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탄핵안 가결에…"이제 국장 들어가도 되나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시·환율에 미칠 영향은
두 전직 대통령 탄핵 가결 후 헌재 결정까지
코스피, 박근혜 3.5% 상승·노무현 9.4% 하락 흐름
"정치 영향 단기에 그쳐…경제 펀더멘털 중요"
두 전직 대통령 탄핵 가결 후 헌재 결정까지
코스피, 박근혜 3.5% 상승·노무현 9.4% 하락 흐름
"정치 영향 단기에 그쳐…경제 펀더멘털 중요"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4일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대에 오르게 됐다. 헌재는 국회가 넘긴 탄핵안을 받아 최장 180일 동안 심리한 다음 인용 또는 기각 결정을 내린다.
ADVERTISEMENT
특히 2016년 12월8일 박 전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 본회의에 보고된 날 코스피는 1.97% 급등했고, 인용 당일에도 0.3% 상승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때의 경우에는 반대의 흐름이 나타났다. 탄핵안 발의 후 국회에서 가결(2004년 3월8일)될 때까지 코스피 지수는 5.7% 떨어졌다. 국회 가결 후 헌재에서 '기각' 결정을 받은 날(2004년 5월14일)까지 코스피는 9.4% 추가로 하락했다.
ADVERTISEMENT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004년 탄핵 때는 증시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이는 미국의 조기 금리인상 전망이 나오던 시기와 겹치고, 고유가와 중국의 긴축 정책에 따라 투자 심리가 악화한 영향이 컸다"며 "반면 2017년에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대와 함께 반도체 업황이 회복기에 진입하는 단계였고, 수출 지표도 나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박 전 대통령 때 환율은 국회 탄핵 가결 이후 상승했는데 이는 당시 미국 트럼프 대통령(1기) 당선으로 인한 영향도 있었다"며 "헌재에서 탄핵 인용 이후 다시 원·달러 환율이 하락세를 보이는 등 원화 가치가 안정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또 탄핵 정국에서 정부의 재정 투입이나 정책 수단 동원에서의 차질, 불확실성이 완전히 걷히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들의 투자 위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과거 탄핵 정국에서 주식 시장을 보면 대체로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에 그쳤다"며 "글로벌 경제 상황이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