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 '맑음', 자동차, 철강 '흐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상의, 내년 산업기상도 전망..AI산업과 트럼프 정책에 희비 엇갈려
정치혼란·미중갈등 불확실성 커...경제법안 처리와 실리외교 당부
정치혼란·미중갈등 불확실성 커...경제법안 처리와 실리외교 당부
내년 산업기상도는 AI산업 성장세와 트럼프 2기 정책에 따라 희비가 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11개 주요 업종별 협회와 함께 실시한 '2025년 산업기상도 전망 조사'에 따르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 바이오 기계 업종은 '대체로 맑음', 자동차 이차전지 섬유패션 철강 석유화학 건설 분야는 '흐림'으로 예보됐다.
반도체산업은 데이터센터, 서버 등 AI산업 인프라 지속투자, AI기기(device) 시장출시로 인해 고부가가치 반도체의 견고한 상승 흐름이 예상된다.
미국의 대중수출 규제 압박 및 관세 인상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급격한 시황 악화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올해 수출은 전년대비 41% 증가한 1,390억달러, 2025년에는 소폭(-2.9%) 감소한 1,350억달러를 전망했다.
디스플레이산업 역시 스마트폰 AI기능 적용 본격화에 따른 교체수요, 프리미엄 OLED IT·TV 출하량 증가로 인해 '대체로 맑음'으로 예보됐다.
특히, 내년 출시될 아이폰17 전 모델에 LTPO(저전력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될 예정으로, 이전 모델 공급경험이 있는 국내 기업 수혜가 기대돼, 내년 수출은 올해 대비 4% 가량 증가한 194.8억달러로 전망된다.
조선업은 트럼프의 화석연료 부흥책에 따라 에너지 운반선(탱커, LNG운반선) 발주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건조·수리·선박수출 분야에서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 기대감이 호재로, 선박류 수출액은 올해 대비 9.1% 증가한 267.6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산업은 트럼프 정부의 약가인하 정책기조, EU·미국의 교체 처방 장려 등으로 인해 바이오시밀러 분야 국내기업의 글로벌 진출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업종은 ‘흐림’으로 예보됐다.
트럼프 당선에 따른 통상 환경 악화, 중국 자동차 산업 팽창을 위협요인으로 꼽았고, 이에 따라 내년 수출은 올해 대비 3.1% 감소한 270만대로 예상된다.
철강산업 역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부과 및 수입쿼터 축소 가능성 우려와 자동차·건설 등 수요산업 부진, 중국의 공급과잉에 따른 원가 이하 수출공세 등으로 인해 ‘흐림’으로 전망됐다.
배터리는 중국 저가 제품이 유럽 등 주요시장 공세로 우리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가장 큰 하방리스크로 꼽았다.
중국 배터리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중국 제외)은 2021년 18.2%에서 2024년 상반기 38%로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다만 최근 주요국들의 ESS 수요 급증에 따른 수주확대, 對中 고율 관세부과에 따른 반사이익은 긍정적 요인으로 전망된다.
석유화학산업은 누적된 신증설 물량과 구조적 공급 과잉으로 단기간에 드라마틱한 시황 반전은 어려울 것이며, 섬유패션산업은 트럼프 정부의 대중 고관세 부과가 국내와 동남아 등지에서 중국산 덤핑 물량 증가를 부추기진 않을지 우려된다.
건설업 부진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건설협회는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설수주액이 올해 10월까지 누계기준 전년동기대비 0.1% 감소한 약보합 수준"이라며 '흐림'로 전망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미중 무역갈등과 중국의 저가공세, 국내 정치혼란 불확실성 지속이 업종 전반의 성장세 하락을 부추기지 않을까 업계의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정부의 실리적 외교 노력은 물론, 첨단산업 인프라 구축 지원 등 시급한 경제법안들의 국회 처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정윤선임기자 jypark@wowtv.co.kr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11개 주요 업종별 협회와 함께 실시한 '2025년 산업기상도 전망 조사'에 따르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 바이오 기계 업종은 '대체로 맑음', 자동차 이차전지 섬유패션 철강 석유화학 건설 분야는 '흐림'으로 예보됐다.
반도체산업은 데이터센터, 서버 등 AI산업 인프라 지속투자, AI기기(device) 시장출시로 인해 고부가가치 반도체의 견고한 상승 흐름이 예상된다.
미국의 대중수출 규제 압박 및 관세 인상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급격한 시황 악화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올해 수출은 전년대비 41% 증가한 1,390억달러, 2025년에는 소폭(-2.9%) 감소한 1,350억달러를 전망했다.
디스플레이산업 역시 스마트폰 AI기능 적용 본격화에 따른 교체수요, 프리미엄 OLED IT·TV 출하량 증가로 인해 '대체로 맑음'으로 예보됐다.
특히, 내년 출시될 아이폰17 전 모델에 LTPO(저전력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될 예정으로, 이전 모델 공급경험이 있는 국내 기업 수혜가 기대돼, 내년 수출은 올해 대비 4% 가량 증가한 194.8억달러로 전망된다.
조선업은 트럼프의 화석연료 부흥책에 따라 에너지 운반선(탱커, LNG운반선) 발주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건조·수리·선박수출 분야에서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 기대감이 호재로, 선박류 수출액은 올해 대비 9.1% 증가한 267.6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산업은 트럼프 정부의 약가인하 정책기조, EU·미국의 교체 처방 장려 등으로 인해 바이오시밀러 분야 국내기업의 글로벌 진출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업종은 ‘흐림’으로 예보됐다.
트럼프 당선에 따른 통상 환경 악화, 중국 자동차 산업 팽창을 위협요인으로 꼽았고, 이에 따라 내년 수출은 올해 대비 3.1% 감소한 270만대로 예상된다.
철강산업 역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부과 및 수입쿼터 축소 가능성 우려와 자동차·건설 등 수요산업 부진, 중국의 공급과잉에 따른 원가 이하 수출공세 등으로 인해 ‘흐림’으로 전망됐다.
배터리는 중국 저가 제품이 유럽 등 주요시장 공세로 우리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가장 큰 하방리스크로 꼽았다.
중국 배터리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중국 제외)은 2021년 18.2%에서 2024년 상반기 38%로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다만 최근 주요국들의 ESS 수요 급증에 따른 수주확대, 對中 고율 관세부과에 따른 반사이익은 긍정적 요인으로 전망된다.
석유화학산업은 누적된 신증설 물량과 구조적 공급 과잉으로 단기간에 드라마틱한 시황 반전은 어려울 것이며, 섬유패션산업은 트럼프 정부의 대중 고관세 부과가 국내와 동남아 등지에서 중국산 덤핑 물량 증가를 부추기진 않을지 우려된다.
건설업 부진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건설협회는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설수주액이 올해 10월까지 누계기준 전년동기대비 0.1% 감소한 약보합 수준"이라며 '흐림'로 전망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미중 무역갈등과 중국의 저가공세, 국내 정치혼란 불확실성 지속이 업종 전반의 성장세 하락을 부추기지 않을까 업계의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정부의 실리적 외교 노력은 물론, 첨단산업 인프라 구축 지원 등 시급한 경제법안들의 국회 처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정윤선임기자 jypark@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