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硏, "트럼프 보편관세 현실화되면 대미 수출 13%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미 수출 최대 13.1% 감소 예상
부가가치도 10조 가량 줄어들 전망
투자 유출·경제 위축 경고음
"외교적 대응·FTA 활용해 대응 논리 짜야"
부가가치도 10조 가량 줄어들 전망
투자 유출·경제 위축 경고음
"외교적 대응·FTA 활용해 대응 논리 짜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대표 공약인 ‘보편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이 최대 13.1% 줄어들 수 있다는 국책 연구원의 분석이 나왔다. 관세 부과 시 대미 수출을 둘러싼 주요 수출국 간 경쟁보단 미국 내 기업과의 경쟁이 보다 격화되면서 투자 유출 등 우리 경제에 악영향이 끼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산업연구원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트럼프 보편관세의 효과 분석: 대미 수출과 부가가치 효과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내년 1월 출범하는 트럼프 정부에서 입안될 것으로 예상되는 보편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을 분석했다. 보편관세는 모든 수입품에 10~20%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이다.
산업연의 분석 결과 시나리오별로 대미 수출은 -9.3%~-13.1%, 이에 따라 부가가치는 -0.34%~-0.46%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기본 시나리오인 중국을 제외한 미국의 수입 상대국에 10%, 중국엔 6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은 9.3% 줄어든다.
한편 미국·캐나다·멕시코 협정(USMCA) 체결국인 멕시코, 캐나다에는 10%, 중국은 60%, 한국을 포함한 그 외 국가들에 20%의 관세를 부과하는 시나리오에서 대미 수출이 13.1% 감소해 한국으로선 최악의 결과를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로 인해 수출국 간 대체효과가 일부 발생하지만, 수입 시장 자체가 줄어드는 시장 규모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대미 수출이 줄어든다는 것이 산업연의 분석이다.
산업별론 자동차의 경우 시나리오에 따라 수출이 -7.7~13.6%, 반도체의 경우 -4.7~-8.3%로 예상됐다.
대미 수출 감소에 따라 우리 경제의 명복 부가가치는 약 -0.34%(7조9000억원)에서 -0.46%(10조6000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USMCA 국가엔 10%, 한국을 비롯한 나머지 국가에 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는 시나리오에서 가장 부가가치가 크게 감소했다. 산업연은 “이번 분석에서는 기업의 생산기지 이전 등 보편관세 부과의 투자 유출 효과는 고려하지 않았다”며 “이를 고려하는 경우 부가가치 감소 효과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산업연은 보편관세 부과시 주요 수출국간 경쟁보다는 미국내 기업과의 경쟁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연구진은 “보편 관세 부과는 한미 FTA 협정 제2장 제2절 제2.3조와 상충될 수 있어 이를 근거로 한 외교적 대응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며 “관세 부과 제외시 미국 내 생산비 및 물가 안정을 관세 부과의 대응 논리로 설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산업연구원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트럼프 보편관세의 효과 분석: 대미 수출과 부가가치 효과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내년 1월 출범하는 트럼프 정부에서 입안될 것으로 예상되는 보편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을 분석했다. 보편관세는 모든 수입품에 10~20%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이다.
산업연의 분석 결과 시나리오별로 대미 수출은 -9.3%~-13.1%, 이에 따라 부가가치는 -0.34%~-0.46%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기본 시나리오인 중국을 제외한 미국의 수입 상대국에 10%, 중국엔 6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은 9.3% 줄어든다.
한편 미국·캐나다·멕시코 협정(USMCA) 체결국인 멕시코, 캐나다에는 10%, 중국은 60%, 한국을 포함한 그 외 국가들에 20%의 관세를 부과하는 시나리오에서 대미 수출이 13.1% 감소해 한국으로선 최악의 결과를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로 인해 수출국 간 대체효과가 일부 발생하지만, 수입 시장 자체가 줄어드는 시장 규모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대미 수출이 줄어든다는 것이 산업연의 분석이다.
산업별론 자동차의 경우 시나리오에 따라 수출이 -7.7~13.6%, 반도체의 경우 -4.7~-8.3%로 예상됐다.
대미 수출 감소에 따라 우리 경제의 명복 부가가치는 약 -0.34%(7조9000억원)에서 -0.46%(10조6000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USMCA 국가엔 10%, 한국을 비롯한 나머지 국가에 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는 시나리오에서 가장 부가가치가 크게 감소했다. 산업연은 “이번 분석에서는 기업의 생산기지 이전 등 보편관세 부과의 투자 유출 효과는 고려하지 않았다”며 “이를 고려하는 경우 부가가치 감소 효과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산업연은 보편관세 부과시 주요 수출국간 경쟁보다는 미국내 기업과의 경쟁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연구진은 “보편 관세 부과는 한미 FTA 협정 제2장 제2절 제2.3조와 상충될 수 있어 이를 근거로 한 외교적 대응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며 “관세 부과 제외시 미국 내 생산비 및 물가 안정을 관세 부과의 대응 논리로 설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