으로 매출이 30~50%가량 줄었다고 얘기한다"고 부연했다.
대면 수업 재개됐는데도 '텅'…
가뜩이나 적었던 남자들도 '증발'
동덕여대 안 자영업자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사태 후 비대면으로만 이뤄졌던 수업은 지난달 말 대면 수업과 함께 혼합 운영되는 등 대면 수업이 재개됐으나, 여전히 학생들 발길이 끊긴 상태기 때문이다.동덕여대의 매점도 텅 빈 상태다. 이곳 관리자는 "평소 매출이 200~250만원 정도 나오는데, 시위 이후엔 10~20만원 사이로 줄었다"며 "이마저도 지난주부터 대면 수업이 시작하면서 매출이 나온 것이지 그전까지는 한동안 매출이 '제로'였다"고 토로했다. 그는 "원래 매점에서 알바하던 학생들도 매출 감소로 출근을 못 하고 있다"며 "방학보다도 매출이 더 없어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동덕여대 100주년 기념관에 위치한 피트니스센터만 해도 '가성비'로 유명해 20~30대 젊은 남성을 비롯한 인근 주민들에게 인기였으나 최근에는 발 길이 뚝 끊겼다. 최근 시위가 '젠더 갈등' 양상도 보이면서다. 이처럼 인근 상권에 원래도 적었던 남자 고객 수요가 증발한 모양새다. 한 뷰티 매장 점주는 "남자분들이 점점 더 이쪽으로 안 온다"며 "원래 남자 매출이 적은데 요즘은 전체 매출의 10%도 안 된다"고 전했다.
"지역적 한계에 악재 겹쳐"
상권 관계자들은 학생들이 주요 타깃인 대학가는 객단가가 낮아 매출이 낮은데, 이번 일련의 사태로 인해 수요가 완전 소멸하다시피 해 더 곤욕스럽다는 분위기다. 인근 한 비 프랜차이즈 카페 점주는 "가뜩이나 어려웠는데 비상계엄 사태까지 터졌다. 여학생들이 밖으로 나오겠냐"고 하소연했다.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경기가 안 좋아도 유동 인구로 인해 소비 여력이 유지되는 업무지구에 비해 월곡 상권은 수요가 부족하니 불경기 타격을 더 크게 입을 수밖에 없다"며 "기존에 월곡 상권이 갖고 있던 지역적 한계에 더해 최근 불거진 동덕여대 시위 등으로 인해 인근 상권에 침체를 가속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불경기에 부정적인 인식으로 한번 낙인찍히면 추후 회복이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신현보/김영리 한경닷컴 기자·김수연/노혜진/이민형 인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