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한국 등 협력국, 바이든이 공들인 美 가치에 반하는 행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바이든, 문제 있는 동맹도 무조건 지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15일(현지시간) 페루 리마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412/ZN.38670411.1.jpg)
26일(현지시간) NYT는 미국의 주요 협력국들이 민주주의, 법치주의, 인권 등 바이든 대통령이 주창한 가치에 반하는 행동을 하면서 바이든의 외교 정책에 타격을 입혔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NYT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사례로 소개했다. 매체는 "윤 대통령의 행동은 바이든 대통령의 2020년 대선 승리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한 행동들을 상기시켰는데도 바이든 대통령이 윤 대통령을 비난하지 않고 우려만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국빈 만찬에서 윤 대통령을 환대했으며, 자신이 애착을 가지는 '민주주의 정상회의' 3차 회의 주최국으로 한국을 선택하는 등 윤 대통령에 크게 투자해왔다고 설명했다.
또 바이든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을 철수하는 동안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 정부가 탈레반을 상대로 1년 이상 버틸 것으로 예상했지만, 아프가니스탄 정규군이 순식간에 붕괴하면서 가니 대통령은 해외로 도피했고, 미군은 혼란스러운 철수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생겼다고도 신문은 지적했다.
매체는 "바이든 대통령과 참모들은 이런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놀랐으며 해당 국가 정상들이 자기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거나 미국의 정책 제언과 외교 노력을 거부해도 침묵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싱크탱크 스팀슨센터의 에마 애시퍼드 선임연구원도 "바이든의 민주주의 정상회의가 논쟁거리가 된 이유는 미국의 여러 동맹과 협력국이 완전한 민주주의가 아니기 때문"이라며 "우리 모두 이를 알고 있는데도 민주주의를 외교 정책의 중심으로 강조하면 위선적이거나 순진해 보이게 된다"고 비판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