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년 초 달러 강세 두드러질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초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에도 달러화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 외자운용원은 30일 발표한 '2025년 글로벌 경제 여건 및 국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트럼프 정부 정책 시행에 따른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둔화) 추세 정체 우려로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대두하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다른 국가 대비 상대적으로 견조한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 관세 부과에 따른 유로 지역과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경기 부진으로 국가 간 성장률 격차가 예상되는 점도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간별로는 "트럼프 정부 정책에 기대가 높은 연초에 달러 강세가 두드러지다가(오버슈팅), 정책 시행 과정에서의 한계로 그 효과에 제약이 발생하고, 다른 국가들의 금리 인하 효과가 발현되면서 강세가 다소 완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자운용원은 미국이 내년에도 2% 초반대 견조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의 대중 관세 인상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약화하면서 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봤다.
미국의 통화정책은 "내년 중 금리를 0.25~0.50%포인트(p) 인하해 내년 말 정책금리가 상단 기준 연 4.00~4.2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추가적인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금리인하 폭이 이보다 줄거나 동결될 가능성도 있다는 단서를 붙였다.
외자운용원은 또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내년에 정책금리를 0.50~0.70%p 추가로 인상해서 내년 말 금리가 연 0.75~1.0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2기 정부 정책 전망과 관련해선 "중국 제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이 현 수준(약 11%)에서 30~40%로 인상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대상 품목도 자본재, 반도체 등 첨단 장비와 일부 소비재에 국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그럴 경우 미국의 연간 인플레이션이 0.20~0.40%p 오르고, 경제성장률이 0.30~0.40%p 내릴 것으로 추정되지만,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한국은행 외자운용원은 30일 발표한 '2025년 글로벌 경제 여건 및 국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트럼프 정부 정책 시행에 따른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둔화) 추세 정체 우려로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대두하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다른 국가 대비 상대적으로 견조한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 관세 부과에 따른 유로 지역과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경기 부진으로 국가 간 성장률 격차가 예상되는 점도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간별로는 "트럼프 정부 정책에 기대가 높은 연초에 달러 강세가 두드러지다가(오버슈팅), 정책 시행 과정에서의 한계로 그 효과에 제약이 발생하고, 다른 국가들의 금리 인하 효과가 발현되면서 강세가 다소 완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자운용원은 미국이 내년에도 2% 초반대 견조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의 대중 관세 인상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약화하면서 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봤다.
미국의 통화정책은 "내년 중 금리를 0.25~0.50%포인트(p) 인하해 내년 말 정책금리가 상단 기준 연 4.00~4.2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추가적인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금리인하 폭이 이보다 줄거나 동결될 가능성도 있다는 단서를 붙였다.
외자운용원은 또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내년에 정책금리를 0.50~0.70%p 추가로 인상해서 내년 말 금리가 연 0.75~1.0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2기 정부 정책 전망과 관련해선 "중국 제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이 현 수준(약 11%)에서 30~40%로 인상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대상 품목도 자본재, 반도체 등 첨단 장비와 일부 소비재에 국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그럴 경우 미국의 연간 인플레이션이 0.20~0.40%p 오르고, 경제성장률이 0.30~0.40%p 내릴 것으로 추정되지만,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