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우려?…"K제약·바이오주엔 기회" [2025 재테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5 재테크 전망 ⑨ 제약·바이오주
천정훈 NH-아문디자산운용 차장
"트럼프 2기 행정부 규제 완화·M&A 활성화 수혜 기대"
"항암제·비만약·플랫폼 테마, ‘옥석 가리기’ 진행될 것"
천정훈 NH-아문디자산운용 차장
"트럼프 2기 행정부 규제 완화·M&A 활성화 수혜 기대"
"항암제·비만약·플랫폼 테마, ‘옥석 가리기’ 진행될 것"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99.22707070.1.jpg)
지난달 말 상장된 바이오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HANARO 바이오코리아 액티브’를 운용하는 천정훈 NH-아문디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 차장은 한경닷컴의 인터뷰에서 이 같이 설명했다. 천 차장은 펀드를 운용하기 전 리서치 파트에 몸 담은 시절부터 바이오 업종을 수년째 분석해오고 있다.
![천정훈 NH-아문디자산운용 주식운용부 차장. /사진=한경우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01.39038353.1.jpg)
다만 내년엔 금리 하락의 수혜는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부과 등의 정책을 반영해 미 Fed가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나설 의중을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명확히 드러내면서다. 성장주 성격이 짙은 제약·바이오주 주가는 금리 인상에 취약한 모습을 보일 때가 많다. 이에 더해 헬스케어산업에 부정적 인식을 가진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가 미국 차기 행정부의 보건복지부를 이끌게 됐다.
그럼에도 천 차장은 내년 국내 헬스케어 섹터의 주가 흐름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방향이 한국의 제약·바이오 기업들에 수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우선 약가 인하 정책의 경우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시장이 커지는 만큼 경쟁 격화 또한 염두에 둬야 한다고 천 차장은 덧붙였다.
![사진=REUTERS](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02.39034257.1.jpg)
종목 선별에 있어서는 대형주는 글로벌 개발에 성공한 신약의 상업화 성과를, 바이오텍은 자금조달 이슈가 있는지 여부와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기술이전 기대감을 각각 따지라고 천 차장은 조언했다.
![사진=셀트리온](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01.37588070.1.jpg)
다만 올해보다는 테마에 포함된 종목들 안에서의 '옥석 가리기'가 이뤄질 걸로 봤다. 천 차장은 “비만 치료제의 경우 그 동안 체중 감량 수준에 집중했지만, 내년에는 지속형, 경구용, 근육 유지 및 강화 등으로 투자자들의 시선이 이동할 것”이라며 “항암 부문에서 각광받는 항체·약물 접합체(ADC) 분야는 안전성 문제와 내성 발생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 표적과 차세대 페이로드 개발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롭게 떠오를 수 있는 신약 개발 테마로는 중추신경계(CNS) 질환 치료제 분야에서 뇌혈관장벽(BBB막)을 통과할 수 있는 셔틀 활용 가능성을 천 차장은 주목하고 있다. CNS 질환 분야에서 약효를 높이기 위한 글로벌 빅파마(대형 제약사)의 BBB막 투과 플랫폼 개발과 적용이 한창이기 때문이다. 천 차장은 “국내 기업중에서는 이이베일바이오가 파킨슨평 치료 후보 ABL301을 사노피에 기술이전했고, 내년 상반기 임상 1상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라 주목된다”고 전했다.
또 의약품 위탁 개발·생산(CDMO) 테마의 강세도 이어질 전망이다. 천 차장은 “빅파마의 생산전략이 인하우스 중심의 전략에서 아웃소싱 확대 전략으로 변경돼 CDMO 분야 호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