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SGLT2 억제제' 비후성 심근증 치료 가능성 입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은 정미향 순환기내과 교수와 조정선 대전성모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이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로 당뇨가 있는 비후성 심근증 환자의 SGLT2 억제제 효과를 분석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비후성 심근증과 당뇨병 환자 8066명 중 SGLT2 억제제를 처방받은 2277명과 다른 당뇨약을 처방받은 5789명을 분석했다. 이들 중 일부를 평균 3.1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이를 통해 SGLT2 억제제를 쓰면 사망과 심부전 악화로 인한 입원 위험을 24%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사망 위험은 44%, 심부전 입원 위험 18%, 급사 위험 50%, 뇌졸중 위험 26% 줄었다.
SGLT2 억제제는 심부전 환자 생존율을 높이고 입원 위험을 줄여줘 심부전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 SGLT2 억제제가 부정맥 위험을 낮춘다는 결과가 보고됐지만 비후성 심근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지 등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정 교수는 "당뇨가 없는 비후성 심근증 환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며 "최근 유전자 검사와 심초음파, 심장자기공명영상(MRI)을 포함한 다중 모달 평가로 비후성 심근증의 병인이 점차 밝혀지고 있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