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K패션 신뢰 위기 초래한 '패딩 충전재 사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신사·이랜드發 '허위 표기' 논란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 세워야
오형주 유통산업부 기자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 세워야
오형주 유통산업부 기자
패션업계가 연초부터 ‘패딩 충전재 허위 표기’ 논란에 휩싸였다. 패션 플랫폼 1위 무신사가 판매한 오리 털(덕다운) 패딩의 충전재 혼용률이 제품에 표기된 것과 다르다는 게 드러나면서다.
패딩 판매사인 라퍼지스토어는 충전재의 80%가 오리 솜털로 이뤄져 있다고 적시했다. 그러나 한 소비자가 시험 기관에 조사를 의뢰한 결과 오리 솜털 비율은 단 3%에 그쳤다. 무신사 측은 뒤늦게 “성분을 판단할 수 없는 충전재가 사용됐다”며 해당 업체 상품의 판매 중지를 결정하고 퇴점 조치했다.
이후 무신사의 조사 결과 라퍼지스토어를 비롯한 6개 입점 브랜드사에서 상품 정보 허위 기재 등 안전 거래 정책 위반 행위가 확인됐다. 지퍼에 해외 유명 회사 제품을 모방한 위조품을 사용하거나 디자인을 도용한 사례 등도 나왔다. 그동안 입점 브랜드사와 ‘상생 생태계 구축’을 강조해온 무신사로서는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충전재 정보 허위 기재 논란은 무신사에 이어 유통 대기업인 이랜드그룹으로 번졌다. 이랜드월드의 캐주얼 패션 브랜드 후아유가 ‘거위 털 80%’라고 표기해 판매한 거위 털(구스다운) 점퍼 충전재의 거위 털 함량이 실제로는 30%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랜드 측은 “미얀마에 있는 생산업체가 제품 정보와 다른 상품을 납품한 사실을 미처 걸러내지 못했다”며 “전량 회수해 폐기 조치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허위 표기 논란이 이제 막 탄력받기 시작한 K패션에 대한 신뢰 훼손으로 이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제품과 탁월한 마케팅 역량을 무기로 급성장을 거듭해온 두 업체는 K패션의 선두 주자로 꼽힌다.
이랜드월드 패션 부문은 중국에서 연간 1조원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다. 후아유는 올해 베트남에 진출해 10개 매장을 내기로 하는 등 공격적인 해외 시장 확장에 나섰다. 무신사는 일본 최대 패션 플랫폼인 조조타운과 손잡고 한국 디자이너 브랜드의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최근 밝혔다.
한 패션업체 관계자는 “K패션의 글로벌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허위 광고 논란이 발목을 잡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했다.
국내에서 패션업체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이 커진다면 해외 시장에서도 K패션은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다. 무신사와 이랜드를 포함한 패션업계는 허위 표기 논란 재발을 막기 위해 자정 노력에 힘쓰는 한편, 전수조사 실시와 소재 혼용률 시험성적서 의무화 등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
패딩 판매사인 라퍼지스토어는 충전재의 80%가 오리 솜털로 이뤄져 있다고 적시했다. 그러나 한 소비자가 시험 기관에 조사를 의뢰한 결과 오리 솜털 비율은 단 3%에 그쳤다. 무신사 측은 뒤늦게 “성분을 판단할 수 없는 충전재가 사용됐다”며 해당 업체 상품의 판매 중지를 결정하고 퇴점 조치했다.
이후 무신사의 조사 결과 라퍼지스토어를 비롯한 6개 입점 브랜드사에서 상품 정보 허위 기재 등 안전 거래 정책 위반 행위가 확인됐다. 지퍼에 해외 유명 회사 제품을 모방한 위조품을 사용하거나 디자인을 도용한 사례 등도 나왔다. 그동안 입점 브랜드사와 ‘상생 생태계 구축’을 강조해온 무신사로서는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충전재 정보 허위 기재 논란은 무신사에 이어 유통 대기업인 이랜드그룹으로 번졌다. 이랜드월드의 캐주얼 패션 브랜드 후아유가 ‘거위 털 80%’라고 표기해 판매한 거위 털(구스다운) 점퍼 충전재의 거위 털 함량이 실제로는 30%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랜드 측은 “미얀마에 있는 생산업체가 제품 정보와 다른 상품을 납품한 사실을 미처 걸러내지 못했다”며 “전량 회수해 폐기 조치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허위 표기 논란이 이제 막 탄력받기 시작한 K패션에 대한 신뢰 훼손으로 이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제품과 탁월한 마케팅 역량을 무기로 급성장을 거듭해온 두 업체는 K패션의 선두 주자로 꼽힌다.
이랜드월드 패션 부문은 중국에서 연간 1조원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다. 후아유는 올해 베트남에 진출해 10개 매장을 내기로 하는 등 공격적인 해외 시장 확장에 나섰다. 무신사는 일본 최대 패션 플랫폼인 조조타운과 손잡고 한국 디자이너 브랜드의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최근 밝혔다.
한 패션업체 관계자는 “K패션의 글로벌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허위 광고 논란이 발목을 잡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했다.
국내에서 패션업체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이 커진다면 해외 시장에서도 K패션은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다. 무신사와 이랜드를 포함한 패션업계는 허위 표기 논란 재발을 막기 위해 자정 노력에 힘쓰는 한편, 전수조사 실시와 소재 혼용률 시험성적서 의무화 등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