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사진=김범준 기자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사진=김범준 기자
여인형 국군 방첩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육군사관학교 선배인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체포 대상자의 소재 파악을 도와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4일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83쪽 분량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공소장에는 여 사령관과 홍 전 차장이 이 같은 취지로 대화한 통화 내용이 적시됐다.

지난달 3일 오후 11시 6분께 계엄 선포 직후 홍 전 차장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여 사령관은 "선배님 이걸 도와주세요. 저희 체포조가 나왔는데 (체포 대상자) 소재 파악이 안 돼요. 명단 불러드릴게요"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육군사관학교 43기인 홍 전 차장은 여 사령관(48기)보다 5기수 선배다.

둘의 통화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발표로부터 40분가량 지난 시점에 이뤄졌다.

오후 10시 25분께 계엄을 선포한 윤 대통령이 28분 후 홍 전 차장에게 연락해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대공수사권 줄 테니까 우선 방첩사를 도와"라고 지시하면서 홍 전 차장이 여 사령관에게 먼저 전화를 걸었다고 검찰은 파악했다.

당시 여 사령관은 김 전 장관에게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주요 인사 10여명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고서 경찰과 국방부 조사본부에 수사 인력 지원을 요청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였다.

그러던 중 홍 전 차장으로부터 전화가 오자 국정원에 체포 대상인 주요 인사의 소재 파악을 부탁한 것이다.

김 전 장관이 비상계엄 해제요구안 가결을 저지하려 이 대표, 한 전 대표, 우 의장을 우선 체포하라고 지시하면서 당초 10명이 넘었던 체포 명단은 대폭 줄었다.

여 사령관이 명령을 휘하 병력에 전달하면서 '포승줄·수갑 이용'과 같은 구체적 지침도 정해졌다.

검찰에 따르면 방첩사 수사관 49명은 계엄 선포 후 2시간 23분이 지난 지난달 4일 0시 48분께부터 국회 인근에 순차적으로 도착했다.

그러나 현장의 시민 인파 탓에 차량에서 내리지 못했고, 국회 수소충전소에서 기다리던 경찰 측의 지원 인력과도 합류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장에서 대기하기만 했던 방첩사 병력은 결국 복귀 명령이 내려오자 철수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