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여전하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달리는 차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그랜저, 국산 승용차 운행차량 모델 중 1위
"시대 앞서가는 혁신 통해 고객들로부터 꾸준한 인기"
"시대 앞서가는 혁신 통해 고객들로부터 꾸준한 인기"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운행되고 있는 차는 현대차 그랜저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시된 지 40년 가까이 됐지만 시대를 앞서가는 혁신을 통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운행차량대수는 총 2629만7919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국산 승용차 운행차량 모델 중 1위는 그랜저로 157만3377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0.6% 증가한 수치다.
이어 현대차 아반떼(131만9148대), 현대차 쏘나타(129만4572대), 현대차 산타페(97만3515대), 기아 모닝(94만6493대)가 2~5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체 국내 운행차량 가운데 그랜저의 비중은 5.98%로 국내 도로에 돌아다니는 차량 100대 중 6대는 그랜저인 셈이다.
그랜저는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국내 운행차량대수에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랜저는 지난해 하이브리드 승용차 운행 대수에서도 28만7190대로 1위를 차지했다.
1986년 출시된 그랜저는 국내 세단 대표 모델자리를 지켜온 현대차의 장수 모델이다. 같은 장수 모델이자 내연기관차량인 쏘나타의 판매량이 하락세를 타고 있는 것과 달리 그랜저는 현재까지 흔들리지 않는 판매량을 기록하며 독보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다.
그랜저는 출시 초반에는 '회장님차', '성공한 사람들의 차'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나 2000년대부터는 외관 디자인을 스포티하게 대폭 교체하며 젊은 세대까지 타깃 층을 넓히는데 성공했다.
그랜저는 지난해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11만3047대가 판매돼 베스트 셀링카로 이름을 올리며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랜저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고품격 세단으로 1986년 출시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그 명성을 이어오면서 많은 고객분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며 "40년 가까이 축적해 온 그랜저 브랜드의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앞으로도 시장의 기대에 부응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29일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운행차량대수는 총 2629만7919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국산차 운행차량대수는 2295만3655대(승용차 1904만8405대, 상용차 390만5250대), 수입차 운행차량대수는 334만4264대(승용차 323만3765대, 상용차 11만499대)로 집계됐다.
국산 승용차 운행차량 모델 중 1위는 그랜저로 157만3377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0.6% 증가한 수치다.
이어 현대차 아반떼(131만9148대), 현대차 쏘나타(129만4572대), 현대차 산타페(97만3515대), 기아 모닝(94만6493대)가 2~5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랜저는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국내 운행차량대수에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랜저는 지난해 하이브리드 승용차 운행 대수에서도 28만7190대로 1위를 차지했다.
1986년 출시된 그랜저는 국내 세단 대표 모델자리를 지켜온 현대차의 장수 모델이다. 같은 장수 모델이자 내연기관차량인 쏘나타의 판매량이 하락세를 타고 있는 것과 달리 그랜저는 현재까지 흔들리지 않는 판매량을 기록하며 독보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다.
그랜저는 지난해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11만3047대가 판매돼 베스트 셀링카로 이름을 올리며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랜저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고품격 세단으로 1986년 출시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그 명성을 이어오면서 많은 고객분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며 "40년 가까이 축적해 온 그랜저 브랜드의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앞으로도 시장의 기대에 부응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