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과제 27%…AI 표절 의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대학에서 학교 과제와 자기소개서 등에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활용하는 사례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I 확산으로 대학생의 학업 수준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AI 기업 무하유에 따르면 이 회사의 과제물 평가 서비스‘CK 브릿지’가 지난해 2분기에 검사한 대학 과제물 29만 4239건 중 27.3%가 표절 가능성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CK 브릿지는 교수들이 학습관리시스템(LMS)과 연동해 실제 학생이 제출한 과제물을 검사하는 서비스다.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탐지하는 솔루션인 ‘GPT 킬러’를 활용해 생성형 AI가 만든 문서를 찾아낸다. 대학에선 보통 표절 가능성이 30% 이상이면 표절한 문서로 판단한다.
지난해 GPT킬러로 검사한 전체 문서 규모는 173만 건을 넘어섰다. 해당 문서의 55.9%에서 챗GPT 등 생성형 AI 서비스의 이용이 감지됐다. GPT킬러 이용자 중 가장 많은 70.0%가 대학 과제물을 확인했다. 다음은 자기소개서(8.9%), 학위 논문(6.2%) 등의 순이었다.
대학에선 생성형 AI 사용이 늘고 있지만 관련 대책은 부실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해 ‘대학혁신과 AI시대 고등교육 변화 방향’을 주제로 대학 총장 190명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7.1%는 ‘생성형 AI와 관련된 학교 정책을 마련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학업과 연구 과정에서 AI가 악용될 수 있지만 대학은 손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서울 지역 사립대의 한 교수는 “최근 일부 교수는 AI로 과제를 내고 학생은 해당 과제를 AI로 해결하면서 ‘교수와 학생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AI가 다 한다’라는 얘기까지 나온다”고 지적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14일 AI 기업 무하유에 따르면 이 회사의 과제물 평가 서비스‘CK 브릿지’가 지난해 2분기에 검사한 대학 과제물 29만 4239건 중 27.3%가 표절 가능성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CK 브릿지는 교수들이 학습관리시스템(LMS)과 연동해 실제 학생이 제출한 과제물을 검사하는 서비스다.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탐지하는 솔루션인 ‘GPT 킬러’를 활용해 생성형 AI가 만든 문서를 찾아낸다. 대학에선 보통 표절 가능성이 30% 이상이면 표절한 문서로 판단한다.
대학에선 생성형 AI 사용이 늘고 있지만 관련 대책은 부실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해 ‘대학혁신과 AI시대 고등교육 변화 방향’을 주제로 대학 총장 190명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7.1%는 ‘생성형 AI와 관련된 학교 정책을 마련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학업과 연구 과정에서 AI가 악용될 수 있지만 대학은 손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서울 지역 사립대의 한 교수는 “최근 일부 교수는 AI로 과제를 내고 학생은 해당 과제를 AI로 해결하면서 ‘교수와 학생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AI가 다 한다’라는 얘기까지 나온다”고 지적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