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수면무호흡증이 뇌구조 변화를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마이애미대학 알베르토 R. 라모스 교수팀은 19일 라틴계 미국인 2600여명을 대상으로 수면무호흡증과 뇌 변화의 관계를 10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를 미국신경학회(AAN)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을 통해 공개했다.

연구팀은 수면무호흡증으로 혈중 산소 수치가 낮아지면 기억과 사고를 담당하는 뇌 부위인 해마가 커지고, 백질 부위의 손상이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뇌 건강 저하의 일반적인 현상과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연구는 라틴계 미국인 2667명(평균 연령 68세)을 대상으로 잠잘 때 호흡 빈도와 혈액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10년 후 뇌를 스캔해 뇌 부피와 뇌 조직에서 손상된 백질 부위인 과밀도 백질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참가자 중 56%는 수면 문제가 없는 그룹으로 분류됐고, 28%는 시간당 호흡 정지가 5~15회인 가벼운 수면 문제 그룹, 16%는 호흡 정지가 15회 이상인 중증도~중증 수면 문제 그룹으로 분류됐다.

10년 후 뇌 스캔 측정치를 나이·성별·고혈압 등 요인을 고려해 분석한 결과 중등도~중증 수면 문제 그룹은 수면 문제가 없는 그룹보다 해마 부피가 0.24㎤ 더 컸고 수면 장애가 한 번 늘 때마다 해마 부피는 0.00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이 멈추면 산소 수치가 낮아져 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수면무호흡증은 뇌졸중, 알츠하이머병, 치매 등의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라모스 교수는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 장애가 뇌 부피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특히 치매 위험이 높은 사람들이 조기에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