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머스크의 '베팅'과 기업의 '컬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트럼프에 집중 투자한 머스크
국가 운영도 '효율화'할지 주목
대외 접촉 줄인 韓 기업인과 달리
자신만의 고집·철학을 현실화해
독자적 색깔은 '기업의 정수'
세계 제패 꿈과 배짱 지녀야
이근면 前 인사혁신처장
국가 운영도 '효율화'할지 주목
대외 접촉 줄인 韓 기업인과 달리
자신만의 고집·철학을 현실화해
독자적 색깔은 '기업의 정수'
세계 제패 꿈과 배짱 지녀야
이근면 前 인사혁신처장
![[다산칼럼] 머스크의 '베팅'과 기업의 '컬러'](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07.29624396.1.jpg)
대선 유세 기간 우리 돈 1800억원이 넘는 거액을 썼지만, 트럼프의 대선 승리로 테슬라 주가가 대선 이후 4거래일 만에 39%나 급등해 머스크는 앉은 자리에서 98조원 넘는 돈을 벌었다. 돈도 돈이지만 2기 트럼프 행정부에서 새로이 출범할 정부효율부의 수장으로 내정된 머스크는 향후 4년간 현실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됐다. 테슬라와 스페이스X 경영에서 보여준 고도의 효율성을 정부 운영에도 접목할 것이다. 사업의 효율화가 국가 운영의 효율화로 전환할 수 있을지에 세계인의 눈과 귀가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머스크의 움직임을 기행, 파격이라고만 치부하기엔 설명이 부족하다. 화성 이주와 같은 일견 허황돼 보이는 이야기를 하는 듯하지만 그런 발상은 이미 대학 시절의 꿈이었고 강한 의지와 실행으로 일생의 몽상을 차근차근 이뤄가고 있다. 그는 나름의 결단력과 철학, 고집을 바탕으로 회사를 일으켰고 세계 최고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오히려 우리 옆에는 소소한 몽상가조차 눈 씻고 찾아볼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
그의 견고한 가치관과 철학은 테슬라, 스페이스X의 기업 문화에도 뚜렷이 드러난다. 대부분 빅테크 기업이 인재들이 떠나갈까 두려워 더 좋은 근무 환경, 더 높은 급여를 제시할 때 머스크는 재택근무를 과감히 비판했고 사무실에 모여 동료들과 치열하게 일할 것을 요구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회사들이 화려한 사내 복지로 이목을 끌어도 머스크는 굴하지 않고 강한 노동 강도를 주문했다. 그가 재택근무를 비판하는 건 생산성 저하라는 경제적 이유뿐만 아니라 재택근무가 도덕적이지 않은 위선적 행태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는 정보기술(IT) 노동자는 집에서 일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일종의 도덕적 우월의식이라며 테슬라 임직원에게 주 40시간 사무실에 나와서 일하지 않으려면 회사를 떠나라고 일갈했다. 머스크가 뚜렷한 비전과 잣대로 기업을 경영하기에 가능한 것이다.
반도체업계의 압도적 1위로 도약한 TSMC의 연구개발팀은 주 7일, 24시간 가동된다. 반도체업의 특성상 치열한 연구개발 없이는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이다. TSMC는 이런 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기꺼이 주 7일을 일할 준비가 되지 않은 사람은 회사가 원하는 인재가 아니라고 당당히 밝힌다. 우리 기업에 가장 필요한 것은 세계를 제패하겠다는 꿈이다. 만약 그런 꿈이 없다면 우리는 우리만의 길을 간다는 배짱이라도 있어야 한다. 그게 기업의 색깔이고 정체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