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율 치솟은 자동차 보험…3년 만에 보험료 인상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이상기온 피해 늘어
평균 손해율 80% 넘어서
이달 차 보험료 조정에 촉각
평균 손해율 80% 넘어서
이달 차 보험료 조정에 촉각
지난해 자동차보험 누적 손해율이 80%를 넘어서면서 올해 자동차 보험료가 인상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적자가 날 만큼 손해율이 오르면서 보험료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 등에서는 실손의료 보험료가 대폭 오르는 데다 자동차 보험 적자는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는 반박도 제기된다.
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현대·DB·KB·메리츠·한화·롯데 등 7개 손해보험사의 지난해 1~11월 자동차 보험 평균 손해율은 82.9%로 집계됐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보험사가 거둔 보험료 대비 지급한 보험금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보험료 수입이 100억원이고 보험금 지급액이 80억원이라면 손해율은 80%가 된다. 업계에서는 적정 손해율을 82% 정도로 보고 있다. 이를 넘어서면 운영비 등을 고려했을 때 손실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회사별로 보면 롯데손해보험이 84.9%로, 자동차 보험 누적 손해율이 가장 높다. 현대해상(83.5%), 한화손해보험(83.9%), KB손해보험(82.9%), 삼성화재(82.2%) 등도 적정 손해율을 웃돈다. 메리츠화재(81.9%)와 DB손해보험(81.2%)은 간신히 82% 아래로 나타났다.
지난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오른 것은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와 한파, 폭설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평년 대비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22년부터 매년 1.2~2.8%의 자동차 보험료 인하 조치가 시행된 것도 손해율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보험업계에서는 자동차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보험업계는 최근 2년 동안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상생 금융에 동참하기 위해 세 차례에 걸쳐 1~2%씩 보험료를 인하했다. 여기에 자동차 정비수가가 올해부터 전년 대비 2.7% 인상됐다. 자동차 정비수가는 보험에 가입한 차량이 사고가 났을 때 보험사가 지급하는 수리비다. 최근 보험 가입 차량이 고급화되고 전기차 등 친환경차 보급이 늘면서 부품비 부담도 커졌다.
자동차 보험료는 소비자물가지수에 편입돼 있을 만큼 가계 지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 보험료의 조정은 암묵적으로 보험사와 금융당국이 결정하고 있다. 논의 과정에서 금융당국이 보험료 인상에 난색을 보일 가능성도 작지 않다. 올해부터 가입자가 1000만 명에 달하는 3세대 실손보험료가 20% 인상되는 등 전체 실손보험이 평균 7.5% 오르는 것도 자동차 보험료 조정 폭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지난해 12월 자동차 손해율을 포함한 연간 손해율이 이달 중하순께 집계되면 올해 자동차 보험료 조정 수준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누적 손해율이 더 치솟으면 보험료를 인상해야 한다는 보험업계의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다. 다만 금융당국의 동결 압박도 배제할 수 없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달 중하순께 본격적으로 조정 계획과 관련한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하지만 금융당국 등에서는 실손의료 보험료가 대폭 오르는 데다 자동차 보험 적자는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는 반박도 제기된다.
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현대·DB·KB·메리츠·한화·롯데 등 7개 손해보험사의 지난해 1~11월 자동차 보험 평균 손해율은 82.9%로 집계됐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보험사가 거둔 보험료 대비 지급한 보험금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보험료 수입이 100억원이고 보험금 지급액이 80억원이라면 손해율은 80%가 된다. 업계에서는 적정 손해율을 82% 정도로 보고 있다. 이를 넘어서면 운영비 등을 고려했을 때 손실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회사별로 보면 롯데손해보험이 84.9%로, 자동차 보험 누적 손해율이 가장 높다. 현대해상(83.5%), 한화손해보험(83.9%), KB손해보험(82.9%), 삼성화재(82.2%) 등도 적정 손해율을 웃돈다. 메리츠화재(81.9%)와 DB손해보험(81.2%)은 간신히 82% 아래로 나타났다.
지난해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오른 것은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와 한파, 폭설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평년 대비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22년부터 매년 1.2~2.8%의 자동차 보험료 인하 조치가 시행된 것도 손해율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보험업계에서는 자동차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보험업계는 최근 2년 동안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상생 금융에 동참하기 위해 세 차례에 걸쳐 1~2%씩 보험료를 인하했다. 여기에 자동차 정비수가가 올해부터 전년 대비 2.7% 인상됐다. 자동차 정비수가는 보험에 가입한 차량이 사고가 났을 때 보험사가 지급하는 수리비다. 최근 보험 가입 차량이 고급화되고 전기차 등 친환경차 보급이 늘면서 부품비 부담도 커졌다.
자동차 보험료는 소비자물가지수에 편입돼 있을 만큼 가계 지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 보험료의 조정은 암묵적으로 보험사와 금융당국이 결정하고 있다. 논의 과정에서 금융당국이 보험료 인상에 난색을 보일 가능성도 작지 않다. 올해부터 가입자가 1000만 명에 달하는 3세대 실손보험료가 20% 인상되는 등 전체 실손보험이 평균 7.5% 오르는 것도 자동차 보험료 조정 폭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지난해 12월 자동차 손해율을 포함한 연간 손해율이 이달 중하순께 집계되면 올해 자동차 보험료 조정 수준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누적 손해율이 더 치솟으면 보험료를 인상해야 한다는 보험업계의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다. 다만 금융당국의 동결 압박도 배제할 수 없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달 중하순께 본격적으로 조정 계획과 관련한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