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되면 무기력한 반려묘…수의사에게 물어봤더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겨울철 반려묘가 계절성 우울증(SAD) 증상을 보인다며 걱정하는 보호자들이 있다. 평소보다 식사량이 줄고 잠을 많이 자는 등 생활패턴이 바뀌면서다. 하지만 동물행동치료 전문가로 알려진 김준 수의사는 상당수는 치료보다는 일상적인 관리를 통해 돌보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조언한다.
우선 반려묘가 겨울철에 유독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는 데 대해 김 수의사는 “고양이의 행동 변화는 사람의 SAD처럼 일조량에 따라 감정을 조절하는 호르몬 멜라토닌, 세로토닌의 분비가 달라질 것이라는 이론적인 추론 외에 아직 과학적인 근거가 뚜렷하게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조량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고양이는 본능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하고 지방을 보존하기 위해 활동량을 줄인다. 이러한 변화가 우울증과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고양이들은 보통 겨울철에 활동량이 줄어든다.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빈도가 줄고, 햇빛이 드는 자리나 이불 속 등 따뜻한 장소에만 머무르려고 한다. 이른 아침에 보호자를 깨우기도 하던 반려묘가 늦잠을 자거나, 보호자와의 상호작용이 줄어들기도 한다.
이 같은 생활패턴의 변화가 실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활동성이 지나치게 줄어들면서 수분 섭취가 줄어들고 이는 방광 내 부유물을 증가시켜 비뇨기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김 수의사는 말했다.
식욕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체온 유지로 많은 에너지가 쓰이면서 식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지만, 관절염이나 천식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고양이는 식욕이 감소할 수도 있다.
이럴 때는 먹이 퍼즐 등을 활용해 식사 시간을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면 좋다고 김 수의사는 조언했다. 수분 섭취를 돕기 위해 습식 사료나 수분이 충분한 간식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무엇보다 겨울철 고양이 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따뜻한 환경을 제공하는 게 좋다고 김 수의사는 강조한다. 고양이는 추운 환경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침대를 창문 근처로 옮겨 햇빛을 자주 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면 된다. 일조량이 충분치 않은 주거환경이라면 온열기구를 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줄어든 운동량을 보충해 주는 것도 중요하다. 김 수의사는 “혼자 노는 장난감도 좋지만 포근한 보호자의 품도 좋아하기 때문에 함께하는 시간을 더 마련한다”며 “새로운 장난감을 소개하는 것도 무력해지기 쉬운 겨울철을 즐겁게 만드는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최근 고양이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보충해 주는 방법도 있다. 최근 L-테아닌, L-트립토판, 락티움, 등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성분을 담은 영양제 제품이 출시됐다.
L트립토판은 ‘행복 호르몬’이라 알려진 멜라토닌의 전구물질이고, L테아닌은 긴장·불안 완화에 도움을 준다. 스트레스와 불안이 극심한 반려동물 28마리에게 8주간 락티움 포함 식단을 급여한 결과,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 분비량이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김 수의사는 전했다. 불안함과 초조함을 낮추는 발레리안추출분말, GABA 수용체를 늘려 진정 효과를 더한 시계꽃 추출분말도 추천한다.
다만 김 수의사는 “생활환경 개선을 비롯한 일상적 관리로도 반려묘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으면 수의사를 찾아 진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우선 반려묘가 겨울철에 유독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는 데 대해 김 수의사는 “고양이의 행동 변화는 사람의 SAD처럼 일조량에 따라 감정을 조절하는 호르몬 멜라토닌, 세로토닌의 분비가 달라질 것이라는 이론적인 추론 외에 아직 과학적인 근거가 뚜렷하게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조량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고양이는 본능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하고 지방을 보존하기 위해 활동량을 줄인다. 이러한 변화가 우울증과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고양이들은 보통 겨울철에 활동량이 줄어든다.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빈도가 줄고, 햇빛이 드는 자리나 이불 속 등 따뜻한 장소에만 머무르려고 한다. 이른 아침에 보호자를 깨우기도 하던 반려묘가 늦잠을 자거나, 보호자와의 상호작용이 줄어들기도 한다.
이 같은 생활패턴의 변화가 실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활동성이 지나치게 줄어들면서 수분 섭취가 줄어들고 이는 방광 내 부유물을 증가시켜 비뇨기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김 수의사는 말했다.
식욕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체온 유지로 많은 에너지가 쓰이면서 식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지만, 관절염이나 천식 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고양이는 식욕이 감소할 수도 있다.
이럴 때는 먹이 퍼즐 등을 활용해 식사 시간을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면 좋다고 김 수의사는 조언했다. 수분 섭취를 돕기 위해 습식 사료나 수분이 충분한 간식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무엇보다 겨울철 고양이 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따뜻한 환경을 제공하는 게 좋다고 김 수의사는 강조한다. 고양이는 추운 환경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침대를 창문 근처로 옮겨 햇빛을 자주 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면 된다. 일조량이 충분치 않은 주거환경이라면 온열기구를 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줄어든 운동량을 보충해 주는 것도 중요하다. 김 수의사는 “혼자 노는 장난감도 좋지만 포근한 보호자의 품도 좋아하기 때문에 함께하는 시간을 더 마련한다”며 “새로운 장난감을 소개하는 것도 무력해지기 쉬운 겨울철을 즐겁게 만드는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최근 고양이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보충해 주는 방법도 있다. 최근 L-테아닌, L-트립토판, 락티움, 등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성분을 담은 영양제 제품이 출시됐다.
L트립토판은 ‘행복 호르몬’이라 알려진 멜라토닌의 전구물질이고, L테아닌은 긴장·불안 완화에 도움을 준다. 스트레스와 불안이 극심한 반려동물 28마리에게 8주간 락티움 포함 식단을 급여한 결과,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 분비량이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김 수의사는 전했다. 불안함과 초조함을 낮추는 발레리안추출분말, GABA 수용체를 늘려 진정 효과를 더한 시계꽃 추출분말도 추천한다.
다만 김 수의사는 “생활환경 개선을 비롯한 일상적 관리로도 반려묘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으면 수의사를 찾아 진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