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소비시장 큰손…MZ세대 가고 GG세대 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상의 분석
55∼74세 GG세대 부상
감성 나이로 마케팅해야
55∼74세 GG세대 부상
감성 나이로 마케팅해야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501/01.39357144.1.jpg)
30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상의는 최근 발간한 'GG 마켓 공략 보고서'에서 왕성한 경제, 사회, 여가 활동을 이어가는 1950∼1971년생 시니어를 'GG'(Grand Generation)로 정의하고, 초고령화 시대에는 이들이 주류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GG는 스스로를 시니어로 인지하지 않고 생물학적 신체 나이보다 10년 이상 젊은 '감성 나이'로 생활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기업이 GG를 대상으로 신제품 개발 및 마케팅을 할 경우 감성 나이를 기준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
또 젊게 보이기 위해 건강 관리와 외모 가꾸기에 투자하는 GG를 중심으로 '일상 속 노화 관리'가 뷰티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콜라겐, 히알루론산 등 이너뷰티 시장은 2025년 2조원 규모로 전망되며, 건기식, 케어푸드, 메디푸드 등 개인 맞춤형 식단과 보조식품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돈보다 시간이 더 중요해지는 시기가 찾아오면 상대적 가치를 주는 상품과 서비스 중심의 상향 소비를 추구하게 된다"며 "GG는 자신을 위한 과시적, 투자적 소비 성향을 보이기도 하고, 여행과 새로운 경험 추구에 대한 의지도 강하다"고 분석했다.
지역 사회에서 활동이 많아진 GG의 '디토(Ditto) 소비'에 대응해 브랜드에 맞는 영향력 있는 시니어 인플루언서를 활용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아울러 '내 노후는 내가 책임진다'는 가치관 확대에 따라 초고령화 시대에는 자립적 노후 생활을 위한 제품 개발과 서비스 외주화가 니치마켓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