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승용차, 수입차 2위…"EU 규제·BYD 진출로 판매 더 늘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11월 5만6448대 수입…처음으로 美 제쳐
약진하는 '메이드 인 차이나'
테슬라 모델Y·3, 볼보 S90·XC60
중국 생산 美·유럽 브랜드 침투
약진하는 '메이드 인 차이나'
테슬라 모델Y·3, 볼보 S90·XC60
중국 생산 美·유럽 브랜드 침투
![사진=AP](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ZA.38796387.1.jpg)
업계에선 유럽연합(EU)이 지난 10월 중국산 전기차에 최고 45.3% 관세를 물리기 시작한 만큼 업체마다 줄어든 물량을 만회하기 위해 한국 수출에 한층 더 공을 들일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중국 비야디(BYD)가 내년부터 국내 판매를 시작하는 것도 중국차 점유율 확대에 일조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톱2’로 올라선 중국산 승용차
25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관세청 등에 따르면 올 들어 11월까지 국내에 들어온 중국산 승용차는 모두 5만6448대로 독일(10만9240대)에 이어 2위다. 3위는 미국산(4만3623대)으로 중국산과 1만3000대가량 차이가 났다.작년만 해도 2위는 5만5446대 들어온 미국산이었다. ‘넘사벽’ 독일(11만9713대)에는 못 미쳤지만 3위 중국(2만9601대)보다는 두 배가량 많이 들어왔다. 대중 브랜드인 쉐보레를 비롯해 포드, 지프, 캐딜락 등 미국 브랜드뿐 아니라 미국 공장에서 생산한 BMW와 혼다 차량도 한국행(行) 배에 실렸기 때문이다.
이랬던 시장 판도가 바뀐 건 중국 공장에서 제작한 테슬라와 볼보의 인기가 크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테슬라는 한국에서 판매하는 모델Y와 모델3 등을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국 상하이공장에서 생산해 들여오고 있다. 테슬라는 올 1~11월 국내에서 2만8498대의 차를 팔았다.
“내년에는 더 늘어날 것”
업계에선 내년 중국산 자동차 점유율이 더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에 이어 유럽도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장벽을 높였기 때문이다. 10월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매기는 관세를 최대 45.3%로 끌어올리자 11월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산 점유율은 7.4%로 낮아졌다. 6월 11.1%와 비교하면 단기간에 큰 폭으로 하락했다. 중국 내 생산량을 대폭 줄이기 어려운 만큼 별다른 관세장벽을 쌓지 않은 한국 등지로 유럽 수출 물량을 돌려세울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이유다.![중국산 승용차, 수입차 2위…"EU 규제·BYD 진출로 판매 더 늘 듯"](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AA.39031635.1.jpg)
다음달 BYD가 상륙하면 중국세(勢)는 한층 더 강해질 가능성이 크다. 세계 1위 전기차업체인 BYD는 최근 DT네트웍스, 삼천리이브이 등 6개 딜러사를 선정하는 등 한국 공략 채비를 갖췄다. 렌터카 시장을 잡기 위해 국내 1위인 롯데렌탈과도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BYD는 ‘중국산’이면 어김없이 따라붙는 ‘중저가’ 이미지를 버리고 프리미엄 시장에 도전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