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역대급 경기부양책 온다…전기차·소비재 기업 주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형관 중국자본시장硏 대표3조위안 규모 국채 발행 언급
BYD·CATL 등 수혜 관심
'신성장동력' 드론도 비상 채비
BYD·CATL 등 수혜 관심
'신성장동력' 드론도 비상 채비
“작년엔 천둥만 치고 비는 안 왔죠. 올해는 경기 부양을 위한 자금 집행이 제대로 이뤄질 겁니다.”
신형관 중국자본시장연구소 대표(사진)는 1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의 내수 진작책으로 현지 소비재와 전기자동차·배터리 업종의 전망이 작년보다 크게 밝아졌다”고 말했다. 신 대표는 현지 감독기관에 등록된 1호 한국인 펀드매니저 출신이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14년간 미래에셋자산운용 중국법인 대표를 지냈다.
신 대표는 “지난해 중국이 발표한 ‘9·24 경기부양책’은 밑그림 수준”이라며 “지난달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역대 최대인 3조위안(약 597조원) 규모의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을 언급한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만기가 50년에 이르기도 하는 초장기 특별 국채는 역사적으로 네 번 발행됐다. 코로나19 팬데믹처럼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때만 이뤄진다는 설명이다.
그는 “마련될 자금은 올해 소비재 촉진 정책인 ‘이구환신’(以舊換新·낡은 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흐를 것”이라며 “전기차·배터리주와 소비재 관련주가 반등 계기를 맞았다”고 평가했다. 이구환신은 전기차와 가전 등을 사면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전기차·배터리 종목인 비야디(BYD)와 CATL 등이 실적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두 종목 주가는 올해 각각 5.49%, 6.78% 떨어져 아직 주춤한 상태다. 도매업체 샤오상핀청, 유통사 융후이차오스도 내수 지표 개선에 따라 주가 잠재력이 큰 업체로 꼽힌다.
중국이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는 정보기술(IT) 분야도 주시해야 한다고 짚었다. 올해는 대표적으로 중국 정부가 신성장동력으로 지목한 ‘저공경제’(低空·전기수직이착륙기와 드론을 이용한 산업)를 둘러싼 관심이 크다고 했다. 2023년 국가 전략 신흥산업으로 지정됐는데, 중국민용항공총국(CAAC) 추산으로 2030년 산업 규모가 2조위안(약 399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파·통신업체 쓰촨지우저우, 모터 장비를 제조하는 워룽덴취 등이 관련주로 언급된다.
신 대표는 중국 증시에 투자할 때 항상 경계심을 가지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정책 발표에 주가가 쉽게 영향을 받고, 이익 체력이 부실한 채로 상장을 유지하는 기업도 많다. 직접 투자는 되도록 피하고, 대표지수 추종형 또는 주요 종목이 담긴 테마별 상장지수펀드(ETF)를 살피라는 조언이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신형관 중국자본시장연구소 대표(사진)는 1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의 내수 진작책으로 현지 소비재와 전기자동차·배터리 업종의 전망이 작년보다 크게 밝아졌다”고 말했다. 신 대표는 현지 감독기관에 등록된 1호 한국인 펀드매니저 출신이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14년간 미래에셋자산운용 중국법인 대표를 지냈다.
신 대표는 “지난해 중국이 발표한 ‘9·24 경기부양책’은 밑그림 수준”이라며 “지난달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역대 최대인 3조위안(약 597조원) 규모의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을 언급한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만기가 50년에 이르기도 하는 초장기 특별 국채는 역사적으로 네 번 발행됐다. 코로나19 팬데믹처럼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때만 이뤄진다는 설명이다.
그는 “마련될 자금은 올해 소비재 촉진 정책인 ‘이구환신’(以舊換新·낡은 제품을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흐를 것”이라며 “전기차·배터리주와 소비재 관련주가 반등 계기를 맞았다”고 평가했다. 이구환신은 전기차와 가전 등을 사면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전기차·배터리 종목인 비야디(BYD)와 CATL 등이 실적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두 종목 주가는 올해 각각 5.49%, 6.78% 떨어져 아직 주춤한 상태다. 도매업체 샤오상핀청, 유통사 융후이차오스도 내수 지표 개선에 따라 주가 잠재력이 큰 업체로 꼽힌다.
중국이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는 정보기술(IT) 분야도 주시해야 한다고 짚었다. 올해는 대표적으로 중국 정부가 신성장동력으로 지목한 ‘저공경제’(低空·전기수직이착륙기와 드론을 이용한 산업)를 둘러싼 관심이 크다고 했다. 2023년 국가 전략 신흥산업으로 지정됐는데, 중국민용항공총국(CAAC) 추산으로 2030년 산업 규모가 2조위안(약 399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파·통신업체 쓰촨지우저우, 모터 장비를 제조하는 워룽덴취 등이 관련주로 언급된다.
신 대표는 중국 증시에 투자할 때 항상 경계심을 가지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정책 발표에 주가가 쉽게 영향을 받고, 이익 체력이 부실한 채로 상장을 유지하는 기업도 많다. 직접 투자는 되도록 피하고, 대표지수 추종형 또는 주요 종목이 담긴 테마별 상장지수펀드(ETF)를 살피라는 조언이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