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기업 육성으로 계속 강할 것"…美 저력에 집중하는 경제학자들 [미국경제학회 2025]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AI 기술과 투자금 모두 빨아들여"
"AI 기술 탑재 거부하는 하드웨어 기업 나타날 수도"
"AI 기술 탑재 거부하는 하드웨어 기업 나타날 수도"
올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경제학회를 뜨겁게 달군 주제는 ‘미국경제가 예상보다 강한 이유’였다. 미국 경제는 관세 부과와 재정적자, 마지막 구간에서 식지 않는 인플레이션 등 리스크에 쌓여있지만, 여전히 선진국 가운데 높은 성장률을 보여서다.
이 자리에 모인 경제학자들은 기술기업들이 성공할 수 있는 투자문화와 그 결과물인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요인으로 꼽았다. 미국경제학회에서 목격된 AI 논의의 수준보다 예전보다 훨씬 구체화하고 진일보했다.
○AI 밴드왜건에 탄 투자자들
미국경제학회 마지막 날인 5일(현지시간) 만난 정광수 존스홉킨스대 교수(사진 왼쪽)는 학회 전반에서 드러난 AI 열풍을 ‘밴드왜건’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정 교수는 “다른 선진국의 실물 경제가 좋지 않은 가운데 미국이 AI를 필두로 매그니피센트7 기업들이 지식과 주식을 모두 이끌고 있다”며 “특히 주식시장에선 큰 밴드왜건이 지나가고 있는 것과 같다”고 표현했다. 밴드왜건 효과란 사람들이 유행에 동조하거나 다수의 선택을 따르는 현상이다. AI 기술의 파급력이 알려지고 여기에 빅테크 기업들도 뛰어들자, 전 세계 투자자들도 덩달아 자금을 쏟아붓고 있어서다. 도이체방크에 따르면 미국의 AI에 대한 민간투자는 2017년 이후 급증했다. 투자 규모가 감소했던 여타 주요국과 달리 2023년에도 전년 대비 22.1% 증가하며 670억달러를 기록했다.
장유순 인디애나주립대 교수(사진 오른쪽)는 미국만이 가진 독보적인 투자 문화도 미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버드대의 벤처투자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장 교수는 “이미 대학생들이 아이디어와 관련한 투자를 받기 위해 벤처캐피털을 찾아다니는 게 일상”이라며 “투자자들 또한 작은 아이디어에도 리스크를 감수하고 돈을 내놓을 준비가 돼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월별 창업 신청 건수는 팬데믹 이전 30만건 이하였지만 팬데믹 직후 50만건 가까이 올랐다가 최근 40만건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다.
○진일보한 AI 논의
지난해 미국경제학회에서 진행된 AI와 관련한 논의는 챗 GPT 활용법을 논의하는 데 그쳤다면 올해는 AI 기술이 향상하면서 맞닥뜨릴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소개됐다.
수잔 애시 스탠퍼드대 교수는 “AI 기술이 소비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스마트폰 등 하드웨어 기업이 AI 서비스를 허가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AI 관련 서비스의 가격이 높게 책정될 경우 다양한 사람들이 혜택을 입기 힘들 가능성도 지적했다.
다만 이번 미국경제학회에서도 AI가 미치는 경제적인 효과를 책정할 방법론은 제시되지 않았다. 정 교수와 장 교수 모두 산업혁명부터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신기술이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수치를 책정할 수 있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렸다는 점을 지적했다. 샌프란시스코=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
이 자리에 모인 경제학자들은 기술기업들이 성공할 수 있는 투자문화와 그 결과물인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요인으로 꼽았다. 미국경제학회에서 목격된 AI 논의의 수준보다 예전보다 훨씬 구체화하고 진일보했다.
○AI 밴드왜건에 탄 투자자들
미국경제학회 마지막 날인 5일(현지시간) 만난 정광수 존스홉킨스대 교수(사진 왼쪽)는 학회 전반에서 드러난 AI 열풍을 ‘밴드왜건’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정 교수는 “다른 선진국의 실물 경제가 좋지 않은 가운데 미국이 AI를 필두로 매그니피센트7 기업들이 지식과 주식을 모두 이끌고 있다”며 “특히 주식시장에선 큰 밴드왜건이 지나가고 있는 것과 같다”고 표현했다. 밴드왜건 효과란 사람들이 유행에 동조하거나 다수의 선택을 따르는 현상이다. AI 기술의 파급력이 알려지고 여기에 빅테크 기업들도 뛰어들자, 전 세계 투자자들도 덩달아 자금을 쏟아붓고 있어서다. 도이체방크에 따르면 미국의 AI에 대한 민간투자는 2017년 이후 급증했다. 투자 규모가 감소했던 여타 주요국과 달리 2023년에도 전년 대비 22.1% 증가하며 670억달러를 기록했다.
장유순 인디애나주립대 교수(사진 오른쪽)는 미국만이 가진 독보적인 투자 문화도 미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버드대의 벤처투자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장 교수는 “이미 대학생들이 아이디어와 관련한 투자를 받기 위해 벤처캐피털을 찾아다니는 게 일상”이라며 “투자자들 또한 작은 아이디어에도 리스크를 감수하고 돈을 내놓을 준비가 돼 있다”고 소개했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월별 창업 신청 건수는 팬데믹 이전 30만건 이하였지만 팬데믹 직후 50만건 가까이 올랐다가 최근 40만건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다.
○진일보한 AI 논의
지난해 미국경제학회에서 진행된 AI와 관련한 논의는 챗 GPT 활용법을 논의하는 데 그쳤다면 올해는 AI 기술이 향상하면서 맞닥뜨릴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소개됐다.
수잔 애시 스탠퍼드대 교수는 “AI 기술이 소비자에게 도달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스마트폰 등 하드웨어 기업이 AI 서비스를 허가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AI 관련 서비스의 가격이 높게 책정될 경우 다양한 사람들이 혜택을 입기 힘들 가능성도 지적했다.
다만 이번 미국경제학회에서도 AI가 미치는 경제적인 효과를 책정할 방법론은 제시되지 않았다. 정 교수와 장 교수 모두 산업혁명부터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신기술이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수치를 책정할 수 있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렸다는 점을 지적했다. 샌프란시스코=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