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LG전자 조주완 최고경영자(CEO)가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시간 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과 경쟁환경을 경영활동의 상수로 두고 실행 전략을 정교화하는 데 주력하며 사업의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질적 성장'을 가속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조 CEO는 "가전구독이나 webOS 광고·콘텐츠 사업과 같이 시장과 소비자 수요 변화에 대응하는 사업방식의 변화 및 사업모델 혁신이 일정 부분 성과 를 만들어 내는 점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전에 없던 시장과 경쟁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점을 감안할 때 이제는 전과는 다른 차원의 고민과 치 열하고 정교한 실행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현재 경영현황을 진단했다.

LG전자는 중.장기 목표로 2030 미래비전을 제시한 2년 전과 비교하면 글로벌 시장의 수요회복 지연은 장기화되는데 반해 트럼프 2.0을 필두로 한 주 요국 통상정책 변화 등 지경학적(Geo-economic)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 업체와 경쟁 패러다임은 가격에서 기술 경쟁으로 고도화되는 형국이다.

LG전자가 추진 중인 2030 미래비전은 가전 중심으로 혁신을 이어온 기존 사업을 모빌리티, 상업용 공간 등으로 확대하고, 수십여 년간 쌓아온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노하우 및 기술 역량을 계승해 고객의 다양한 경험을 연결, 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것이 골자다.

조 CEO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여전히 다양한 기회가 시장과 고객에 존재 한다"며 "변화의 가운데서도 변하지 않을 차별적 소비자 가치를 중심에 두고 사업 전반에서 지속적인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는 △사업 잠재력 극 대화 △플랫폼 기반 서비스사업 확대 △B2B 사업 가속화 △신성장동력 조기 전력화 등의 방향 아래 2030 미래비전 달성의 기반을 다져오고 있다.

LG전자 구독사업 "2030년 까지 3배 이상 목표"

LG전자 조주완 "글로벌 불확실성…'구조적경쟁력·질적 성장'으로 돌파"
LG전자 구독 사업은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해 가격 위주이던 기존 경쟁구도를 탈피했다. 이에 사용자는 초기 구매부담을 낮추고, 생활 패턴에 맞춰 원하는 기간만큼 제품을 사용하고 사용 기간 제품에 최적화된 케어서비스 등을 받아볼 수 있다. 구독 기간 유지되는 무상서비스도 장점이다.

LG전자는 구독 사업의 핵심인 방문 케어서비스의 전문성을 높이고 판매 채널을 다변화하는 등 올해부터는 말레이시아, 태국 대만에 이어 인도, 싱가포르, 홍콩 등 해외 시장 저변 또한 본격 확대한다.

지난해 구독 사업 매출액은 직전 년도 대비 75% 이상 성장해 2조 원을 육박 했다. 당초 계획했던 1조 8000억원을 훌쩍 넘겼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구독 사업 매출을 지난해의 3배 이상 규모로 키우고, 조 단위 매출액 규모의 유니콘 사업 위상을 넘어 스타 사업으로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데이터 기반 맞춤형 마케팅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브랜드샵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이 있던 지난해 11월 LG전자 온라인브랜드 샵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늘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플랫폼 기반 서비스, 2030년 5배 이상 목표

플랫폼 기반 서비스사업은 오는 2030년까지 매출액 규모를 현재의 5배 이상으로 늘리고, 전사 영업이 익의 20%를 담당하는 핵심 사업모델로의 육성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 TV 운영체제 webOS를 기반으로 하는 광고·콘텐츠사업이 대표적이다. webOs 광고·콘텐츠사업의 지난해 매출은 당초 1조 원을 넘겼다.

올해부터 webOS는 TV, 정보기술(IT),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 여러 기기에서 콘텐츠 를 제공하는 '종합 콘텐츠 플랫폼'이자 옥외 디지털 광고 영역까지 저변을 확대해 실내외를 아우르는 '통합 미디어 광고 플랫폼`으로 키운다.

향후 성장성이 큰 게임이나 고객 취향 기반 맞춤형 쇼평, 건당 개별 결제 콘텐츠인TVOD(Transactional Video On Demand) 등으로 서비스도 다변화해 나간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작년 말 조직개편을 통해 TV,사이니지, 모니터, 노트북 등 디스플레이 기반 사업의 통합 운영을 시작했다.

전장 이어 냉난방공조 사업 드라이브…B2B 사업 매출 비중 45% 까지 확대

기업 대 기업(B2B) 사업 가속화 차원에서는 전장 사업에 이어 AI 시대 고속 성장이 전망 되는 냉난방공조(HVAC) 사업에 본격 드라이브를 건다.

HVAC 사업 가속화 를 위해 전담 ES(Eco Solution)사업본부가 새롭게 출범했다. HVAC 사업은 전 장, 스마트팩토리 등과 더불어 B2B 사업 가속화의 한 축을 맡게 된다.

△가정용 에어컨부터 △빌딩/학교/공공기관 등의 상업용 에어컨 △화석연료 보일러를 대체하는 허팅 솔루션 △AI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이자 국가 차세대 수출품목으로 지정돼 주목받는 칠러(Chiller) 등에 이르기까지 고효율·고성능 원천기술을 앞세운다.

지역 특화형 솔루션 발굴을 위해 R&D부터 생산, 판매, 유지보수를 아우르는 현지 완결형 사업 구조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B2B 사업 성장에 속도를 더욱 끌어올린다. 오는 2030년 전체 매 출에서 B2B가 차지하는 비중을 45% 수준까지 높일 계획이다. 지난 2021년 27% 수준이던 B2B 매출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35%까지 올라갔다.

R&D 포트폴리오 재정비…미래 메가트렌드 R&D 강화

여의도 LG전자 사옥./연합뉴스
여의도 LG전자 사옥./연합뉴스
LG전자는 CTO부문에서 주도하는 미래기술 선행 R&D 포트폴리오 역시 △사업 잠재력 극대화 △플랫폼 기반 서비스사업 확대 △B2B 사업 가속화 △신성장동력 조기 전력화 등의 포트폴리오 전환 방향에 맞춰 재정비한다.

선행 R&D 역량의 75% 이상을 중.장기 실행 전략에 맞취 사업의 기여도를 높이거나, 미래 유망 분야 길목기술을 확보하는 데에 집중해 나간다.

CTO부문은 Software, SoC(System on Chip), 인공지능, 로보틱스, 소재.부품, 표 준, 차세대컴퓨팅, Cloud·Data 등을 8대 기반기술로 뒀다.

특히 선행 R&D에도 내부 역량을 키우고(Build), 외부 역량을 빌리거나(Borrow), 사는(Buy) 등의 3B 전략'을 접목할 예정이다.

향후 산업의 메가트렌드가 될 수 있는 양자컴퓨팅, 우주산업 등 미래분야 R&D도 보다 강화한다.

LG전자는 이러한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차원의 노력 외에도 최근 들어 중국 업체를 필두로 격화되는 글로벌 경쟁환경에 대비, '품질.비용.납기(Quality •Cost. Delivery)'로 대표되는 본원적.구조적 경쟁력 강화에도 주력해 나간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