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사진=한경DB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사진=한경DB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이은 다음 '타깃'이 누가 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경찰청 특별수사단은 8일 김 전 장관에 대한 통신내역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았다고 밝히며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등 군 장성 4명에 대한 영장은 기각됐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경찰의 수사 방향이 "병력 투입과 포고령 작성 등을 몰랐다"고 주장하는 박 총장이 아닌 여 전 사령관에게 쏠렸다는 해석이 나온다.

여 전 사령관은 김 전 장관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윤석열 대통령과도 충암고 학연으로 묶인다. 김 전 장관이 대통령 경호처장일 때 한남동 공관에서 모임을 가져 논란이 되기도 했다. 계엄이 지속됐다면 여 사령관은 합동수사본부장을 맡을 예정이었다.

합동수사본부장은 1979년 10·26 사태로 촉발된 '서울의 봄' 비상계엄 때 전두환 전 대통령이 맡았던 역할이다. 김 전 장관의 측근으로 평가되는 이유다.

실제로 계엄령이 선포된 직후 여 전 사령관은 정치인 등 주요 인사 체포를 시도하는 등 계엄령 집행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치권에선 방첩사가 여 전 사령관 재임 시기에 계엄 실행 계획을 사전 준비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국방부는 '계엄 사전회의' 의혹이 제기된 방첩사 장성 두 명에 대해 전날 직무정지 조치를 내렸다.

김 전 장관을 긴급체포해 수사 중인 검찰도 여 전 사령관을 향해 수사가 뻗어나갈 가능성에 대해 거론되고 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사건의 '이첩 요청권'을 발동했지만, 검경이 모두 "법률 검토를 하겠다"며 시간을 번 만큼, 김 전 장관에 이어 여 전 사령관을 향한 수사 경쟁이 벌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여 전 사령관은 계엄 해제 이후인 지난 7일 국회에서 취재진에게 "맞고 틀리고를 떠나 위기 상황에 군인들은 명령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치인을 체포하란 명령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