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탕 가처분으로 시장교란했던 법꾸라지 MBK 데자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있지도 않은 일 가정해 또 가처분…시장·주주 혼란 키워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를 시도하다 비밀유지계약 위반 가능성 논란에 휩싸이는 등 궁지에 몰린 MBK파트너스가 존재하지도 않는 허위사실을 가정해 또 다시 가처분 소송을 벌이며 고려아연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확산하려 하고 있다.
또한, 시장과 언론을 호도하는 등 과거 보여줬던 법꾸라지 행태를 또 다시 이어가며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특히 앞뒤가 다른 얘기를 꺼내 들며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의 명분과 논리가 없음을 스스로 고백했다.
MBK 측은 최근 당사를 비난하는 입장문을 내며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MBK 경영실패 사례와 관련해 “사모투자 운용사가 모든 투자에서 성공할 수는 없다, 모든 기업들이 실행하는 신규사업들이 승승장구하기만 하지는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라며 당사와 당사 경영진을 직접 겨냥해 비판했다.
또한 "MBK 파트너스가 2008년 인수했던 종합유선방송회사(MSO) 씨앤앰은 결과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투자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고 실토하면서도 고려아연의 신사업 투자 등에 대해선 전혀 다른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
이를 두고 금융투자업계와 언론계에선 내로남불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MBK는 고려아연의 자원순환 사업 등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투자를 문제 삼으며, 최윤범 회장 등 경영진 교체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수차례 강조해왔다.
하지만 이는 해당 산업과 기술, 장기적 안목과 시장에 대한 이해 없이 단기적인 식견에 매몰된 채 일방적인 주장을 펼쳐온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 당사의 입장이었다.
게다가 이번엔 MBK 스스로 모든 투자가 성공할 수가 없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신규 사업들이 승승장구하기만 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면서도, 초기 투자 단계를 넘어 안착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자원순환 사업을 표적삼아 당사에 대한 적대적M&A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모순된 행태를 보이고 있다.
내로남불 그 자체다.
이 때문에 MBK 측이 스스로 언급했던 그간의 투자 실패와 경영 무능력, 그리고 자신들이 일으켜온 수많은 사회적 문제와 논란에 대해 뒤돌아보고, 최근 급격하게 확산하고 있는 비판 여론을 감안해 자중과 반성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고려아연은 공개매수로 취득한 자기주식을 적절한 시기에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고려아연은 이미 법원은 물론 주주와 시장, 금융당국에 지난 공개매수로 취득한 자기주식을 전량 소각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리고 이 약속을 차질 없이 이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MBK는 이런 절차와 상식을 무시하고, 있지도 않은 일을 가정해 또다시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냈다.
고려아연은 상대 측의 주장이 허황되고, 존재하지도 가능하지도 않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
MBK와 영풍 측은 지난 공개 매수 과정에서 1차 가처분에 이어 재탕 가처분을 무리하게 신청했다가 모두 기각됐고 해당 가처분을 활용해 사기적 부정거래와 시세조종, 시장 교란 의혹으로 조사를 받고 있는 상태인데도 또 다시 법꾸라지 버릇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이런 MBK의 행태가 이른바 ‘꾼의 수법’이라는 점은 이제 국민과 언론이 모두 소상히 알고 있다.
MBK의 주장에 따르면 MBK는 310억 달러(약 44조 원) 규모의 자금을 운영하는 동북아 최대 펀드다.
그럼에도 중국 자본이 얼마나 많이 포함돼 있는지, 세부적으로 어떤 자금을 받고 있는지 알 수조차 없고, 의사결정구조와 방식, 자금운영 형태와 방식 등 대부분의 사안들이 베일에 싸여 있을 정도로 불투명한 거버넌스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엔 고려아연으로부터 받은 핵심자료들을 활용해 적대적M&A를 시도한 게 아니냐는 언론의 의혹까지 받고 있다.
이에 대한 해명으로 MBK 측이 주장했던 차이니스 월(정보교류 차단)이 유명무실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더해 내부통제시스템 부실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MBK는 최근 불안정한 정국과 경제적 위기 상황 속에서 국내 산업계의 위기감이 커지는 것은 뒷전으로 한 채 뜬금없는 기자회견을 열며 적대적 M&A를 당위성을 설파했지만 고려아연 기술과 사업에 대한 몰이해만 드러낸 바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근거 없는 허위 사실로 의혹 제기를 하더니 있지도 않은 가정을 근거로 법원에 가처분 신청까지 제기하며 스스로 법적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을 지속적으로 만들고 있다.
또한, 시장과 언론을 호도하는 등 과거 보여줬던 법꾸라지 행태를 또 다시 이어가며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특히 앞뒤가 다른 얘기를 꺼내 들며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의 명분과 논리가 없음을 스스로 고백했다.
MBK 측은 최근 당사를 비난하는 입장문을 내며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MBK 경영실패 사례와 관련해 “사모투자 운용사가 모든 투자에서 성공할 수는 없다, 모든 기업들이 실행하는 신규사업들이 승승장구하기만 하지는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라며 당사와 당사 경영진을 직접 겨냥해 비판했다.
또한 "MBK 파트너스가 2008년 인수했던 종합유선방송회사(MSO) 씨앤앰은 결과적으로 성공하지 못한 투자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고 실토하면서도 고려아연의 신사업 투자 등에 대해선 전혀 다른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
이를 두고 금융투자업계와 언론계에선 내로남불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MBK는 고려아연의 자원순환 사업 등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투자를 문제 삼으며, 최윤범 회장 등 경영진 교체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수차례 강조해왔다.
하지만 이는 해당 산업과 기술, 장기적 안목과 시장에 대한 이해 없이 단기적인 식견에 매몰된 채 일방적인 주장을 펼쳐온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 당사의 입장이었다.
게다가 이번엔 MBK 스스로 모든 투자가 성공할 수가 없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신규 사업들이 승승장구하기만 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면서도, 초기 투자 단계를 넘어 안착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자원순환 사업을 표적삼아 당사에 대한 적대적M&A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모순된 행태를 보이고 있다.
내로남불 그 자체다.
이 때문에 MBK 측이 스스로 언급했던 그간의 투자 실패와 경영 무능력, 그리고 자신들이 일으켜온 수많은 사회적 문제와 논란에 대해 뒤돌아보고, 최근 급격하게 확산하고 있는 비판 여론을 감안해 자중과 반성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고려아연은 공개매수로 취득한 자기주식을 적절한 시기에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고려아연은 이미 법원은 물론 주주와 시장, 금융당국에 지난 공개매수로 취득한 자기주식을 전량 소각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리고 이 약속을 차질 없이 이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MBK는 이런 절차와 상식을 무시하고, 있지도 않은 일을 가정해 또다시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냈다.
고려아연은 상대 측의 주장이 허황되고, 존재하지도 가능하지도 않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
MBK와 영풍 측은 지난 공개 매수 과정에서 1차 가처분에 이어 재탕 가처분을 무리하게 신청했다가 모두 기각됐고 해당 가처분을 활용해 사기적 부정거래와 시세조종, 시장 교란 의혹으로 조사를 받고 있는 상태인데도 또 다시 법꾸라지 버릇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이런 MBK의 행태가 이른바 ‘꾼의 수법’이라는 점은 이제 국민과 언론이 모두 소상히 알고 있다.
MBK의 주장에 따르면 MBK는 310억 달러(약 44조 원) 규모의 자금을 운영하는 동북아 최대 펀드다.
그럼에도 중국 자본이 얼마나 많이 포함돼 있는지, 세부적으로 어떤 자금을 받고 있는지 알 수조차 없고, 의사결정구조와 방식, 자금운영 형태와 방식 등 대부분의 사안들이 베일에 싸여 있을 정도로 불투명한 거버넌스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엔 고려아연으로부터 받은 핵심자료들을 활용해 적대적M&A를 시도한 게 아니냐는 언론의 의혹까지 받고 있다.
이에 대한 해명으로 MBK 측이 주장했던 차이니스 월(정보교류 차단)이 유명무실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더해 내부통제시스템 부실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MBK는 최근 불안정한 정국과 경제적 위기 상황 속에서 국내 산업계의 위기감이 커지는 것은 뒷전으로 한 채 뜬금없는 기자회견을 열며 적대적 M&A를 당위성을 설파했지만 고려아연 기술과 사업에 대한 몰이해만 드러낸 바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근거 없는 허위 사실로 의혹 제기를 하더니 있지도 않은 가정을 근거로 법원에 가처분 신청까지 제기하며 스스로 법적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을 지속적으로 만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