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6월 진행된 남북미 판문점 회동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문재인 전 대통령(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오른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연합뉴스
2019년 6월 진행된 남북미 판문점 회동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문재인 전 대통령(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오른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와의 조기 회담을 추진할 가능성은 작고, 양국 간 대화 재개에 한국의 역할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17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게리 세이모어 전 미국 백악관 대량살상무기(WMD) 정책조정관은 "트럼프는 분명히 김정은과의 외교를 재개할 의향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다지 높은 우선순위는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언젠가는 김정은과의 외교가 재개될 수 있고, 이는 김정은이 관심을 가졌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앤드루 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 석좌도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과 논의가 있기 전 먼저 조건이 마련돼야 한다"며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협상이 시작되면 러시아에 군인을 파병한 북한과도 대화가 가능하다고 암시했다.

미국과 북한 간 대화가 언제 이뤄지든 한국의 역할은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대니얼 스나이더 스탠퍼드대학 동아시아학 교수는 VOA에 "트럼프 정부는 한국의 어떤 채널도 거치지 않을 것이라고 100% 확신한다"며 "트럼프 정부는 한국을 매우 불신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럼프는 미국 정부를 포함해서 누구와도 자세히 논의하지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는 전형적인 방식으로 진행할 것이고, 한국을 포함한 누구에게도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더군다나 최근 한국의 탄핵 정국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점도 상황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에번스 리비어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VOA에 "한국의 정치적 공백과 선출된 대통령의 부재가 트럼프 취임 후 한국이 미국에 입장을 밝히려는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언급했다.

리비어 전 부차관보는 "새로운 대선이 치러지고 한국에서 민주당이 집권하면 미국과 진보적인 한국 정부가 중국, 러시아, 일본, 가치 외교, 북한, 우크라이나, 무역, 부담 분담 및 기타 동맹 관련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문제에서 갈등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