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저축은행·여전사, 충분한 가용 유동성 확보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감원, 저축은행·여전사 CEO와 현안 간담회 개최

김병칠 금감원 은행·중소금융 부원장은 10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7개 저축은행·여신전문금융사 최고경영자(CEO) 및 협회와 현안 간담회를 열고 각 업권의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지난 6일 기준 저축은행 총수신은 102조8000억원으로 9월 말(102조6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여전채 발행 및 여전사 외화 자금 조달도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평가다.
금감원은 간담회에서 가용 유동성 확보와 비상대응체계 재점검, 부실자산의 신속한 정리 등을 당부하는 한편, 취약 차주 대상 금융공급이 위축되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를 강조했다. 특히 저축은행은 3중 유동성 대응체계를 재점검해 비상시 문제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저축은행 업계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장 재구조화·정리 계획을 신속히 이행하는 등 건전성 제고 노력을 지속하되, 부실 정리를 통해 확보된 신규 여력은 지역서민 금융공급 등 본연의 역할을 제고해 나가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여전업권은 업권 차원에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 또 안정적인 조달여건을 토대로 서민 금융공급 역할을 지속 추진하며 자산건전성 및 손실 흡수능력을 충분한 수준으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