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오전 서울 서초구 빗썸라운지에 비트코인 시세가 표시되어 있다. 미 의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통령 당선이 공식 인증된 6일(현지시간) 비트코인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해 10만 달러선을 재돌파했다. 연합뉴스
지난 7일 오전 서울 서초구 빗썸라운지에 비트코인 시세가 표시되어 있다. 미 의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통령 당선이 공식 인증된 6일(현지시간) 비트코인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해 10만 달러선을 재돌파했다. 연합뉴스
검찰이 판돈 2조 원 규모의 암호화폐 기반 불법 도박사이트를 운영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30대 여성 이모 씨를 추가 기소했다. 이씨는 범죄수익금 환수 절차가 진행 중이던 범죄수익으로 벌어들인 비트코인 1476개(약 2100억 원 상당)를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로 빼돌린 뒤 경찰이 빼돌다고 허위로 신고한 혐의도 있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방검찰청 공판부(부장검사 윤나라)는 최근 해외에서 2조 원대 불법 도박 사이트를 운영한 총책 이모 씨에 도박개장죄 등에 범죄수익은닉 및 무고죄를 추가해 불구속 기소했다. 앞서 광주지검은 지난해 5월 이 씨의 자택에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한 바 있다.

이 씨는 2018년 4월부터 2021년 8월까지 태국에서 한국 이용자 등에게 비트코인 2만4613개를 입금받아 비트코인을 기반한 도박사이트를 운영했다. 해당 사이트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하락 베팅 결과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는 식으로 운영됐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광주경찰청은 2022년 해당 사건을 수사하면서 이씨의 범죄수익금인 비트코인 1798개에 대해 압수에 나섰지만, 이 과정에서 그가 비트코인 1476개를 미리 빼돌려 320개만 압수했다.

이 씨는 검찰에 그가 디지털 지갑에 있던 비트코인 1476개를 경찰이 빼돌렸다고 진술했는데 검찰은 이 씨 진술을 토대로 지난해 4월 광주경찰청 정보화 장비 운영 부서 등에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지만, 경찰이 비트코인을 빼돌렸다는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검찰은 A씨에게 무고 혐의로 추가 기소했다.

이 씨는 지난해 2월 광주지방법원에서 도박 공간 개설, 범죄수익 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징역 5년과 추징금 608억여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심에선 징역 2년6개월과 추징금 15억2000만원으로 대폭 줄었다. 항소심 재판부는 “A씨가 비트코인이 사라지는 과정에 개입했다는 증거가 없다”며 사라진 비트코인 1476개는 추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씨는 대형로펌 2곳을 선임하는 등 초호화 변호인단을 꾸려 대응 중이다. 이 씨에 대한 재판은 현재 대법원 2부(주심 권영준 대법관)가 심리 중인 상태다.
[단독] 비트코인 1500개 은닉…檢, 2조원대 도박사이트 운영자 추가기소

범죄수익 은닉에 활용되는 암호화폐


이 씨 사례처럼 수사기관이 암호화폐를 압수하는 절차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암호화폐는 해외거래소나 개인 하드디스크(USB) 등에 은닉하기 쉽기 때문이다. 검찰과 경찰이 범죄자들의 범죄수익 추적하기 위해 해외 사설 거래소에서 협조 공문을 보내도 수사에 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강제 수사도 어렵다.

암호화폐 관련 범죄는 매년 빠르게 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9년 289명이던 암호화폐 관련 범죄자는 2023년 988명으로 4년 새 241.8% 늘어났다. 최근 암호화폐 시세가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관련 범죄가 또다시 늘고 있지만 범죄자들이 해외 사설 거래소나 차명 계좌로 빼돌리는 방식으로 범죄수익을 은닉하고 있어 수사 당국이 압수에 어려움을 겪는 모양새다.

수사당국이 이씨가 은닉한 비트코인을 아직도 환수하지 못하면서 암호화폐 시세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비트코인 시세는 이씨가 범죄를 저지른 2018년 4월 개당 3000달러대였지만 지난해 10만달러를 돌파해 6년새 20배 넘게 급등했다.

법조계에서는 암호화폐 시세가 오르면 관련 범죄도 덩달아 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부장검사 출신인 장성훈 비책 대표변호사는 “암호화폐 시세가 높아질 때마다 관련 이슈를 활용해 범죄를 저지르는 흐름이 반복되고 있다”며 “최근 20·30세대가 암호화폐를 이용해 은퇴한 중장년층을 노리는 범죄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