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R&D센터 이어 해외 본사 대만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만 반도체 생태계와 밀착
타이페이시에 부지 물색
TSMC와 AI 가속기 협력 강화
"대만, 亞 반도체 인재 블랙홀"
타이페이시에 부지 물색
TSMC와 AI 가속기 협력 강화
"대만, 亞 반도체 인재 블랙홀"

23일 공상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타이베이시는 엔비디아 본사를 지을 부지를 물색 중이다. 젠슨 황 CEO는 지난 6월 아시아 최대 규모 정보기술(IT) 전시회 ‘컴퓨텍스’ 참석차 대만을 방문해 “향후 5년 내 대만에 대규모 연구개발(R&D)·디자인(설계)센터를 건립해 최소 1000여 명의 엔지니어를 고용하겠다”며 “센터 건립을 위해 대규모 부지를 물색 중”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엔비디아가 대만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TSMC 등 대만의 반도체 생태계와 긴밀히 협력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별도 공장 없이 반도체를 설계만 하는 엔비디아는 개별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여러 칩을 한데 묶은 AI 가속기 생산을 TSMC에 맡기고 있다. 최근 최신형 AI 가속기와 관련한 오류 발생으로 엔비디아와 TSMC 간 불화설이 나오기도 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설계와 제조를 이원화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대만을 중심으로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의 주요 인재를 흡수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대만 반도체 생태계에 편입되기 위해 돈을 싸 들고 찾아온 곳은 엔비디아뿐만이 아니다. AMD는 2100억원을 투입해 대만에 아시아 첫 R&D 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세계 최대 차량용 반도체 회사 인피니언도 전기차용 R&D 센터를 대만에 짓는다. 구글 역시 지난 4월 대만에 두 번째 하드웨어 R&D 센터를 개소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