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환율 급등기, 유동성 위기 경계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이 환율 급등기에 단기 자금 수요가 몰릴 경우 금융기관 유동성 위기가 불거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은 24일 공개한 2024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단기적 자금수요와 환율 급등이 맞물릴 경우 일부 금융 기관들이 유동성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은행은 환율 상승기의 위험가중자산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국내 은행들이 BIS 자기자본비율 유지를 위해 위험가중자산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은행 신용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장정수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환율이 많이 상승해서 자본 비율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경우 금융기관들은 위험 가중치가 높은 신용대출이나 중소기업대출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변화를 유의해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그러면서 환율 급등에 따른 유동성 경색을 막기 위해 정책적 강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은은 "환율 급등 시 자금 수요가 단기에 집중되지 않도록 외환스왑 만기 장기화를 유도하는 등의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은은 환율 상승이 국내 금융기관의 재무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은행은 외화자산과 외화부채를 거의 비슷하게 유지하고 있어 환율 상승이 손익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올해 9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외화자산은 외화부채를 103억 달러 상회하고 있다. 이에 환율이 오르면 환차익이 발생하는 상황이다.
위험가중자산(RWA)의 원화 환산액 증가가 총자본비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외화 RWA 비중이 올해 3분기 말 22.6%로 직전 환율 급등기(22년 3분기, 26.2%)보다 낮아 환율 상승에 따른 영향이 비교적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험회사의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도 환율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으로 한은 측은 내다봤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환율 상승이 비(非) 헤지(위험분산) 외화자산의 원화 환산액을 늘려 가용자본을 일부 늘릴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외화자산이 헤지된 상태인 만큼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요구자본의 하나로 산출되는 외환위험액도 환율 상승과 함께 늘겠지만 헤지를 통한 위험 경감이 반영되는 데다 외환 위험액 비중 자체가 작아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증권회사의 자본적정성 지표인 순자본비율(NCR)에 대한 부정적 영향도 크지 않다는 것이 한은 측 설명이다. 환율이 올라 외환위험액을 포함한 총위험액이 늘더라도, 증권회사의 외화 '순자산' 포지션 덕에 영업용순자본이 함께 늘어나기 때문이다.
유오성기자 osyou@wowtv.co.kr
한은은 24일 공개한 2024년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단기적 자금수요와 환율 급등이 맞물릴 경우 일부 금융 기관들이 유동성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은행은 환율 상승기의 위험가중자산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국내 은행들이 BIS 자기자본비율 유지를 위해 위험가중자산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은행 신용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장정수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환율이 많이 상승해서 자본 비율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경우 금융기관들은 위험 가중치가 높은 신용대출이나 중소기업대출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변화를 유의해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그러면서 환율 급등에 따른 유동성 경색을 막기 위해 정책적 강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은은 "환율 급등 시 자금 수요가 단기에 집중되지 않도록 외환스왑 만기 장기화를 유도하는 등의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은은 환율 상승이 국내 금융기관의 재무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은행은 외화자산과 외화부채를 거의 비슷하게 유지하고 있어 환율 상승이 손익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올해 9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외화자산은 외화부채를 103억 달러 상회하고 있다. 이에 환율이 오르면 환차익이 발생하는 상황이다.
위험가중자산(RWA)의 원화 환산액 증가가 총자본비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외화 RWA 비중이 올해 3분기 말 22.6%로 직전 환율 급등기(22년 3분기, 26.2%)보다 낮아 환율 상승에 따른 영향이 비교적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험회사의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도 환율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으로 한은 측은 내다봤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환율 상승이 비(非) 헤지(위험분산) 외화자산의 원화 환산액을 늘려 가용자본을 일부 늘릴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외화자산이 헤지된 상태인 만큼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요구자본의 하나로 산출되는 외환위험액도 환율 상승과 함께 늘겠지만 헤지를 통한 위험 경감이 반영되는 데다 외환 위험액 비중 자체가 작아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증권회사의 자본적정성 지표인 순자본비율(NCR)에 대한 부정적 영향도 크지 않다는 것이 한은 측 설명이다. 환율이 올라 외환위험액을 포함한 총위험액이 늘더라도, 증권회사의 외화 '순자산' 포지션 덕에 영업용순자본이 함께 늘어나기 때문이다.
유오성기자 osyou@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