林과 함께 미술관 산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over Story
숲이 품은 영혼의 치유소, 대자연 속 미술관
숲이 품은 영혼의 치유소, 대자연 속 미술관
처음이다. 기록이 무의미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 것은. 일본 데시마 미술관에 다녀왔다. ‘거기 아무것도 없어요.’ 누가 그랬는데 그래, 그리 생각할 수 있겠다. 이곳엔 미술관이라는 장소가 통상 지녀야 하는 당연한 것들이 없다. 네모반듯한 화이트 큐브라든가 작품을 비추는 조명이라든가 줄지어 걸린 작품이 없다. 그런데 놀랍다. 미술관 자체로 완전하다고 느낀다. 충분하다고 여긴다. 분명 인위일 텐데 온전히 자연이라고 느낀다.
데시마 미술관은 자연의 범주에 존재한다. 버려진 섬을 ‘예술 섬’으로 만들어 전 세계 사람이 찾아오게 만든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하나로, 데시마섬 꼭대기에 있다. 배 타고 버스 타고, 미술관으로 가는 길은 쉽지 않은 바닷길이다. 미술관에 도착하면 겨우 한 사람 천천히 걸어갈 수 있는 길이 보인다. 바닷바람에 귀를 씻으며 오솔길을 지나면 땅에 납작 엎드린 미술관이 나타난다. 신발을 벗고 사진 금지, 조용히 해야 한다는 공지가 있다. 도대체 어떤 곳이길래 이리 경건한가.
‘압도됐다’고 말하긴 싫다. ‘감동이다’고 하기엔 부족하다. 드넓은 공간에 하늘과 바람과 물과 나. 세상의 본질만 남아 마주한 것 같다. 여기서 더 무엇이 필요한지 깨우치게 된다. 고요히 모든 걸 포용하고, 있는 그대로를 수용한다. 예술이 주는 가장 맑고 좋은 것을 온몸으로 받는다.
하늘로 열린 거대한 둥근 문, 숲으로 뚫린 맑고 푸른 문, 그곳에서 춤추는 바람, 발을 만지는 다정한 햇살 그리고 바닥의 홈에서 끊임없이 솟아오르는 물방울들. 혼자였다가 함께 뭉치고 그러다 다시 작은 물길이 되기도 하고. 끝없이 살아 움직이는 ‘생’이라는 물방울들에 그만 털썩, 살아 있는 예술 앞에 주저앉았다. 물론 이 모든 영성에의 경험은 철저히 설계됐을 것이다. 자, 이 아무것도 아닌 물방울들아 무릎을 꿇어라, 경외감이 콘셉트일 것이다.
알면서도 조아려진다. 생의 순리 앞에. 겸허하게 받아들여진다. 삶의 본질에 대해. 아무 말 없이 한참을 그렇게 홀로 있었다. 공간에 든 모두가 오롯이 혼자가 됐다. 그렇게 작은 물방울이 돼 영원 같은 순간을 경험했다. 데시마 미술관은 낙후한 지역을 살리고자 정부, 기업, 민간이 긴밀하게 협조해 지어지고 관리되는 곳이다. 잘 지은 미술관 하나가 지역을 살려내고 예술의 중심이 됐다.
자연을 향한 경외감이 걸작과 만나 ‘영혼의 치유소’가 된 미술관들을 소개한다. 덴마크와 네덜란드를 넘어 일본 곳곳을 다녀왔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술관’이라는 수식어는 도대체 얼마나 아름다워야 붙을 수 있는 것인가, 궁금했다.
덴마크 코펜하겐 시내에서 기차로 40여 분 거리에 있는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은 이 수식어가 아깝지 않았다. 공간 자체가 주는 감동과 자연경관과의 조화, 그 소장품에 이르기까지 부족한 게 없었다. 심지어 레스토랑의 식사까지도. 아쉬운 게 있었다면 반나절이라는 짧은 시간뿐이었다.
루이지애나 미술관은 적어도 반나절, 넉넉하게는 하루를 잡고 다녀와야 하기 때문에 접근성은 떨어진다. 훔레베크역에서 내려 15분, 여유 있게는 20분가량 걸어가야 한다는 것도 멈칫하게 하는 요소다. 그럼에도 루이지애나 미술관까지 걸어가는 길의 나무와 잔디, 햇살과 고즈넉한 주택들은 산책의 동반자 역할을 톡톡히 한다. 덴마크와 스웨덴을 가르는 외레순 해협을 내려다보는 언덕배기, 이곳에 자리한 루이지애나는 담쟁이덩굴로 뒤덮인 건물 입구부터 비밀의 공간 느낌이 물씬 난다. 티켓을 받고 입장하면 미술관 전체 지도와 기념품숍이 등장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생각보다 미술관이 작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고개를 돌려 통유리창을 바라보니 푸르른 잔디와 숲이 두 눈 가득 펼쳐졌다.
건물 내부부터 감상할 수도 있지만 창밖 풍경에 이끌려 야외로 나갈 수밖에 없었다. 루이지애나를 떠올릴 때 모두가 1번으로 꼽는 조각 공원은 탁 트인 외레순 해협 바다를 발아래 두고 있다. 온통 초록색뿐인 풍경 속에서 관람객들이 잔디 위에 누워 풀 냄새와 바닷바람을 만끽하는 모습을 쉽사리 볼 수 있다. 리처드 세라, 헨리 무어, 호안 미로 등 대가의 조각품들이 자리 잡은 공원 숲길을 거닐다보면 과거와 현재, 자연과 건축물, 예술가와 나 사이를 이어주는 묘한 연결고리가 있다는 생각에 젖어 든다. 일상의 고민과 스트레스 따위는 저 바다에 던져버리고 그저 풀 냄새와 새소리, 파도소리와 조각작품이 주는 고요함에 빠져든다.
이곳이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는 또 다른 이유는 한 사람이 평생 열정을 쏟은 공간이라는 점이다. 미술 애호가였던 크누드 옌센이 42세이던 1958년부터 1995년 은퇴할 때까지 37년의 시간 동안 온갖 정성을 쏟아부었다. 1870년대 지은 오래된 빌라를 토대로 건축가들에게 자문해 미술관을 지으면서 그가 가장 중시한 것은 주변 자연과의 조화였다. 1958년 개관 이래 일곱 번에 걸쳐 공간을 확장했고 전 세계에서 예술작품을 수집했다. 풍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자연에 스며드는 미술관, 관람객이 온전히 작품과 자연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그리면서.
루이지애나 미술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작품 35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덴마크 작품들로 시작해 소장품은 전 세계로 확장됐다. 그림과 조각들로 꾸며진 내부 전시실, 전시실 사이의 복도, 복도 창 너머 잔디밭까지 모든 곳이 전시 공간이다.
그리고 대망의 ‘자코메티 홀’. ‘걷는 사람’ 시리즈로 유명한 알베르토 자코메티의 조각품들을 만날 수 있는 이곳은 입구인 2층에 들어서자마자 헉 하는 소리가 나온다. 클로드 모네의 그림 같은 풍경이 배경으로 깔려 있고, 시간이 멈춘 듯한 고요한 공간에 커다란 ‘거미’ 조각품이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유리창의 검은색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을 나눈 것조차 연작 같은 느낌이 든다. 1, 2층으로 나뉜 이곳에서 층마다 오래 머물며 창밖을 바라보는 관람객이 많은 것은 시야에 따라 밀려드는 고요함, 평온함의 색이 달라서일 테다.
현대미술관답게 유럽 현대 미술가들의 작품도 여럿 전시하고 있었다. 건물들 사이를 오갈 때, 복도를 거닐 때 곳곳에서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갈 수 있게 구성한 것도 배려심이 돋보였다. 내부에서 관람하다 보면 마치 작품같이 느껴지는 야외로 뛰쳐나가고 싶은 마음이 자연스레 솟구치기 때문이다. 실제로 막스 에른스트 작품 등이 야외 곳곳에 전시돼 있어 문을 열고 드나들게 된다.
저녁시간이 되자 레스토랑은 이미 만석. 식사를 해결할 곳이 여기밖에 없어 그러려니 했지만 플레이팅이 아름다운 메인 메뉴, 식전 빵과 크림, 커피를 시켜보니 맛이 훌륭했다. 창밖의 풍경은 덤. 검붉은 노을이 미술관 건물을 뒤덮고 깊이를 알 수 없는 바다가 일렁이는 모습을 보자니 돌아가는 발걸음엔 아쉬움이 잔뜩 묻어났다. ‘평생 꼭 한 번 가봐야 할 미술관’이라는 수식어가 바로 수긍되는 순간이었다.
숲길을 거닐며 새소리를 듣고 다람쥐나 노루, 토끼가 오물거리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상쾌한 공기를 마시는 산책, 생각만 해도 힐링이다. 네덜란드 오테를로에 있는 호헤 펠뤼버 국립공원은 네덜란드에서 가장 넓은(55㎢) 자연보호 구역으로 공원만으로도 이미 주민들에겐 유명하지만, 무엇보다 800여 점의 유명 작품을 소장한 크뢸러뮐러 뮤지엄을 품고 있어 연간 50만 명 이상이 찾아오는 명소다.
미술 수집가인 헬레네 크뢸러뮐러가 1935년 네덜란드 정부에 모든 수집품을 기증해 이 작품들로 1938년 개관한 미술관이 바로 크뢸러뮐러다. 암스테르담 중앙역에서 기차로 1시간10분 거리의 아른험 중앙역으로 간 뒤 105번 버스를 타고 오테를로 로톤데 정류장까지 30여 분을 가야 호헤 펠뤼버 국립공원이 나온다. 이 국립공원 입구에서 입장권을 끊은 뒤 무료로 탈 수 있는 흰색 자전거를 타고 한참을 들어가야 크뢸러뮐러 뮤지엄이 나오기 때문에 이동에만 왕복 네 시간은 걸린다. 체류시간이 짧은 관광객이 하루를 내서 다녀오기엔 부담스럽지만, 그럼에도 꼭 한 번 가봐야 할 미술관으로 추천하는 건 ‘숲속 미술관’이 주는 위로와 동식물에 둘러싸인 산책길, 그 안에 보물처럼 감춰진 대가들의 작품이 보석처럼 빛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오래 걸려 도착한 노력 덕분일까, 공원 입구에 다다르자 설렘이 몰려왔다. 흰색 자전거를 타고 숲속 초원, 모래 언덕 등을 돌아다니다 보면 망원경을 들고 동물을 관찰하는 가족 단위 방문객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이 숲에는 황조롱이, 흰등할미새, 숲울새 등 다양한 소리를 내는 새와 다람쥐, 붉은 사슴, 멧돼지, 노루, 여우, 담비, 토끼, 양, 도롱뇽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고.
특히 빈센트 반 고흐의 팬이라면 ‘세계에서 고흐 작품이 두 번째로 많은 미술관’인 크뢸러뮐러를 꼭 가봐야 한다. 암스테르담에 있는 반 고흐 뮤지엄이 가장 소장품이 많고, 그다음이 크뢸러뮐러다. 밤의 프로방스 시골길, 아를의 다리 등 유명한 고흐 작품 100여 점이 모여 있다. 야외에 있는 장 뒤뷔페 조각 공원, 미술관 주변에 숨어 있는 조각 작품들을 감상하다 보면 하루가 금세 지나간다. 깊은 산속 겨울잠 자는 미술관,
루이비통도 반한 日 교토 미호박물관
2018년 5월, 루이비통의 새 시즌 컬렉션을 차려입은 모델들이 터널을 빠져나와 끝없이 펼쳐진 긴 다리를 런웨이 삼아 걷는다. 저 멀리 터널 너머에는 일본 전통가옥과 녹음이 가득한 울창한 숲이 보인다. 터널과 다리는 인위적인 세트장이 아니다. 일본 교토 시가라키 산 중턱에 있는 미호박물관이다. 이곳에 가려면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모델들이 걸었던 긴 다리를 건너야 한다.
1997년 개관한 미호박물관은 중국계 미국인인 건축 거장 이오밍 페이(I. M. 페이)가 설계했다. 페이는 파리 루브르박물관 유리 지붕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1933년 제임스 힐턴의 영화 ‘잃어버린 지평선’ 속 가상의 장소 ‘샹그릴라’에 큰 감동을 받았다. 그는 시가라키 산에 샹그릴라를 구현한 미호박물관을 구상했다. 당시 루이비통 감독이던 니콜라 게스키에르는 미호박물관을 찾은 뒤 자연과 건축이 주는 시너지에 완벽히 매료됐다고. 모든 컬렉션을 장소에 맞춰 디자인했을 정도로 이곳을 사랑했다고 전해진다.
꽃과 함께 피어나는 ‘미호박물관’
미호박물관은 교토 시내에서 차로 1시간 이상 걸릴 만큼 깊은 숲속에 있다. 미술관으로 향하는 양쪽 길에는 일본의 상징과도 같은 벚나무와 버드나무가 빼곡히 자리 잡고 있다. 3월 개화가 절정을 맞는 시기에 봄 전시를 관람하러 이곳을 찾는다면 ‘벚꽃 전시’도 함께 관람할 수 있는 셈이다. 하염없이 벚나무 길을 걷다 보면 미술관의 1차 관문인 터널이 등장한다. 페이가 터널을 지을 때 가장 먼저 고려한 것은 소리와 빛의 모양이다. 터널이지만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사람의 음성은 최대한 울리지 않도록 했고, 길잡이가 돼주는 양쪽 조명은 지평선처럼 일직선을 이룬다. 봄 시즌에는 자연 속 벚꽃의 분홍빛과 조명이 어우러져 터널 끝에 다다르면 핑크빛 오로라 장관이 펼쳐진다.
터널을 빠져나오면 펼쳐지는 다리에서 또 한 번 놀란다. 숲을 최대한 보존하며 미술관을 짓기 위해 다리 하단부를 지탱하는 하방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았다. 대신 터널 양쪽에 기다란 줄을 수십 개 달아놓은 구조가 눈에 들어온다. 다리 밑 나무들이 장애물 없이 계속 자라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미술관 본관을 설계할 때 페이가 내세운 세 가지 원칙은 ‘자연과 건축, 그리고 미술품’이었다. 그는 80% 이상의 건축물을 땅속에 건설하고 그 위에 다시 자연을 복원하는 실험을 했다. 건축물 자체를 또 하나의 자연이 되도록 구상한 것이다. 지붕은 모두 유리로 만들어 지하에서도 인위적인 조명 대신 밝은 태양 빛을 만끽할 수 있도록 했다. 지상층으로 들어서면 지붕에서 자연광이 쏟아지고 미술관 창문을 통해서는 산속 전망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건물 안에 있지만 산속에 파묻힌 듯한 해방감을 선사하기 위해 고안한 구조다. 대자연 속의 미호박물관은 겨울마다 ‘동면’에 들어간다. 올해도 3월 15일까지 전시가 열리지 않는다. 벚꽃 개화와 함께 새 전시로 돌아올 예정이다.
쓰레기섬에 파묻은 ‘지중미술관’
시코쿠 가가와현, ‘쓰레기섬’이란 오명이 붙었던 작은 섬 나오시마에도 건축 거장 안도 다다오의 손길이 닿은 자연 속 미술관이 있다. ‘지중미술관(地中美術館)’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미술관 건물 대부분이 땅 중간에 묻혀 있다. 지면 위에 드러난 건 미술관임을 알려주는 팻말과 자연광을 받기 위해 만들어놓은 유리 지붕 정도가 전부다. 안도 다다오는 지면 위에 뿌리내린 나무와 풀, 꽃은 모두 인간의 소유물이 아니라 자연의 것이라는 신념으로 이 미술관을 건축했다. 땅 위에서 숨 쉬는 모든 존재를 최대한 건드리지 않은 채 깊은 지면 아래에서 자신만의 건축 세계를 펼쳤다.
미술관 내부, 땅속으로 내려가면 흰 벽을 타고 태양 빛이 스민다. 모든 천장과 벽 사이에 작게 틈을 내 그 사이로 자연의 빛이 들어온다. 전시장 벽에 길을 안내하기 위해 쓰인 작은 램프 외에는 별다른 조명을 쓰지 않았다. 땅속 미술관인 만큼 ‘어둠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기 위한 그의 철학이다. 어둠 속에서 작은 빛에 의지해 전시장 복도를 걷다 보면 땅속 세계와 함께 호흡하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클로드 모네의 작품 ‘수련’이 걸린 전시장에 다다라서야 비로소 밝은 빛이 등장한다. 천장의 작은 틈을 통해 들어오는 작은 빛이지만, 지중(地中) 어둠에 익숙해진 관객은 강렬한 빛의 대비를 느끼게 된다.
일본 최초 야외 미술관 ‘하코네 조각의 숲’
가나가와현 하코네 깊은 숲속에도 미술관이 존재한다. 1969년 문을 열어 올해로 개관 55주년을 맞은 ‘하코네 조각의 숲 미술관’이다. 본래 하코네 국립공원이던 장소를 훼손 없이 그대로 가져와 야외 미술관을 지었다. 조각의 숲 미술관은 일본 최초의 야외 미술관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은 곳이기도 하다. 조각의 숲 미술관의 하이라이트는 평지 한가운데 세워진 ‘우드 오브 네스트’로 나무로 만들어진 둥지다. 관객은 커다란 나무 둥지 안으로 직접 들어가 볼 수 있다. 야외 평지 위에 나무로 지어졌기 때문에 날씨와 계절 변화에 따라 공기에 흐르는 냄새와 빛의 모양이 모두 다르게 느껴진다.
미술관의 가장 끝자락엔 ‘행복을 부르는 심포니 조각’이라는 제목의 작품이 놓여 있다. 작품이면서 동시에 전망대 역할을 한다. 작품 안으로 들어선 관객은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로 꾸며진 벽면과 한가운데 놓인 나선형 계단을 만난다. 계단을 끝없이 오르다 보면 작품의 정상에 도달한다. 꼭대기에 올라서면 자연에 파묻힌 미술관 모습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데시마=임지영 예술 칼럼니스트·㈜즐거운예감 대표/프레덴스보르=민지혜 기자/오테를로=민지혜 기자/시라가키·하코네=최지희 기자
데시마 미술관은 자연의 범주에 존재한다. 버려진 섬을 ‘예술 섬’으로 만들어 전 세계 사람이 찾아오게 만든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하나로, 데시마섬 꼭대기에 있다. 배 타고 버스 타고, 미술관으로 가는 길은 쉽지 않은 바닷길이다. 미술관에 도착하면 겨우 한 사람 천천히 걸어갈 수 있는 길이 보인다. 바닷바람에 귀를 씻으며 오솔길을 지나면 땅에 납작 엎드린 미술관이 나타난다. 신발을 벗고 사진 금지, 조용히 해야 한다는 공지가 있다. 도대체 어떤 곳이길래 이리 경건한가.
‘압도됐다’고 말하긴 싫다. ‘감동이다’고 하기엔 부족하다. 드넓은 공간에 하늘과 바람과 물과 나. 세상의 본질만 남아 마주한 것 같다. 여기서 더 무엇이 필요한지 깨우치게 된다. 고요히 모든 걸 포용하고, 있는 그대로를 수용한다. 예술이 주는 가장 맑고 좋은 것을 온몸으로 받는다.
하늘로 열린 거대한 둥근 문, 숲으로 뚫린 맑고 푸른 문, 그곳에서 춤추는 바람, 발을 만지는 다정한 햇살 그리고 바닥의 홈에서 끊임없이 솟아오르는 물방울들. 혼자였다가 함께 뭉치고 그러다 다시 작은 물길이 되기도 하고. 끝없이 살아 움직이는 ‘생’이라는 물방울들에 그만 털썩, 살아 있는 예술 앞에 주저앉았다. 물론 이 모든 영성에의 경험은 철저히 설계됐을 것이다. 자, 이 아무것도 아닌 물방울들아 무릎을 꿇어라, 경외감이 콘셉트일 것이다.
알면서도 조아려진다. 생의 순리 앞에. 겸허하게 받아들여진다. 삶의 본질에 대해. 아무 말 없이 한참을 그렇게 홀로 있었다. 공간에 든 모두가 오롯이 혼자가 됐다. 그렇게 작은 물방울이 돼 영원 같은 순간을 경험했다. 데시마 미술관은 낙후한 지역을 살리고자 정부, 기업, 민간이 긴밀하게 협조해 지어지고 관리되는 곳이다. 잘 지은 미술관 하나가 지역을 살려내고 예술의 중심이 됐다.
자연을 향한 경외감이 걸작과 만나 ‘영혼의 치유소’가 된 미술관들을 소개한다. 덴마크와 네덜란드를 넘어 일본 곳곳을 다녀왔다.
통유리창으로 쏟아진 초록빛…미술작품보다 더 눈부셨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덴마크 루이지애나 미술관‘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술관’이라는 수식어는 도대체 얼마나 아름다워야 붙을 수 있는 것인가, 궁금했다.
덴마크 코펜하겐 시내에서 기차로 40여 분 거리에 있는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은 이 수식어가 아깝지 않았다. 공간 자체가 주는 감동과 자연경관과의 조화, 그 소장품에 이르기까지 부족한 게 없었다. 심지어 레스토랑의 식사까지도. 아쉬운 게 있었다면 반나절이라는 짧은 시간뿐이었다.
루이지애나 미술관은 적어도 반나절, 넉넉하게는 하루를 잡고 다녀와야 하기 때문에 접근성은 떨어진다. 훔레베크역에서 내려 15분, 여유 있게는 20분가량 걸어가야 한다는 것도 멈칫하게 하는 요소다. 그럼에도 루이지애나 미술관까지 걸어가는 길의 나무와 잔디, 햇살과 고즈넉한 주택들은 산책의 동반자 역할을 톡톡히 한다. 덴마크와 스웨덴을 가르는 외레순 해협을 내려다보는 언덕배기, 이곳에 자리한 루이지애나는 담쟁이덩굴로 뒤덮인 건물 입구부터 비밀의 공간 느낌이 물씬 난다. 티켓을 받고 입장하면 미술관 전체 지도와 기념품숍이 등장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생각보다 미술관이 작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고개를 돌려 통유리창을 바라보니 푸르른 잔디와 숲이 두 눈 가득 펼쳐졌다.
건물 내부부터 감상할 수도 있지만 창밖 풍경에 이끌려 야외로 나갈 수밖에 없었다. 루이지애나를 떠올릴 때 모두가 1번으로 꼽는 조각 공원은 탁 트인 외레순 해협 바다를 발아래 두고 있다. 온통 초록색뿐인 풍경 속에서 관람객들이 잔디 위에 누워 풀 냄새와 바닷바람을 만끽하는 모습을 쉽사리 볼 수 있다. 리처드 세라, 헨리 무어, 호안 미로 등 대가의 조각품들이 자리 잡은 공원 숲길을 거닐다보면 과거와 현재, 자연과 건축물, 예술가와 나 사이를 이어주는 묘한 연결고리가 있다는 생각에 젖어 든다. 일상의 고민과 스트레스 따위는 저 바다에 던져버리고 그저 풀 냄새와 새소리, 파도소리와 조각작품이 주는 고요함에 빠져든다.
이곳이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는 또 다른 이유는 한 사람이 평생 열정을 쏟은 공간이라는 점이다. 미술 애호가였던 크누드 옌센이 42세이던 1958년부터 1995년 은퇴할 때까지 37년의 시간 동안 온갖 정성을 쏟아부었다. 1870년대 지은 오래된 빌라를 토대로 건축가들에게 자문해 미술관을 지으면서 그가 가장 중시한 것은 주변 자연과의 조화였다. 1958년 개관 이래 일곱 번에 걸쳐 공간을 확장했고 전 세계에서 예술작품을 수집했다. 풍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자연에 스며드는 미술관, 관람객이 온전히 작품과 자연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그리면서.
루이지애나 미술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작품 35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덴마크 작품들로 시작해 소장품은 전 세계로 확장됐다. 그림과 조각들로 꾸며진 내부 전시실, 전시실 사이의 복도, 복도 창 너머 잔디밭까지 모든 곳이 전시 공간이다.
그리고 대망의 ‘자코메티 홀’. ‘걷는 사람’ 시리즈로 유명한 알베르토 자코메티의 조각품들을 만날 수 있는 이곳은 입구인 2층에 들어서자마자 헉 하는 소리가 나온다. 클로드 모네의 그림 같은 풍경이 배경으로 깔려 있고, 시간이 멈춘 듯한 고요한 공간에 커다란 ‘거미’ 조각품이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유리창의 검은색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을 나눈 것조차 연작 같은 느낌이 든다. 1, 2층으로 나뉜 이곳에서 층마다 오래 머물며 창밖을 바라보는 관람객이 많은 것은 시야에 따라 밀려드는 고요함, 평온함의 색이 달라서일 테다.
현대미술관답게 유럽 현대 미술가들의 작품도 여럿 전시하고 있었다. 건물들 사이를 오갈 때, 복도를 거닐 때 곳곳에서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갈 수 있게 구성한 것도 배려심이 돋보였다. 내부에서 관람하다 보면 마치 작품같이 느껴지는 야외로 뛰쳐나가고 싶은 마음이 자연스레 솟구치기 때문이다. 실제로 막스 에른스트 작품 등이 야외 곳곳에 전시돼 있어 문을 열고 드나들게 된다.
저녁시간이 되자 레스토랑은 이미 만석. 식사를 해결할 곳이 여기밖에 없어 그러려니 했지만 플레이팅이 아름다운 메인 메뉴, 식전 빵과 크림, 커피를 시켜보니 맛이 훌륭했다. 창밖의 풍경은 덤. 검붉은 노을이 미술관 건물을 뒤덮고 깊이를 알 수 없는 바다가 일렁이는 모습을 보자니 돌아가는 발걸음엔 아쉬움이 잔뜩 묻어났다. ‘평생 꼭 한 번 가봐야 할 미술관’이라는 수식어가 바로 수긍되는 순간이었다.
새가 지저귀고 사슴이 뛰노는 국립공원 속 미술관
네덜란드 크뢸러뮐러 뮤지엄숲길을 거닐며 새소리를 듣고 다람쥐나 노루, 토끼가 오물거리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상쾌한 공기를 마시는 산책, 생각만 해도 힐링이다. 네덜란드 오테를로에 있는 호헤 펠뤼버 국립공원은 네덜란드에서 가장 넓은(55㎢) 자연보호 구역으로 공원만으로도 이미 주민들에겐 유명하지만, 무엇보다 800여 점의 유명 작품을 소장한 크뢸러뮐러 뮤지엄을 품고 있어 연간 50만 명 이상이 찾아오는 명소다.
미술 수집가인 헬레네 크뢸러뮐러가 1935년 네덜란드 정부에 모든 수집품을 기증해 이 작품들로 1938년 개관한 미술관이 바로 크뢸러뮐러다. 암스테르담 중앙역에서 기차로 1시간10분 거리의 아른험 중앙역으로 간 뒤 105번 버스를 타고 오테를로 로톤데 정류장까지 30여 분을 가야 호헤 펠뤼버 국립공원이 나온다. 이 국립공원 입구에서 입장권을 끊은 뒤 무료로 탈 수 있는 흰색 자전거를 타고 한참을 들어가야 크뢸러뮐러 뮤지엄이 나오기 때문에 이동에만 왕복 네 시간은 걸린다. 체류시간이 짧은 관광객이 하루를 내서 다녀오기엔 부담스럽지만, 그럼에도 꼭 한 번 가봐야 할 미술관으로 추천하는 건 ‘숲속 미술관’이 주는 위로와 동식물에 둘러싸인 산책길, 그 안에 보물처럼 감춰진 대가들의 작품이 보석처럼 빛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오래 걸려 도착한 노력 덕분일까, 공원 입구에 다다르자 설렘이 몰려왔다. 흰색 자전거를 타고 숲속 초원, 모래 언덕 등을 돌아다니다 보면 망원경을 들고 동물을 관찰하는 가족 단위 방문객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이 숲에는 황조롱이, 흰등할미새, 숲울새 등 다양한 소리를 내는 새와 다람쥐, 붉은 사슴, 멧돼지, 노루, 여우, 담비, 토끼, 양, 도롱뇽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고.
특히 빈센트 반 고흐의 팬이라면 ‘세계에서 고흐 작품이 두 번째로 많은 미술관’인 크뢸러뮐러를 꼭 가봐야 한다. 암스테르담에 있는 반 고흐 뮤지엄이 가장 소장품이 많고, 그다음이 크뢸러뮐러다. 밤의 프로방스 시골길, 아를의 다리 등 유명한 고흐 작품 100여 점이 모여 있다. 야외에 있는 장 뒤뷔페 조각 공원, 미술관 주변에 숨어 있는 조각 작품들을 감상하다 보면 하루가 금세 지나간다.
깊은 산속 겨울잠 자는 미술관,
벚꽃이 피면 전시가 시작된다
루이비통도 반한 日 교토 미호박물관2018년 5월, 루이비통의 새 시즌 컬렉션을 차려입은 모델들이 터널을 빠져나와 끝없이 펼쳐진 긴 다리를 런웨이 삼아 걷는다. 저 멀리 터널 너머에는 일본 전통가옥과 녹음이 가득한 울창한 숲이 보인다. 터널과 다리는 인위적인 세트장이 아니다. 일본 교토 시가라키 산 중턱에 있는 미호박물관이다. 이곳에 가려면 어두운 터널을 지나고, 모델들이 걸었던 긴 다리를 건너야 한다.
1997년 개관한 미호박물관은 중국계 미국인인 건축 거장 이오밍 페이(I. M. 페이)가 설계했다. 페이는 파리 루브르박물관 유리 지붕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1933년 제임스 힐턴의 영화 ‘잃어버린 지평선’ 속 가상의 장소 ‘샹그릴라’에 큰 감동을 받았다. 그는 시가라키 산에 샹그릴라를 구현한 미호박물관을 구상했다. 당시 루이비통 감독이던 니콜라 게스키에르는 미호박물관을 찾은 뒤 자연과 건축이 주는 시너지에 완벽히 매료됐다고. 모든 컬렉션을 장소에 맞춰 디자인했을 정도로 이곳을 사랑했다고 전해진다.
꽃과 함께 피어나는 ‘미호박물관’
미호박물관은 교토 시내에서 차로 1시간 이상 걸릴 만큼 깊은 숲속에 있다. 미술관으로 향하는 양쪽 길에는 일본의 상징과도 같은 벚나무와 버드나무가 빼곡히 자리 잡고 있다. 3월 개화가 절정을 맞는 시기에 봄 전시를 관람하러 이곳을 찾는다면 ‘벚꽃 전시’도 함께 관람할 수 있는 셈이다. 하염없이 벚나무 길을 걷다 보면 미술관의 1차 관문인 터널이 등장한다. 페이가 터널을 지을 때 가장 먼저 고려한 것은 소리와 빛의 모양이다. 터널이지만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사람의 음성은 최대한 울리지 않도록 했고, 길잡이가 돼주는 양쪽 조명은 지평선처럼 일직선을 이룬다. 봄 시즌에는 자연 속 벚꽃의 분홍빛과 조명이 어우러져 터널 끝에 다다르면 핑크빛 오로라 장관이 펼쳐진다.
터널을 빠져나오면 펼쳐지는 다리에서 또 한 번 놀란다. 숲을 최대한 보존하며 미술관을 짓기 위해 다리 하단부를 지탱하는 하방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았다. 대신 터널 양쪽에 기다란 줄을 수십 개 달아놓은 구조가 눈에 들어온다. 다리 밑 나무들이 장애물 없이 계속 자라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미술관 본관을 설계할 때 페이가 내세운 세 가지 원칙은 ‘자연과 건축, 그리고 미술품’이었다. 그는 80% 이상의 건축물을 땅속에 건설하고 그 위에 다시 자연을 복원하는 실험을 했다. 건축물 자체를 또 하나의 자연이 되도록 구상한 것이다. 지붕은 모두 유리로 만들어 지하에서도 인위적인 조명 대신 밝은 태양 빛을 만끽할 수 있도록 했다. 지상층으로 들어서면 지붕에서 자연광이 쏟아지고 미술관 창문을 통해서는 산속 전망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건물 안에 있지만 산속에 파묻힌 듯한 해방감을 선사하기 위해 고안한 구조다. 대자연 속의 미호박물관은 겨울마다 ‘동면’에 들어간다. 올해도 3월 15일까지 전시가 열리지 않는다. 벚꽃 개화와 함께 새 전시로 돌아올 예정이다.
쓰레기섬에 파묻은 ‘지중미술관’
시코쿠 가가와현, ‘쓰레기섬’이란 오명이 붙었던 작은 섬 나오시마에도 건축 거장 안도 다다오의 손길이 닿은 자연 속 미술관이 있다. ‘지중미술관(地中美術館)’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미술관 건물 대부분이 땅 중간에 묻혀 있다. 지면 위에 드러난 건 미술관임을 알려주는 팻말과 자연광을 받기 위해 만들어놓은 유리 지붕 정도가 전부다. 안도 다다오는 지면 위에 뿌리내린 나무와 풀, 꽃은 모두 인간의 소유물이 아니라 자연의 것이라는 신념으로 이 미술관을 건축했다. 땅 위에서 숨 쉬는 모든 존재를 최대한 건드리지 않은 채 깊은 지면 아래에서 자신만의 건축 세계를 펼쳤다.
미술관 내부, 땅속으로 내려가면 흰 벽을 타고 태양 빛이 스민다. 모든 천장과 벽 사이에 작게 틈을 내 그 사이로 자연의 빛이 들어온다. 전시장 벽에 길을 안내하기 위해 쓰인 작은 램프 외에는 별다른 조명을 쓰지 않았다. 땅속 미술관인 만큼 ‘어둠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기 위한 그의 철학이다. 어둠 속에서 작은 빛에 의지해 전시장 복도를 걷다 보면 땅속 세계와 함께 호흡하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클로드 모네의 작품 ‘수련’이 걸린 전시장에 다다라서야 비로소 밝은 빛이 등장한다. 천장의 작은 틈을 통해 들어오는 작은 빛이지만, 지중(地中) 어둠에 익숙해진 관객은 강렬한 빛의 대비를 느끼게 된다.
일본 최초 야외 미술관 ‘하코네 조각의 숲’
가나가와현 하코네 깊은 숲속에도 미술관이 존재한다. 1969년 문을 열어 올해로 개관 55주년을 맞은 ‘하코네 조각의 숲 미술관’이다. 본래 하코네 국립공원이던 장소를 훼손 없이 그대로 가져와 야외 미술관을 지었다. 조각의 숲 미술관은 일본 최초의 야외 미술관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은 곳이기도 하다. 조각의 숲 미술관의 하이라이트는 평지 한가운데 세워진 ‘우드 오브 네스트’로 나무로 만들어진 둥지다. 관객은 커다란 나무 둥지 안으로 직접 들어가 볼 수 있다. 야외 평지 위에 나무로 지어졌기 때문에 날씨와 계절 변화에 따라 공기에 흐르는 냄새와 빛의 모양이 모두 다르게 느껴진다.
미술관의 가장 끝자락엔 ‘행복을 부르는 심포니 조각’이라는 제목의 작품이 놓여 있다. 작품이면서 동시에 전망대 역할을 한다. 작품 안으로 들어선 관객은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로 꾸며진 벽면과 한가운데 놓인 나선형 계단을 만난다. 계단을 끝없이 오르다 보면 작품의 정상에 도달한다. 꼭대기에 올라서면 자연에 파묻힌 미술관 모습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데시마=임지영 예술 칼럼니스트·㈜즐거운예감 대표/프레덴스보르=민지혜 기자/오테를로=민지혜 기자/시라가키·하코네=최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