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 김 미국 상원의원(뉴저지주)이 8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 워싱턴공동취재단
앤디 김 미국 상원의원(뉴저지주)이 8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 워싱턴공동취재단
"앞으로 제가 한·미 관계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지난해 11월 미국 대통령선거와 함께 치러진 의회 선거에서 한국계로는 처음으로 미국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된 앤디 김(사진·42) 의원은 8일(현지시간) "한미 관계는 군사적인 측면 외에 경제와 무역 부문에서도 강해질 것"이라면서 "기술 분야가 양국 관계의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3일 119대 의회 개원으로 상원의원 활동을 시작한 김 의원은 이날 워싱턴DC 의회 회관에서 아태지역 기자들과 만나 의정활동 계획을 소개했다. 그는 상무·과학·교통위원회, 은행·주택·도시 문제 위원회, 보건·교육·노동·연금위원회, 국토안보·정부사무위원회, 고령층 대책위원회 총 5개 위원회에 소속되어 활동할 예정이다. "상원의원 중에서도 5개 위원회에 소속된 것은 매우 드문 일"이라고 그는 말했다.

유세 과정에서 폭넓은 지지를 얻기 위해 '한국계'를 강조하지 않는 전략을 취했던 김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만큼은 한국에 관한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김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에 주한미군을 철수하거나 줄이려 할 경우 지난 1기 정부 때처럼 "매우 강력한 초당적 반발을 불러올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한국에서 미군을 일방적으로 (미국이) 철수시키거나 감축하지 못하도록 강하게 반대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인도·태평양지역에서 한국의 관여를 강화하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당선인의 방위비 분담 강화 요구에 대해 "미국이 모든 부담을 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이 자선활동을 하는 것도 절대 아니다"고 했다. 그는 "주한미군은 대만해협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에 대한 억지력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주한미군이 오직 한국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는 발언을 들을 때면 좌절감을 느낀다"고 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그린란드와 파나마운하를 되찾기 위해 군사력과 경제적 강압 수단을 "배제한다고 약속하지 않겠다"고 말한 것을 언급하면서 김 의원은 "미국의 리더십에 반하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미국의 강점은 연대에 있다"면서 한국 등 아시아 동맹국에 그런 수단을 쓸 경우 "강하게 맞서겠다"고 약속했다. 김 의원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지명자 등과 대화했다"며 "그들에게 미국이 한미일 3국 협력과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등을 계속 이어가야 한다는 희망을 직접 제기했다"고도 전했다.
앤디 김 미국 상원의원(뉴저지주)이 8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 워싱턴공동취재단
앤디 김 미국 상원의원(뉴저지주)이 8일(현지시간) 미국 상원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하고 있다. / 워싱턴공동취재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주요 산업정책인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법(칩스법) 등을 없애거나 혜택을 줄이겠다는 위협에 관해서는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런 법안이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이런 노력(법안)이 해체되거나 중단된다면 모두가 훨씬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한국 기업에 제공돼야 할 보조금을 철회할 경우 조지아주 등 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막기 때문에 반발에 부딪힐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국 상황에 대한 견해를 질문받자 "미국은 정치적 불안과 분열을 겪고 있는데 한국에서도 같은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답했다.그는 "한국의 대치 상황을 우려한다"면서도 "한국의 민주주의가 작동하고 있으며 한국 사회의 회복력을 보았다"고 했다. 이어 "지금은 안정을 위해 정말로 중요한 시간"이라며 "특정인이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위해 상황을 이용할 때가 아니다"라고 조언했다.

김 의원은 초선 상원의원으로서 최우선시하는 정책 과제에 대해 생활비를 낮추는 일과, 정부와 정치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되찾는 일, 국가 안보를 강화하고 공급망을 안정시키는 일 등을 꼽았다. 아울러 아시아계 의원으로서 차별과 증오, 이민 문제에 대해서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워싱턴=이상은 특파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