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포브스 "尹, '코리아 디스카운트' 옳다는 것 증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계엄, 일본 같은 '잃어버린 10년' 몰고 갈 가능성 높아"
"계엄 시도, 5100만 국민이 할부로 대가 치르게 될 것"
"계엄 시도, 5100만 국민이 할부로 대가 치르게 될 것"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는 6일(현지시간)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윤 대통령이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증시 저평가)가 옳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평가했다.
포브스는 '윤 대통령의 절박한 묘책이 한국의 GDP를 위협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계엄령이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며 이같이 보도했다.
포브스는 "윤 대통령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옳았음을 입증했다"며 이번 계엄 사태가 과거 한국의 군부 통치를 떠올리게 한다고 말했다.
또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준비가 덜 되어 있다는 인식을 강화했다"며 "투자자들이 아시아에서 계엄령 시행자를 연상할 때 인도네시아, 미얀마, 필리핀, 태국, 그리고 이제는 한국도 떠올릴 것"이라고 언급했다.
신문은 "윤 대통령의 절망적 책략이 아시아 4위 경제를 어떻게 자충수에 빠뜨릴 것인가가 문제"라며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계엄 사태의 경제적 영향은 제한적이고 경기 침체 우려는 과도하다"고 밝힌 점을 언급했다.
그러나 포브스는 △중국 경제 둔화 △미국의 정권교체 등 대외 변수에 직면한 상황에서 계엄 사태로 정치적 마비가 초래돼 한국이 적절히 대응할 가능성이 줄었다고 경고했다.
포브스는 "이번 사태로 한국 정부가 경제 위기에 신속히 대응할 전망은 사실상 사라졌다"며 "윤 대통령이 탄핵을 면하더라도 그의 입법 능력은 크게 제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이 행정부는 레임덕 상태를 넘어 잊혀지는 영역에 들어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번 계엄령이 한국을 일본과 같은 '잃어버린 10년'으로 몰고 갈 가능성을 높인다"며 "윤 대통령이 지난 941일을 경쟁력 강화와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에 활용했다면 중국의 경기 둔화와 트럼프 당선인의 무역 전쟁에 더 잘 대처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윤 대통령의 이기적인 계엄령 시도의 대가는 한국의 5100만 국민이 시간에 걸쳐, 할부로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포브스는 '윤 대통령의 절박한 묘책이 한국의 GDP를 위협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계엄령이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며 이같이 보도했다.
포브스는 "윤 대통령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주장하는 투자자들이 옳았음을 입증했다"며 이번 계엄 사태가 과거 한국의 군부 통치를 떠올리게 한다고 말했다.
또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준비가 덜 되어 있다는 인식을 강화했다"며 "투자자들이 아시아에서 계엄령 시행자를 연상할 때 인도네시아, 미얀마, 필리핀, 태국, 그리고 이제는 한국도 떠올릴 것"이라고 언급했다.
신문은 "윤 대통령의 절망적 책략이 아시아 4위 경제를 어떻게 자충수에 빠뜨릴 것인가가 문제"라며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계엄 사태의 경제적 영향은 제한적이고 경기 침체 우려는 과도하다"고 밝힌 점을 언급했다.
그러나 포브스는 △중국 경제 둔화 △미국의 정권교체 등 대외 변수에 직면한 상황에서 계엄 사태로 정치적 마비가 초래돼 한국이 적절히 대응할 가능성이 줄었다고 경고했다.
포브스는 "이번 사태로 한국 정부가 경제 위기에 신속히 대응할 전망은 사실상 사라졌다"며 "윤 대통령이 탄핵을 면하더라도 그의 입법 능력은 크게 제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이 행정부는 레임덕 상태를 넘어 잊혀지는 영역에 들어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번 계엄령이 한국을 일본과 같은 '잃어버린 10년'으로 몰고 갈 가능성을 높인다"며 "윤 대통령이 지난 941일을 경쟁력 강화와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에 활용했다면 중국의 경기 둔화와 트럼프 당선인의 무역 전쟁에 더 잘 대처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윤 대통령의 이기적인 계엄령 시도의 대가는 한국의 5100만 국민이 시간에 걸쳐, 할부로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