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치니가 가곡을 이렇게나 많이 남겨놓은 줄 미처 몰랐어요. 오페라의 대가인줄만 알았는데, 정말 흥미롭네요. 매주 배워가는 게 많은 공연이에요." 지난 2일 서울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 열린 '하우스콘서트'에서 한 관객이 이같이 말했다.
임윤찬도 다녀갔던 하우스콘서트, '예술가의집'에서 꽃피운 10년 발자취
대부분의 공연장이 문을 닫는 월요일,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는 하우스콘서트가 열린다. 시작은 2002년 7월 피아니스트 박창수의 연희동 단독주택이었다. 거실과 방 3개의 벽을 허물어 만든 공간에서, 연주자와 청중은 서로의 숨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없앤 '밀착형 공연'은 가능성이 큰 연주자를 알아볼 안목을 관객이 가질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로 기획된 것이었다. 악기 바로 옆에 있으니 작은 소리도 놓치지 않게 되고 바닥에 울리는 진동까지 느낄 수 있다. 강선애 하우스콘서트 대표는 "작은 공간에 잘 어울리는 클래식 음악을 꾸준히 전하며, 클래식 음악의 틈새 시장을 지켜왔다"고 이 공연의 의미를 설명했다.
임윤찬도 다녀갔던 하우스콘서트, '예술가의집'에서 꽃피운 10년 발자취
하우스콘서트는 2014년 12월부터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 열리고 있다. 매회 50~100명의 관객이 신발을 벗고 편안히 앉아 음악을 감상한다. 2일 공연에서 만난 최 모씨(32)는 "월요일마다 예술가의집에선 좋은 음악이 준비돼 있을거란 생각에 퇴근하자마자 발걸음을 이곳으로 옮긴 적도 많다"고 말했다. 하우스콘서트에서는 피아노부터 바이올린을 비롯해 익숙지 않은 퍼커션까지 다양한 악기 연주자를 만날 수 있다. 매년 7월마다 '줄라이 페스티벌'이라는 음악 축제도 이뤄지는데, 이때는 월요일 뿐 아니라 한달 내내 한 작곡가의 음악을 주제로 매일같이 음악회를 연다. 2020년 베토벤을 시작으로, 올해는 슈만을 탐구했다. 어느덧 이 공연은 예술가의집에서 '정기적인 클래식 약속'을 실행한지 이번달로 꼭 10년을 맞았다.

예술가의집은 본래 2010년 4월까지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의 본관이었다. 위원회가 신청사로 옮겨가면서 2010년 12월 '예술가의집'이라는 이름으로 재개관했다. 2012년 당시 권영빈 문예위원장이 예술가들과 시민이 늘 찾을 수 있는 열린 공간, 예술가와 시민이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을 고민하던 중, 하우스콘서트와 연이 닿았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가의집과 공동기획으로 첫문을 열게 된 건 2014년 12월 연말 갈라콘서트부터였다. 그렇게 하우스콘서트는 예술가의집에 온전한 둥지를 틀었다.
임윤찬도 다녀갔던 하우스콘서트, '예술가의집'에서 꽃피운 10년 발자취
문예위는 2016년부터 매년 3000만원을 하우스콘서트에 지원했다. 하우스콘서트는 이를 통해 대학로의 유일무이한 정기 클래식 프로그램으로 안착했고, 초대권이 없는 공연문화를 선도했다(티켓값은 항상 3만원이다). 이번달 말까지 열릴 공연까지 포함하면 하우스콘서트는 예술가의집에서만 521회(출연자 2702명) 열렸다. 관객수는 11월 18일 기준으로 3만1804명에 달한다. 2002년부터 따지면 하우스콘서트 개최 횟수는 1074건(12월 2일 기준)에 이른다.

다녀간 연주자의 면면도 화려하다. 2022년 반 클라이번 국제콩쿠르 최연소 1위에 빛나는 피아니스트 임윤찬도 하우스콘서트에 2번 출연한 경험이 있다. 손열음과 선우예권, 김선욱 역시 저명한 피아니스트로 하우스콘서트에서 연주했다. 특히 김선욱은 6번이나 하우스콘서트를 찾았다. 바이올린의 여제로 불리는 정경화 이화여대 석좌교수, 클라라 주미 강과 양인모 등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도 하우스콘서트의 무대를 다녀갔다. 무대가 고픈 이들에게 예술가의집과 하우스콘서트가 적절한 장을 마련해줬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다. 민관 합작의 윈윈 사례로도 주목된다.
임윤찬도 다녀갔던 하우스콘서트, '예술가의집'에서 꽃피운 10년 발자취
한국한국문화예술위원회 관계자는 "향후에도 청년예술가를 위한 공연장 제공과 실연 기회를 통한 성장 발판을 제고할 계획"이라며 "예술가의집을 다양한 소통 공간으로 활용해 시민과 예술가들을 매개하는 거점으로 삼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해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