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의 지하철 승강장에서 열차를 기다리는 시민들이 범죄를 피하고자 벽에 등을 붙이고 서 있는 모습이 국내에서 화제가 된 가운데, 이와 극명하게 대비되는 서울시 지하철을 재조명하는 시민들이 많다. 이들은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 지하철에 왜 승강장안전문(스크린도어)을 설치하지 않느냐고 고개를 갸우뚱하면서 "지하철은 한국이 최고"라고 치켜세웠다.1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에 걸쳐 262개 전역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했다. 이에 스크린도어 도입 전인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사망자 수는 연평균 37.1명이었으나, 도입 완료 후인 이날 기준 연평균 0.4명(서울메트로 0.3명·서울도시철도공사 0.1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2012년 이후 사상 사고는 0건이었다.시가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게 된 배경에는 선로에 갑자기 뛰어들거나, 열차를 기다리는 시민을 밀쳐 숨지게 하는 충격적인 '묻지 마' 사건 등이 있었다. 이명박 시장 시절 시범사업을 통해 추진하다가 2006년 오세훈 시장이 바통을 이어받아 본격적으로 설치, 완성했다.탑승객 등 안전뿐만 아니라, 지하역사 승강장 환경 개선에도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다. 스크린도어 설치 후 지하역사 내 미세먼지 농도는 약 20% 감소했으며, 설치 후 승강장 소음도 7.9%(78.3→72.1dB) 줄어들었다. 또 승강장과 선로를 차단하면서 승강장 냉방 효율도 증가해 일일 약 1억8100만원, 6~8월간 약 167억원의 전력비용을 절감했다.오 시장은 2019년 서울의 한 지하철 역사를 찾는 유튜브 영상에서 "시장직을 수행할 때 사망사고가 발생하면서 스크린도어를 서울시 모든 노선에 다 집어넣자는 결론을 내렸다. 스크린도어 들어온 뒤
국내 의료기관을 찾은 인플루엔자 감염증(독감) 의심환자가 2016년 감시체계를 구축한 이래 역대 최대 수준으로 치솟았다. 학령기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하면서다. 겨울방학이 시작되는 이달부터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 방역당국은 고위험군은 지금이라도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질병관리청은 국내 동네의원을 찾은 외래 환자 1000명 당 독감 의심환자가 올해 1주차(지난달 29일~지난 4일) 99.8명으로 2016년 감시 체계를 구축한 뒤 최고치로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전 최고치는 2016년 52주차 86.2명이었다.올해 유행 기준은 외래 환자 1000명 당 8.6명이다. 지난주는 유행기준의 12배에 육박했다. 3주 전인 지난해 50주차(13.6명)와 비교하면 의심 환자가 7.3배 급증했다.지난주 의심 환자가 가장 많은 연령대는 13∼18세(177.4명)였다. 7∼12세(161.6명), 19∼49세(129.1명) 등이 뒤를 이었다. 아이들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급격히 번지고 있다는 의미다. 질병청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중 독감 환자가 거의 없었던 것은 급격한 확산의 원인으로 꼽았다. 2022년 9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독감이 22개월 넘게 계속 유행했지만 여전히 지역사회에 면역을 보유한 사람이 많지 않아 올겨울 유행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10월 이후 연말까지 기온이 예년보다 높았다가 최근 한파 등으로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진 것도 최근 독감 환자가 급증하는 원인이라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A형 독감 중 2009년 신종플루 아형인 H1N1pdm09와 H3N2 등 두 가지 유형이 동시에 유행하는 데다 추위 탓에 실내 활동이 늘고 환기가 부족한 것도 독감 환자가 크게 늘어나는 원인이다.다만 이번 유행의 정점은
평준화 지역인 전북 전주시의 일반계 고교가 사실상 처음으로 정원 미달 사태를 맞았다.10일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발표한 2025학년도 평준화지역(전주·익산·군산) 일반고와 자율형 공립고의 신입생 합격자 현황에 따르면 전주지역은 지원자 5455명이 모두 합격했다.전북교육청은 "불합격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정원 미달이라고 이해하면 된다"면서 "다만 교육정책 상 정확한 미달 규모는 밝힐 수 없다"고 설명했다.평준화 제도가 도입된 이후 전주지역 일반계 고교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것은 2018학년도에 이어 2번째다. 다만 2018학년도 정원 미달은 고입 전형 변화에 맞춰 일시적으로 입학 정원을 크게 확대한 데 따른 것이어서, 이번이 처음으로 볼 수 있다.전주지역 정원 미달사태는 학령인구 감소세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특성화고로 빠져나간 학생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이다. 올해 전주지역 중학교 졸업 예정자 수는 작년보다 353명 줄고, 특성화고 지원자는 367명 늘었다. 앞서 다른 평준화지역인 군산은 2024학년도, 익산은 2020학년도에 각각 정원을 채우지 못한 적이 있다.전북교육청은 학령 인구 감소세에 맞춰 입학 정원을 낮춰나가는 만큼 또 대규모 미달사태가 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주지역 입학 정원은 2016년 7805명, 2019년 6244명, 2022년 5616명으로 줄고 있다.전북교육청 관계자는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입학 정원을 채우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면서 "다만 이에 맞춰 1대 1 수준의 입학 경쟁률을 유지하도록 정원을 줄이고 있어 대규모 미달로 이어지는 일은 잦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