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토종 OTT 살리기…1兆 펀드로 기술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OTT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글로벌 플랫폼 육성 시스템 구축
AI·디지털 기술, 제작에 활용
“생존 위기…산업 체질 개선 절실”
글로벌 플랫폼 육성 시스템 구축
AI·디지털 기술, 제작에 활용
“생존 위기…산업 체질 개선 절실”
정부가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살리기에 나섰다. 1조원 규모의 민관 협력 전략 펀드를 활용해 토종 OTT의 기술 투자, 글로벌 사업 확장을 돕기로 했다. 이른바 ‘K-OTT’의 월간 글로벌 이용자 수를 지난해 3200만명에서 2027년 1억명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서울 상암 누리꿈스퀘어에서 국내 OTT 산업계와 정책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K-OTT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게 핵심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3대 전략, 7개 과제를 마련해 내년부터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글로벌 플랫폼 육성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첫 번째 전략이다. 콘텐츠 제작, 국내 OTT 및 패스트(FAST·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의 기술 투자를 위한 펀드를 조성·지원하는 게 주요 과제다. 투입 자금은 민관 협력으로 2028년까지 1조원 규모로 조성할 ‘K-콘텐츠 미디어 전략 펀드’를 활용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K 콘텐츠 접근성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세계 6억 대의 삼성전자·LG전자 스마트 TV를 활용한 패스트 채널 활성화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 측은 “국내 OTT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련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AI·디지털 기반 산업 생태계 혁신을 위해서는 AI 융합으로 방송·OTT 밸류체인 전 단계를 고도화한다. 70년간 누적된 300만 시간 분량의 방송영상을 AI 활용 데이터로 구축하고, 멀티모달 모델을 활용한 AI 자동 영상 생성·실증으로 OTT·방송 콘텐츠 제작 및 창작에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디지털미디어 성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 인력도 키운다. 2027년까지 디지털미디어 기술 인력 1만1000명을 양성하겠다는 목표다. 미디어 특성화고, 대학·대학원생, 청년 등에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인턴십,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정부가 OTT 전략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은 토종 OTT의 전망이 녹록지 않아서다.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OTT가 시장을 장악하면서 국내 OTT 기업은 생존 위기에 직면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진단했다. 지난해 티빙과 웨이브, 왓챠 등 토종 OTT 3사는 매출 7033억원에 2445억원의 영업손실을 봤다. 같은 기간 넷플릭스는 국내에서 매출 8233억원, 엉업이익 121억원을 거둔 것과 차이가 크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한 토종 OTT 육성이 시급하다”며 “AI·디지털화로 산업 체질을 개선하고 글로벌 시장까지 발을 넓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서울 상암 누리꿈스퀘어에서 국내 OTT 산업계와 정책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K-OTT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게 핵심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3대 전략, 7개 과제를 마련해 내년부터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글로벌 플랫폼 육성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첫 번째 전략이다. 콘텐츠 제작, 국내 OTT 및 패스트(FAST·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의 기술 투자를 위한 펀드를 조성·지원하는 게 주요 과제다. 투입 자금은 민관 협력으로 2028년까지 1조원 규모로 조성할 ‘K-콘텐츠 미디어 전략 펀드’를 활용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K 콘텐츠 접근성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세계 6억 대의 삼성전자·LG전자 스마트 TV를 활용한 패스트 채널 활성화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 측은 “국내 OTT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련 지원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AI·디지털 기반 산업 생태계 혁신을 위해서는 AI 융합으로 방송·OTT 밸류체인 전 단계를 고도화한다. 70년간 누적된 300만 시간 분량의 방송영상을 AI 활용 데이터로 구축하고, 멀티모달 모델을 활용한 AI 자동 영상 생성·실증으로 OTT·방송 콘텐츠 제작 및 창작에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디지털미디어 성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 인력도 키운다. 2027년까지 디지털미디어 기술 인력 1만1000명을 양성하겠다는 목표다. 미디어 특성화고, 대학·대학원생, 청년 등에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인턴십,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정부가 OTT 전략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은 토종 OTT의 전망이 녹록지 않아서다.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OTT가 시장을 장악하면서 국내 OTT 기업은 생존 위기에 직면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진단했다. 지난해 티빙과 웨이브, 왓챠 등 토종 OTT 3사는 매출 7033억원에 2445억원의 영업손실을 봤다. 같은 기간 넷플릭스는 국내에서 매출 8233억원, 엉업이익 121억원을 거둔 것과 차이가 크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한 토종 OTT 육성이 시급하다”며 “AI·디지털화로 산업 체질을 개선하고 글로벌 시장까지 발을 넓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