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폰 110만원 할인해주면 뭐하나요"…'단통법 폐지' 시큰둥한 이유 [현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단통법 없애나 마나"…'성지'마저 한산했다
“원래도 불법 보조금이 성행했던 건 모두가 아는 사실이기 때문에 달라지는 건 없어요. 그저 우리가 범법자 신세를 면하는 것뿐이에요”
신현호 신도림 테크노마트 상우회 회장이 지난 27일 테크노마트 9층 휴대폰 매장에서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폐지에 대해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며 한 말이다.
앞선 26일 단통법 폐지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정치권에선 단통법 폐지가 단말기 판매 사업자 간 적극적인 지원금 경쟁을 부추겨 소비자의 통신비 부담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단말기를 통신사 대리점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이른바 ‘성지’라 불리던 테크노마트가 이전의 명성을 되찾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정작 휴대폰 판매상들은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며 입을 모아 말했다.
신 회장은 “(단통법 폐지가) 사실 우리한테 크게 와닿지는 않는다”라며 “더 이상 음지에 숨어서 판매하지 않고 떳떳하게 할인 판매를 할 수 있다는 것뿐이지 손님이 늘거나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단통법 폐지로 단말기 가격이 저렴해져 소비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지만 정작 판매업자들은 반응은 시큰둥했다.
신도림 테크노마트의 휴대폰 판매업자 강모 씨도 “단통법이 있으나 마나 여기는 상관이 없다. 원래부터 할인을 100만원씩 하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구매 상담을 받아보니, 테크노마트는 지난 9월 국내 출시된 아이폰 16 모델(256GB)을 본래 가격인 139만7000원에서 111만원 할인된 28만7000원에 판매하고 있었다. 이는 단통법상 최대 50만원으로 설정돼있는 단말기 전환지원금을 훨씬 웃도는 금액이다. 전자기기계의 ‘성지’라 불렸던 신도림 테크노마트는 코로나 이후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줄곧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단통법이 폐지됐다고 해도 ‘성지’가 부활할 가능성은 낮다. 테크노마트의 판매업자들은 업계 침체의 근본적인 원인은 단말기 가격이 아닌 고가의 요금제에 있다고 지적했다.
신 회장은 “사실 진짜 문제는 요금제다. 단통법 폐지로 단말기 가격이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요금제 때문에 다들 망설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할인을 많이 한다고 해도 10만원 이상의 요금제를 일정 기간 쓰도록 요구하다 보니까 고객에게 판매하는 게 쉽지 않다”라고 토로했다.
얼마 전 휴대폰을 바꾸기 위해 신도림 테크노마트를 찾았던 20대 여성 김모 씨도 “테크노마트에서 사는 게 기기값은 더 쌀지 몰라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요금제가 너무 비싸서 구매를 포기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단말기 보조금을 100만원이나 준다고 하더라. 그래서 자리에 앉았는데 11만원짜리 요금제를 6개월 쓰고, 유료 부가 서비스도 3개월 써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라며 “그래서 그냥 온라인으로 단말기를 사서 알뜰 요금제를 쓰는 게 더 싸겠다는 생각에 구매를 포기했다”라고 설명했다.
김씨의 말처럼 단말기를 싸게 구매한다 해도 온라인에서 제값에 단말기를 사 알뜰 요금제를 사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저렴하다. 예컨대 신도림 테크노마트에서 아이폰 16 모델(256GB)을 정가에서 111만원 할인된 28만7000원에 구매해 2년간 사용할 경우, 11만원짜리 요금제를 6개월간 쓰고 그 후 6만9000원짜리 요금제(월 데이터 제공량 110GB)를 18개월간 쓴다면 총 구매금액은 218만9000원(기기값 28만7000원+2년간 통신비 190만2000원)이다. 반면 단말기를 139만7000원에 구매해 약 2만5000원짜리 알뜰 요금제(월 데이터 제공량 110GB)를 2년간 사용한다면 총 구매금액은 약 200만4000원(기기값 139만7000원+2년간 통신비 약 60만7000원)이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
신현호 신도림 테크노마트 상우회 회장이 지난 27일 테크노마트 9층 휴대폰 매장에서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폐지에 대해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며 한 말이다.
앞선 26일 단통법 폐지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정치권에선 단통법 폐지가 단말기 판매 사업자 간 적극적인 지원금 경쟁을 부추겨 소비자의 통신비 부담 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단말기를 통신사 대리점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이른바 ‘성지’라 불리던 테크노마트가 이전의 명성을 되찾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정작 휴대폰 판매상들은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며 입을 모아 말했다.
신 회장은 “(단통법 폐지가) 사실 우리한테 크게 와닿지는 않는다”라며 “더 이상 음지에 숨어서 판매하지 않고 떳떳하게 할인 판매를 할 수 있다는 것뿐이지 손님이 늘거나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단통법 폐지로 단말기 가격이 저렴해져 소비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지만 정작 판매업자들은 반응은 시큰둥했다.
신도림 테크노마트의 휴대폰 판매업자 강모 씨도 “단통법이 있으나 마나 여기는 상관이 없다. 원래부터 할인을 100만원씩 하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구매 상담을 받아보니, 테크노마트는 지난 9월 국내 출시된 아이폰 16 모델(256GB)을 본래 가격인 139만7000원에서 111만원 할인된 28만7000원에 판매하고 있었다. 이는 단통법상 최대 50만원으로 설정돼있는 단말기 전환지원금을 훨씬 웃도는 금액이다. 전자기기계의 ‘성지’라 불렸던 신도림 테크노마트는 코로나 이후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줄곧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단통법이 폐지됐다고 해도 ‘성지’가 부활할 가능성은 낮다. 테크노마트의 판매업자들은 업계 침체의 근본적인 원인은 단말기 가격이 아닌 고가의 요금제에 있다고 지적했다.
신 회장은 “사실 진짜 문제는 요금제다. 단통법 폐지로 단말기 가격이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요금제 때문에 다들 망설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할인을 많이 한다고 해도 10만원 이상의 요금제를 일정 기간 쓰도록 요구하다 보니까 고객에게 판매하는 게 쉽지 않다”라고 토로했다.
얼마 전 휴대폰을 바꾸기 위해 신도림 테크노마트를 찾았던 20대 여성 김모 씨도 “테크노마트에서 사는 게 기기값은 더 쌀지 몰라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요금제가 너무 비싸서 구매를 포기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단말기 보조금을 100만원이나 준다고 하더라. 그래서 자리에 앉았는데 11만원짜리 요금제를 6개월 쓰고, 유료 부가 서비스도 3개월 써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라며 “그래서 그냥 온라인으로 단말기를 사서 알뜰 요금제를 쓰는 게 더 싸겠다는 생각에 구매를 포기했다”라고 설명했다.
김씨의 말처럼 단말기를 싸게 구매한다 해도 온라인에서 제값에 단말기를 사 알뜰 요금제를 사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저렴하다. 예컨대 신도림 테크노마트에서 아이폰 16 모델(256GB)을 정가에서 111만원 할인된 28만7000원에 구매해 2년간 사용할 경우, 11만원짜리 요금제를 6개월간 쓰고 그 후 6만9000원짜리 요금제(월 데이터 제공량 110GB)를 18개월간 쓴다면 총 구매금액은 218만9000원(기기값 28만7000원+2년간 통신비 190만2000원)이다. 반면 단말기를 139만7000원에 구매해 약 2만5000원짜리 알뜰 요금제(월 데이터 제공량 110GB)를 2년간 사용한다면 총 구매금액은 약 200만4000원(기기값 139만7000원+2년간 통신비 약 60만7000원)이다.
박수림 한경닷컴 기자 paksr36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