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계층 이동 사다리...소득분위 상승 20% 안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계청 '2017~2022년 소득이동통계'
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계층(소득분위)이 오른 국민은 10명 중 2명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상위 20% 계층으로 한번 들어가면 꾸준히 경제적 지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의 '계층 이동 사다리'가 원활히 작동하지 않는 걸 보여준다.
통계청은 18일 이런 내용 등이 담긴 ‘2017~2022년 소득이동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년과 비교해 소득분위가 이동한 사람은 34.9%로 집계됐다. 이중 상향 이동한 사람은 17.6%, 하향 이동한 사람은 17.4%였다. 경제활동을 통해 소득분위 계층이 오른 사람이 10명 중 2명도 안 된다는 의미다. 나머지 65%가량은 소득 분위 이동이 없었다. 소득분위 상향·하향 비율은 2020년 각각 18.2%, 17.6%를 기록한 뒤 하락해 2021년 이후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고소득층은 상대적으로 계층 변화가 많지 않았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소득분위 유지 비율은 2022년 기준 86.0%로 다른 소득분위 중 가장 높았다. 2021년 5분위였던 사람 10명 중 8명 이상이 이듬해에도 5분위를 유지했다는 뜻이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소득분위 유지 비율도 69.1%에 달했다. 2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소득분위 유지 비율이 높다는 것은 소득 양극화로 인해 우리 사회의 역동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격차도 나타났다. 2022년 소득 분위 상향 이동 비율은 여자(18%)가 남자(17.2%)보다 높았다. 하향 비율 역시 여자(18%)가 남자(16.8%)보다 높았다. 특히 65세 이상 여성은 상향 이동 비율이 2020년 8.7%에서 2022년 7.6%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소득 하향 이동 비율은 11.4%에서 12.5%로 높아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65세 이상 여성층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고용 충격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았다”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 소득 이동 비율을 보면 청년층(15∼39세)이 41.0%로 가장 높았고 이어 중장년층(40∼64세·32.2%), 노년층(65세 이상·25.7%) 등 순이었다.
청년층은 상향 이동 비율(23.0%)이 하향 이동 비율(18.0%)보다 높았고 노년층·중장년층은 하향 이동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국민 3분의 2 가량은 절대적인 소득 수준이 높아졌다. 2022년 소득금액 자체가 전년보다 늘어난 사람은 64.4%에 달했다. 소득이 전년보다 줄어든 사람은 32.9%였다. 2.7%는 2년간 소득이 동일했다.
소득이동통계는 올해 처음 공표된 통계로, 개인이 벌어들인 근로·사업소득의 변화를 보여준다. 통계의 표본은 1100만명에 달한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통계청은 18일 이런 내용 등이 담긴 ‘2017~2022년 소득이동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년과 비교해 소득분위가 이동한 사람은 34.9%로 집계됐다. 이중 상향 이동한 사람은 17.6%, 하향 이동한 사람은 17.4%였다. 경제활동을 통해 소득분위 계층이 오른 사람이 10명 중 2명도 안 된다는 의미다. 나머지 65%가량은 소득 분위 이동이 없었다. 소득분위 상향·하향 비율은 2020년 각각 18.2%, 17.6%를 기록한 뒤 하락해 2021년 이후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고소득층은 상대적으로 계층 변화가 많지 않았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소득분위 유지 비율은 2022년 기준 86.0%로 다른 소득분위 중 가장 높았다. 2021년 5분위였던 사람 10명 중 8명 이상이 이듬해에도 5분위를 유지했다는 뜻이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소득분위 유지 비율도 69.1%에 달했다. 2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소득분위 유지 비율이 높다는 것은 소득 양극화로 인해 우리 사회의 역동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격차도 나타났다. 2022년 소득 분위 상향 이동 비율은 여자(18%)가 남자(17.2%)보다 높았다. 하향 비율 역시 여자(18%)가 남자(16.8%)보다 높았다. 특히 65세 이상 여성은 상향 이동 비율이 2020년 8.7%에서 2022년 7.6%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소득 하향 이동 비율은 11.4%에서 12.5%로 높아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65세 이상 여성층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고용 충격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았다”고 설명했다.
연령대별로 소득 이동 비율을 보면 청년층(15∼39세)이 41.0%로 가장 높았고 이어 중장년층(40∼64세·32.2%), 노년층(65세 이상·25.7%) 등 순이었다.
청년층은 상향 이동 비율(23.0%)이 하향 이동 비율(18.0%)보다 높았고 노년층·중장년층은 하향 이동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국민 3분의 2 가량은 절대적인 소득 수준이 높아졌다. 2022년 소득금액 자체가 전년보다 늘어난 사람은 64.4%에 달했다. 소득이 전년보다 줄어든 사람은 32.9%였다. 2.7%는 2년간 소득이 동일했다.
소득이동통계는 올해 처음 공표된 통계로, 개인이 벌어들인 근로·사업소득의 변화를 보여준다. 통계의 표본은 1100만명에 달한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