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확대 나선 네덜란드 "기술력 탄탄한 韓은 매력적인 파트너" [김리안의 에네르기파WAR]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생에너지도 중요하지만, 원자력발전은 에너지 안보와 신뢰성 격차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2일부터 한국을 방문한 네덜란드 원자력발전 사절단의 애드 라우터 대표가 네덜란드 정부의 원전 확장 계획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다. 그는 영국, 네덜란드 정부 등이 합작해 만든 농축 우라늄 공급 업체 유렌코의 네덜란드지사 대표를 맡고 있다. 네덜란드는 대표적인 친환경 선도국이다.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이 50%에 이른다.
네덜란드 법원은 환경단체들의 기념비적인 기후위기 소송을 관할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네덜란드 정부는 50여년 만에 자국의 원자력 에너지 용량을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네덜란드의 상업용 원전은 1973년 보르셀에 지은 1기뿐이지만, 2050년까지 발전용량 1000~1600메가와트(MW) 규모의 원전 최대 4기를 추가로 건설해 전체 전력 생산량의 10~15%를 원자력이 담당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라우터 대표는 "네덜란드 정부는 안정적이고 탄소 중립적인 에너지 공급을 달성하기 위해 원자력 에너지를 재생 가능 에너지의 중요한 보완 솔루션으로 보고 있다"며 "원자력 에너지는 에너지 믹스를 다양화하고, 제어 가능한 기저 전력(baseload)을 제공하며, 열이나 수소를 생산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초기 자금으로 140억 유로를 배정했다.
그는 "네덜란드 내부에서도 핵폐기물 안전성, 비용 논란 등으로 인해 원전 추진을 우려하는 여론이 언제나 있지만, 정부가 신뢰 구축을 위해 정보 투명성 등에 힘쓰고 있다"고 했다. 이어 "추가 원전 부지의 선호 후보지인 보르셀에서 100명의 지역 주민들과 원전 용량 확장에 동의할 조건을 작성하는 주민 참여 프로그램을 시작했다"도 강조했다.
이번 방한은 원전 기술 강국인 한국의 원전 생태계를 살펴보고 한국의 원전 주역들과 소통하기 위해 이뤄졌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네덜란드 정부와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기술타당성 조사 계약을 맺고 관련 조사를 시행해 왔다. 체코에 이어 두 번째 유럽 국가에 ARP1400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라우터 대표는 "한국은 원자로 설계, 성숙한 원자력 가치사슬, 그리고 원자력 개발 및 안전 분야에서의 뛰어난 실적 덕분에 특히 매력적인 파트너"라고 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프랑스, 미국 정부와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프랑스 EDF와 미국 웨스팅하우스도 한수원과 마찬가지로 선호 부지에 대한 설계 적합성, 네덜란드 규정 준수 여부, 예상 비용 등을 검토하는 기술타당성 조사를 수행했다. 각 기관들의 연구 결과는 추후 정부의 의사 결정과 입찰 준비 과정에 반영될 예정이다. 그는 "현재 네덜란드 정부는 부지 선정 등의 정치적 결정을 준비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기술 선택 절차를 시작하고 이후 기술 선택 절차에서 선정된 기술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실제로 수행할 기업을 선정하는 입찰 과정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프랑스 등 원전 강국들이 대형 원전뿐만 아니라 소형모듈원자로(SMR)를 4세대까지 개발하고 있다. 유렌코의 SMR용 고농축 우라늄(HALEU, 농축도 20% 이하) 생산 현황에 대해서는 "영국 정부로부터 1억 9600만 파운드의 지원을 받고 영국 케이픈허스트에 첫 번째 HALEU 생산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고 했다. 이곳은 2030년대 초반이면 상업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라우터 대표는 "연간 최소 10톤의 HALEU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연간 약 10개의 신형 SMR에 핵연료를 공급하고 백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양"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엔 미국 에너지부와 10년 간 공급 계약을 맺고 유니스에 두 번째 HALEU 시설을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는 "SMR 같은 신흥 시장일 수록 이러한 정부 주도 자금 지원이 특히 유용하다"면서도 "장기 상업 계약에 의해 새로운 민간 투자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2일부터 한국을 방문한 네덜란드 원자력발전 사절단의 애드 라우터 대표가 네덜란드 정부의 원전 확장 계획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다. 그는 영국, 네덜란드 정부 등이 합작해 만든 농축 우라늄 공급 업체 유렌코의 네덜란드지사 대표를 맡고 있다. 네덜란드는 대표적인 친환경 선도국이다.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이 50%에 이른다.
네덜란드 법원은 환경단체들의 기념비적인 기후위기 소송을 관할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네덜란드 정부는 50여년 만에 자국의 원자력 에너지 용량을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네덜란드의 상업용 원전은 1973년 보르셀에 지은 1기뿐이지만, 2050년까지 발전용량 1000~1600메가와트(MW) 규모의 원전 최대 4기를 추가로 건설해 전체 전력 생산량의 10~15%를 원자력이 담당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라우터 대표는 "네덜란드 정부는 안정적이고 탄소 중립적인 에너지 공급을 달성하기 위해 원자력 에너지를 재생 가능 에너지의 중요한 보완 솔루션으로 보고 있다"며 "원자력 에너지는 에너지 믹스를 다양화하고, 제어 가능한 기저 전력(baseload)을 제공하며, 열이나 수소를 생산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초기 자금으로 140억 유로를 배정했다.
그는 "네덜란드 내부에서도 핵폐기물 안전성, 비용 논란 등으로 인해 원전 추진을 우려하는 여론이 언제나 있지만, 정부가 신뢰 구축을 위해 정보 투명성 등에 힘쓰고 있다"고 했다. 이어 "추가 원전 부지의 선호 후보지인 보르셀에서 100명의 지역 주민들과 원전 용량 확장에 동의할 조건을 작성하는 주민 참여 프로그램을 시작했다"도 강조했다.
이번 방한은 원전 기술 강국인 한국의 원전 생태계를 살펴보고 한국의 원전 주역들과 소통하기 위해 이뤄졌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네덜란드 정부와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기술타당성 조사 계약을 맺고 관련 조사를 시행해 왔다. 체코에 이어 두 번째 유럽 국가에 ARP1400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라우터 대표는 "한국은 원자로 설계, 성숙한 원자력 가치사슬, 그리고 원자력 개발 및 안전 분야에서의 뛰어난 실적 덕분에 특히 매력적인 파트너"라고 했다.
네덜란드 정부는 프랑스, 미국 정부와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프랑스 EDF와 미국 웨스팅하우스도 한수원과 마찬가지로 선호 부지에 대한 설계 적합성, 네덜란드 규정 준수 여부, 예상 비용 등을 검토하는 기술타당성 조사를 수행했다. 각 기관들의 연구 결과는 추후 정부의 의사 결정과 입찰 준비 과정에 반영될 예정이다. 그는 "현재 네덜란드 정부는 부지 선정 등의 정치적 결정을 준비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기술 선택 절차를 시작하고 이후 기술 선택 절차에서 선정된 기술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실제로 수행할 기업을 선정하는 입찰 과정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프랑스 등 원전 강국들이 대형 원전뿐만 아니라 소형모듈원자로(SMR)를 4세대까지 개발하고 있다. 유렌코의 SMR용 고농축 우라늄(HALEU, 농축도 20% 이하) 생산 현황에 대해서는 "영국 정부로부터 1억 9600만 파운드의 지원을 받고 영국 케이픈허스트에 첫 번째 HALEU 생산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고 했다. 이곳은 2030년대 초반이면 상업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라우터 대표는 "연간 최소 10톤의 HALEU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연간 약 10개의 신형 SMR에 핵연료를 공급하고 백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양"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엔 미국 에너지부와 10년 간 공급 계약을 맺고 유니스에 두 번째 HALEU 시설을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는 "SMR 같은 신흥 시장일 수록 이러한 정부 주도 자금 지원이 특히 유용하다"면서도 "장기 상업 계약에 의해 새로운 민간 투자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