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겐, 피부에 좋은 줄 알았는데…'대반전' 결과 나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콜라겐의 '배신', 암 전이 돕는다…GIST 연구진 규명
남정석 생명과학부 연구팀
"암 전이 단백질이 콜라겐 분해해 암 전이 촉진"
남정석 생명과학부 연구팀
"암 전이 단백질이 콜라겐 분해해 암 전이 촉진"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암 전이 단백질인 디스에드헤린(Dysadherin)이 콜라겐 분해 및 재배치로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촉진하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암의 악성화 및 전이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남정석 GIST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2022년 수행한 선행 연구에서 디스에드헤린이 세포신호변환을 통해 암의 악성화 및 전이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를 억제하는 펩타이드 항암제를 발굴한 바 있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대장암 환자의 단일세포 공개데이터 분석 및 임상 조직 분석을 통해 디스에드헤린이 종양 미세환경 내 세포외기질의 대표적 구성 성분인 콜라겐의 리모델링(구조적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남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 전이 단백질인 디스에드헤린에 의한 종양 미세환경 변화를 통해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촉진하는 신규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향후 종양 악성화 및 전이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남 교수가 지도하고 이충재 박사(국립암센터 박사후 연구원)가 수행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IRC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GIST GRI 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달 30일 게재됐다.
광주=임동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