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 와중에 총파업 민노총, 저의 빤히 보이는 '정치 파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주노총이 윤석열 정권 퇴진을 내건 총파업 돌입을 결의했다. 비상계엄 사태를 기회로 8년 전처럼 촛불 정국을 주도해 자신들 ‘입맛’에 맞는 정부를 탄생시키겠다는 속내가 아닌지 의심스럽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은 어제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다. 오늘은 서울교통공사 노조의 파업과 탄핵 촉구 총파업대회가 예고돼 있다. 주말인 7일엔 윤 정권 퇴진 3차 총궐기 범국민대회도 연다. 11일엔 민주노총 산하 최대 산별 노조인 금속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간다. 금속노조에 속한 현대자동차와 한국GM 노조는 어제에 이어 오늘까지 부분 파업을 벌인다. 가뜩이나 고달픈 시민을 볼모로 한 파업이거나 조합원 후생과는 관계없는 ‘정치 파업’이다.
민노총은 2016년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으로 이끈 촛불집회에서 중심 역할을 했다. 조직 역량과 자금을 총동원했고 그 덕분에 탄생한 문재인 정부에서는 일등 공신을 자처했다. ‘촛불 청구서’도 내밀었다. 가파르게 오른 최저임금,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주 52시간 근로제가 당시 민주노총이 챙긴 ‘전리품’이다.
문 정부 때와 달리 화물연대 파업, 건설노조의 불법적인 행태에 법과 원칙을 앞세워 대응한 윤 정부는 민주노총 입장에서는 눈엣가시였을 것이다. 지난달 윤 대통령 지지율이 20% 밑으로 떨어지자마자 주말마다 정권 퇴진 집회를 벌여온 배경이다. 이번 비상계엄 사태로 총파업 동력까지 얻었다고 생각하겠지만, 경제도 정치도 한 치 앞이 안 보이는 와중에 파업으로 혼란을 가중한다면 납득할 국민은 많지 않을 것이다. 정권 퇴진과 총파업이 무슨 관계가 있나. 파업의 피해는 고스란히 기업과 국민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경기 악화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에 초긴장 상태인 기업들엔 그야말로 설상가상이다. 기업이야 어찌 되든 말든 다시 ‘노동 권력’을 누리기 위해 파업으로 촛불을 키우려 한다면 국민도 조합원도 등을 돌릴 것이다.
민노총은 2016년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으로 이끈 촛불집회에서 중심 역할을 했다. 조직 역량과 자금을 총동원했고 그 덕분에 탄생한 문재인 정부에서는 일등 공신을 자처했다. ‘촛불 청구서’도 내밀었다. 가파르게 오른 최저임금,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주 52시간 근로제가 당시 민주노총이 챙긴 ‘전리품’이다.
문 정부 때와 달리 화물연대 파업, 건설노조의 불법적인 행태에 법과 원칙을 앞세워 대응한 윤 정부는 민주노총 입장에서는 눈엣가시였을 것이다. 지난달 윤 대통령 지지율이 20% 밑으로 떨어지자마자 주말마다 정권 퇴진 집회를 벌여온 배경이다. 이번 비상계엄 사태로 총파업 동력까지 얻었다고 생각하겠지만, 경제도 정치도 한 치 앞이 안 보이는 와중에 파업으로 혼란을 가중한다면 납득할 국민은 많지 않을 것이다. 정권 퇴진과 총파업이 무슨 관계가 있나. 파업의 피해는 고스란히 기업과 국민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경기 악화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에 초긴장 상태인 기업들엔 그야말로 설상가상이다. 기업이야 어찌 되든 말든 다시 ‘노동 권력’을 누리기 위해 파업으로 촛불을 키우려 한다면 국민도 조합원도 등을 돌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